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19번: 감정의 변화와 교훈의 재발견"이 글은 Sarah라는 어린아이가 처음 경험한 좌절과 이를 극복하며 새로운 관점을 배우는 과정을 다룬 이야기입니다. 단순한 사건 묘사를 넘어, 감정 변화의 흐름과 인간적 성장의 순간을 통해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심경 변화 문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대비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과 어법 설명을 통해 독해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이 지문은 영어 학습자에게 실용적이고 유익한 자료입니다.
문장별 분석 내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잘 활용하여 새로운 어휘 학습 및 반드시 숙지해야 할 어법 등 독해를 위해 필요한 모든 부분을 꾸준히 학습하셔서 영어 능력 향상의 기회를 놓치지 않길 바랍니다.
문제 해결 Tip은 "첫 번째 심경 변화의 단서 찾기", "보기 중 대조적 감정 변화인지 확인하기", 그리고 "표현의 숨겨진 의미 파악"입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심경 변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19. 다음 글에 드러난 Sarah의 심경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Marilyn and her threeyearold daughter, Sarah, took a trip to the beach, where Sarah built her first sandcastle. Moments later, an enormous wave destroyed Sarah’s castle. In response to the loss of her sandcastle, tears streamed down Sarah’s cheeks and her heart was broken. She ran to Marilyn, saying she would never build a sandcastle again. Marilyn said, “Part of the joy of building a sandcastle is that, in the end, we give it as a gift to the ocean.” Sarah loved this idea and responded with enthusiasm to the idea of building another castle — this time, even closer to the water so the ocean would get its gift sooner!
① sad → excited ② envious → anxious ③ bored → joyful
④ relaxed → regretful ⑤ nervous → surprised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Marilyn and her three-year-old daughter, Sarah, took a trip to the beach, where Sarah built her first sandcastle.
주요 단어 정리
- take a trip: 여행하다
- sandcastle: 모래성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rilyn]/ and/ [her three-year-old daughter,/ Sarah]],/
- [[메릴린]과 [그녀의 세 살배기 딸,/ 사라는]],/
- took a trip/
- 여행을 갔습니다/
- [to the beach,/ where Sarah built/ her first sandcastle].
- [해변으로,/ (그리고 거기서) 사라가 지었던/ 그녀의 첫 모래성을].
어법 설명
- 동격 관계
- “[her three-year-old daughter,/ Sarah]”에서 “her three-year-old daughter”와 “Sarah“는 동격 관계로, ”그녀의 세 살배기 딸 사라“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관계부사
- ”the beach,/ where Sarah built/ her first sandcastle에서, ”where“는 장소의 선행사, "the beach"를 수식하여, ”사라가 그녀의 첫 번째 모래성을 지었던 해변“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2
Moments later, an enormous wave destroyed Sarah’s castle.
주요 단어 정리
- moment: 순간
- moments later: 잠시 후에
- enormous: 거대한 (동의어: huge, massive / 반의어: tiny)
- wave: 파도
- destroy: 파괴하다 (동의어: ruin, demolish / 반의어: build)
- castle: 성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oments later,/
- 잠시 후,/
- an enormous wave destroyed/ Sarah’s castle.
- 거대한 파도가 파괴했습니다/ Sarah의 모래성을.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3
In response to the loss of her sandcastle, tears streamed down Sarah’s cheeks and her heart was broken.
주요 단어 정리
- in response to~: ~에 대한 반응으로
- stream down~: ~아래로 흐르다
- cheek: 뺨
- be broken: 부서지다 (감정적 표현으로 "상심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response to the loss/ of her sandcastle>,/
- <상실에(잃은 것에) 대한 반응으로/ 그녀의 모래성의(그녀의 모래성을)>,/
- tears streamed/ down Sarah’s cheeks/
- 눈물이 흘렀습니다/ Sarah의 뺨 아래로/
- and/ her heart was broken.
- 그리고/ 그녀의 마음은 부서졌습니다(상했습니다).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was broken“
- “부서졌다(마음이 상했다”의 의미를 전달하여, ”Sarah의 마음 상태를 묘사합니다.
- 감정의 변화 문제 풀이 Tip에 따라 첫번째 감정 변화 찾기
- 문장 3에서 Sarah의 첫 번째 감정이 나타납니다. “sad(슬픈)” 상태입니다. 보기를 확인하면, “① sad → excited”뿐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바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4
She ran to Marilyn, saying she would never build a sandcastle again.
주요 단어 정리
- run to~: ~에게[~로] 달려가다
- would never~: 결코 ~하지 않을 것이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he ran/ to Marilyn,/
- 그녀는 달려갔습니다/ 메릴린에게,/
- [saying/ [(that) she would never build/ a sandcastle/ again]].
- [말하면서/ [그녀가 결코 짓지 않을 것이라고/ 모래성을/ 다시는]].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saying/ [(that) she would never build/ a sandcastle/ again]]”는 “[while she sai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she(=Sarah)”가 생략되고 “동사 said”가 “say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여러 의미를 내포하는 단어처럼,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saying/ [(that) she would never build/~]]"에서 생략된, "(that)"은 현재분사, "saying"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문장 5
Marilyn said, “Part of the joy of building a sandcastle is that, in the end, we give it as a gift to the ocean.”
주요 단어 정리
- joy: 기쁨 (동의어: happiness / 반의어: sorrow)
- in the end: 결국
- gift: 선물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rilyn said,/
- 매릴린이 말했습니다,/
- “[Part/ [of the joy/ <of building/ a sandcastle>]]/
- “[일부는/ [기쁨의/ <짓는 것의/ 모래성을>]]/
- is [that,/ in the end,/ we give/ it/ as a gift/ to the ocean].”
- [결국,/ 우리가 준다는 거야/ 그것을/ 선물로/ 바다에게].
어법 설명
- 직접화법 내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직접화법 내의 주어는 “Part”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하는 것:의 의미로 사용된 V-ing[동명사]
- "<of building/ a sandcastle>“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의 목적어 역할.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s [that,/ in the end,/ we give/ it/ as a gift/ to the ocean]"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문장 6
Sarah loved this idea and responded with enthusiasm to the idea of building another castle — this time, even closer to the water so the ocean would get its gift sooner!
주요 단어 정리
- idea: 생각, 개념
- respond: 반응하다
- enthusiasm: 열정
- closer to~: ~에 더 가까이
- sooner: 더 빨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arah <loved/ this idea>/ and/ <responded/ with enthusiasm>/
- 사라는 <좋아했습니다/ 이 생각을>/ 그리고/ <반응했습니다/ 열정을 가지고(열정적으로)>/
- [to the idea/ <of building/ another castle>]/
- [그 생각에/ <짓는다는/ 또 다른 모래성을>]/
- —/ this time,/ even closer/ to the water/
- 즉,/ 이번에는,/ 훨씬 더 가까이/ 물에/
- so/ the ocean would get/ its gift/ sooner!
- 그래서/ 바다가 받을 겁니다/ 그것의 선물을/ 더 빨리!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and로 두 개의 동사구 병치
- “<loved/ this idea>”와 “<responded/ with enthusiasm>”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뒤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V-ing[동명사]”
- "<of building/ another castle>“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역할로, ”또 다른 모래성을 짓는 것이라는 생각“이, ”또 다른 모래성을 짓는다는 생각“으로 의역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비교급 강조 부사
-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심경 변화
- 초기 심리 상태: 슬픔과 좌절 (문장 2~4)
- 후기 심리 상태: 기쁨과 기대 (문장 5~6)
답안 선택 과정
- ① sad → excited: Sarah의 초기 슬픔과 이후 기쁨을 가장 잘 반영함.
- ② envious → anxious: 부러움이나 불안과 관련된 내용 없음.
- ③ bored → joyful: 지루함과 관련된 내용 없음.
- ④ relaxed → regretful: 평온함이나 후회와 관련된 내용 없음.
- ⑤ nervous → surprised: 긴장이나 놀람과 관련된 내용 없음.
정답 제시
- 따라서, “① sad → excited”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감정의 여정을 따라 배우는 독해 전략"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19번 문제는 Sarah가 모래성을 잃은 슬픔에서 새로운 모래성을 짓는 기대감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독해와 사고력을 동시에 길러주는 훌륭한 학습 자료입니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글의 구조와 어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심경 변화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더욱 정교화할 수 있습니다. 독해와 문법이 결합된 이러한 분석은 영어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 내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및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문제 해결 Tip을 포함한 상세한 어법 설명이 지문의 내용은 물론 혹시나 있을 오류까지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