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감각의 고정된 틀을 넘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한계를 재조명하다"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감각에 대한 고정된 관점, 즉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다섯 가지 감각이 현대 과학에서 어떻게 도전받고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필자는 인간과 동물의 감각이 단순히 다섯 가지로 제한될 수 없으며, 감각을 고정된 틀에 맞추려는 시도를 비판합니다. 이 글은 감각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연구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하며, 독자들에게 감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함축적인 의미를 추론하는 것은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는 부분을 먼저 읽고 그 부분의 지문과의 연관성을 찾아야 합니다. 대부분 비유적 표현으로 되어 있어 이해하기는 다소 어렵더라도 먼저 함축적 의미부를 반드시 읽고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독해하는 방향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Key가 될 수 있습니다. 독해하는 방향을 - 예를 들어,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Key가 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한국어와 영어 표현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1. 밑줄 친 push animal senses into Aristotelian buckets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Consider the seemingly simple question How many senses are there? Around 2,370 years ago, Aristotle wrote that there are five, in both humans and animals — sight, hearing, smell, taste, and touch. However, according to the philosopher Fiona Macpherson, there are reasons to doubt it. For a start, Aristotle missed a few in humans: the perception of your own body which is different from touchand the sense of balance which has links to both touch and vision. Other animals have senses that are even harder to categorize. Many vertebrates have a different sense system for detecting odors. Some snakes can detect the body heat of their prey. These examples tell us that “senses cannot be clearly divided into a limited number of specific kinds,” Macpherson wrote in The Senses. Instead of trying to push animal senses into Aristotelian buckets, we should study them for what they are. * vertebrate: 척추동물 ** odor: 냄새
① sort various animal senses into fixed categories
② keep a balanced view to understand real senses
③ doubt the traditional way of dividing all senses
④ ignore the lessons on senses from Aristotle
⑤ analyze more animals to find real senses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서론에 이미 공유한 바대로 함축적 의미를 포함한 문장부터 독해합니다.
문장 8
Instead of trying to push animal senses into Aristotelian buckets, we should study them for what they are.
주요 단어 정리
- instead of~: ~대신에
- push into~: ~로 밀어 넣다
- Aristotelian: 아리스토텔레스의
- bucket: 통, 용기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stead of trying/ <to push/ animal senses/ into Aristotelian buckets>],/
- [시도하는 대신에/ <밀어 넣는 것을/ 동물의 감각들을/ 아리스토텔레스의 통 안으로>],/
- we should study/ them/ [for what they are].
- 우리는 연구해야 합니다/ 그것들을/ [그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해(그것들 자체로)].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Instead of trying/~]“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구 ”Instead of“의 목적어 역할. ”시도하는 것 대신에(시도하기 보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trying/ <to push/ animal senses/ into Aristotelian buckets>”에서 사용된 용법. 동명사 “trying”의 목적어 역할.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for what they are]”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해(그것들 자체로)”의 의미를 전달.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함축적 의미 추론의 단서
- “<to push/ animal senses/ into Aristotelian buckets>”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찾기 위해 “Aristotelian buckets(아리스토텔레스의 통)”이 지칭하는 내용을 찾아야 합니다.
문장 1
Consider the seemingly simple question How many senses are there?
주요 단어 정리
- consider: 고려하다, 생각하다
- seemingly: 겉보기에는, 외견상
- sense: 감각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sider/ [the seemingly simple question/ How many senses/ are there?]
- 생각해 보세요/ [겉보기에 단순한 질문을/ "감각은 몇 개나 있을까요?"].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Consider/~”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동격 표현의 오류
- “[the seemingly simple question/ How many senses/ are there?]”에서 문맥상 및 의미상 “the seemingly simple question”와 직접 의문문인, “How many senses/ are there?”는 동격 관계입니다. 이런 경우, 직접 의문문은 인용부호, “”를 사용한 후, comma(,)나 전치사 “of”, “or” 등을 사용하여 표현하면, 불필요한 오해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문장 2
Around 2,370 years ago, Aristotle wrote that there are five, in both humans and animals — sight, hearing, smell, taste, and touch.
주요 단어 정리
- around+시간: 약, ~경에
- Aristotle: 아리스토텔레스 (고대 그리스 철학자)
- write: 쓰다, 기록하다
- sight: 시각
- hearing: 청각
- smell: 후각
- taste: 미각
- touch: 촉각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round 2,370 years ago,/
- 약 2,370년 전에,/
- Aristotle wrote/ [that there are five,/ <in both humans and animals>/ — <sight, hearing, smell, taste, and touch>].
- 아리스토텔레스는 기록했습니다/ [다섯 개가 있다고,/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즉/ <시각, 청각, 후각, 미각, 그리고 촉각이라는>].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wrote/ [that there are five,/~]"에서 "that"는 동사, "wrot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Aristotelian buckets”의 의미 추론 1
- 문장 2의 내용을 통해 “Aristotelian buckets”의 의미를 통해, “인간과 동물 둘 다에게 있는 오감”을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보기를 확인하면, “① sort various animal senses into fixed categories(고정된 범주로 다양한 동물의 감각들을 분류하는 것)”이 가장 가까우나, 보기의 의미로 볼 때, “오감 이외의 다른 감각에 관한 내용”이 아직 나오지 않았으므로 일단 더 읽도록 합니다.
문장 3
However, according to the philosopher Fiona Macpherson, there are reasons to doubt it.
주요 단어 정리
- philosopher: 철학자
- according to~: ~에 따르면
- doubt: 의문을 제기하다, 의심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 하지만,/
- [according to <the philosopher/ Fiona Macpherson>],/
- [<철학자/ Fiona Macpherson>에 따르면],/
- there are/ [reasons/ <to doubt/ it>].
- 있습니다/ [이유들이/ <의문을 제기할(의심할)/ 그것에(그것을)(아리스토텔리스의 주장에(을))>].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동격 표현
- “<the philosopher/ Fiona Macpherson>”에서 “the philosopher”와 “Fiona Macpherson”은 동격입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reasons/ <to doubt/ it>]”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reasons”를 수식하여 "그것에 의구심을 제기할 이유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Aristotelian buckets”의 의미 추론 2
- 문장 3의 내용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에 의구심을 제기할 이유(들)가 있다“는 내용은 알았지만, 오감 이외의 내용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아니므로 더 읽도록 합니다.
문장 4
For a start, Aristotle missed a few in humans: the perception of your own body which is different from touch and the sense of balance which has links to both touch and vision.
주요 단어 정리
- for a start: 우선
- miss: 놓치다
- perception: 지각, 인식
- balance: 균형
- link: 연결, 연관(성)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a start,/
- 우선,/
- Aristotle missed/ a few/ in humans/
- 아리스토텔레스는 놓쳤습니다/ 몇 가지를/ 인간에게서/
- :/ [<the perception/ of your own body>/ which is different/ from touch]/
- 다시 말해서/ [<지각을/ 당신 자신 신체의>/ 다른/ 촉각과는],/
- and/
- 그리고/
- [<the sense/ of balance>/ which has/ [links/ <to both touch and vision>]].
- [<감각을/ 균형의>/ 가지고 있는/ [연관성(들)을/ <촉각과 시각 둘 다에 대한>]].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and로 두 개의 명사구 병렬 연결
- “[<the perception/ of your own body>/ which is different/ from touch]”와 “[<the sense/ of balance>/ which has/ [links/ <to both touch and vision>]]”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1
- “[<the perception/ of your own body>/ which is different/ from touch]”에서 “which”는 선행사, “<the perception/ of your own body>”를 수식하여, “촉각과는 다른 당신 자신 신체의 지각”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2
- “[<the sense/ of balance>/ which has/ [links/ <to both touch and vision>]]”에서 “which”는 선행사, “<the sense/ of balance>”를 수식하여, “촉각과 시각 둘 다에 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균형 감각”의 의미를 전달.
- “Aristotelian buckets”의 의미 추론 2
- 문장 4를 통해 오감 이외의 내용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있으므로 실전에서는 ①번을 정답으로 확정하고 조금이나마 시간을 줄이기 위해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5
Other animals have senses that are even harder to categorize.
주요 단어 정리
- other: 다른
- categorize: 분류하다 (동의어: classify / 반의어: generaliz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ther animals have/ [senses/ that are even harder/ to categorize].
- 다른 동물들은 가지고 있습니다/ [감각들을/ 훨씬 더 어려운/ 분류하기에].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senses/ that are even harder/ to categorize]”에서 “that”은 선행사, “senses”를 수식하여, “분류하기에 훨씬 더 어려운 감각들”의 의미를 전달.
- 비교급 강조 부사
- “even harder”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훨씬 더 어려운"의 의미를 전달.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하기에 / ~할 정도로 / ~할 만큼”
- “even harder/ to categorize”에서 사용된 용법. “even harder”를 수식하여 “분류하기에 훨씬 더 어려운”의 의미를 전달.
문장 6
Many vertebrates have a different sense system for detecting odors. Some snakes can detect the body heat of their prey.
주요 단어 정리
- vertebrate: 척추동물
- detect: 탐지하다, 감지하다 (동의어: sense, perceive / 반의어: ignore)
- odor: 냄새
- prey: 먹이, 사냥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ny vertebrates have/ [a different sense system/ <for detecting/ odors>].
- 많은 수의 척추동물(들)이 가지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감각 체계를/ <탐지하기 위한/ 냄새를>].
- Some snakes can detect/ <the body heat/ of their prey>.
- 일부 뱀들은 감지할 수 있습니다/ <체온을/ 그것들의 사냥감의>.
어법 설명
- “~하기”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a different sense system/ <for detecting/ odors>]“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for“의 목적어 역할. ”냄새를 감지하기 위한 서로 다른 감각 체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문장 7
These examples tell us that “senses cannot be clearly divided into a limited number of specific kinds,” Macpherson wrote in The Senses.
주요 단어 정리
- divide into~: ~로 나누다
- limited: 제한된
- specific: 특정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se examples tell/ us/ [that “senses cannot be clearly divided/ <into a limited number/ of specific kinds>,”]/
- 이러한 예시가 말해 줍니다/ 우리에게/ [“감각들이 명확히 나뉠 수 없다는 것을/ <제한된 수로/ 특정 종류의>,”]/
- Macpherson wrote/ in The Senses.
- Macpherson은 기록했습니다/ ‘The Senses’에서.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ell/ us/ [that “senses cannot be clearly divided/~]"에서 "that"은 동사, "tell"의 직접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수동태[조동사 + be + pp] “cannot be clearly divided”
- "명확히 나뉠 수 있다"의 의미로 수동태.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push animal senses into Aristotelian buckets"는 동물 감각을 고정된 범주에 억지로 맞추는 방식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답안 선택
- ① sort various animal senses into fixed categories"고정된 범주로 분류한다"는 비유적 의미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 ② keep a balanced view to understand real senses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라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③ doubt the traditional way of dividing all senses전통적인 방법을 의심하는 내용은 있지만, 핵심 비유와 직접적 연관이 없습니다.
- ④ ignore the lessons on senses from Aristotle아리스토텔레스의 교훈을 무시하라는 내용은 없습니다.
- ⑤ analyze more animals to find real senses동물 감각 분석을 강조했지만, 비유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① sort various animal senses into fixed categories”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감각의 복잡성을 존중하며 연구하다"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감각을 고정된 범주에 억지로 맞추기보다, 있는 그대로 연구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Aristotelian buckets"라는 비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전통적 감각 분류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며, 감각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학문적 탐구를 강조합니다.
감각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연구할 때, 인간과 동물의 복잡한 세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교훈을 주는 이 지문은 독해와 비판적 사고력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훌륭한 학습 자료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