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어법상 오류를 찾는 문제로, 직업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다룬 글입니다. 이 지문은 직업에서 의미와 만족을 찾는 것이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설명하며, 어법적 오류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의미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어법 문제를 해결하는 Tip은 “대명사의 수를 묻는 문제를 제외하고 어법이 포함된 문장만 확인하라는 것”입니다. 어법은 대부분의 경우, 해당 문장의 해석을 통해서 대부분 해결되며 어떤 경우는 어법적 형태로 확인해야 하는 부분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어법적 형태에 대한 지식도 요구되므로 유사한 문제의 해설 내용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도 이 유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훈련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It would be hard to overstate how important meaningful work is to human beings — work ①that provides a sense of fulfillment and empowerment. Those who have found deeper meaning in their careers find their days much more energizing and satisfying, and ②to count their employment as one of their greatest sources of joy and pride. Sonya Lyubomirsky,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as conducted numerous workplace studies ③showing that when people are more fulfilled on the job, they not only produce higher quality work and a greater output, but also generally earn higher incomes. Those most satisfied with their work ④are also much more likely to be happier with their lives overall. For her book Happiness at Work, researcher Jessica Pryce­Jones conducted a study of 3,000 workers in seventy­nine countries, ⑤finding that those who took greater satisfaction from their work were 150 percent more likely to have a happier life overall.

* numerous: 수많은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It would be hard to overstate how important meaningful work is to human beings — work ① that provides a sense of fulfillment and empowerment.

주요 단어 정리

  • overstate: 과장하다
  • meaningful: 의미 있는 (동의어: significant, purposeful / 반의어: meaningless, trivial)
  • fulfillment: 성취감 (동의어: satisfaction / 반의어: dissatisfaction)
  • empowerment: 권한 부여, 자율성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would be hard/ [to overstate/ [how important/ meaningful work is/ to human beings]]/
  • 그것은 어려울 것입니다/ [과장하는 것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의미 있는 일이/ 인간에게]]/
  • —/ [work/ that provides/ [a sense/ <of fulfillment and empowerment>]].
  • 다시 말해서/ [일이/ 제공하는/ [느낌을(감을)/ <성취감과 자율성을>]].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would be hard/ [to overstate/~]”에서 ”It“는 가주어, ”to overstate~”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문맥상 부적절한 어휘 “overstate”
  • 이 문장은 “의미 있는 일이 인간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는 의미를 전달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I can’t overemphasize/ [how important/ meaningful work is/ to human beings”로 변경하거나, overstate”를 deny(부인하다)”나 “disregard(무시하다)”로 바꾸어 의미를 더욱 명확히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importantmeaningful work isto human beings]”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어법적 적절성 검토
  • [workthat provides[a sense/ <of fulfillment and empowerment>]]”에서 “that”은 선행사, “work”을 수식하여, “성취감과 자율성의 느낌을 제공하는 일”의 의미를 전달. 따라서, “① that”는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문장 2

Those who have found deeper meaning in their careers find their days much more energizing and satisfying, and ②to count their employment as one of their greatest sources of joy and pride.

주요 단어 정리

  • deeper meaning: 더 깊은 의미
  • energizing: 활력을 주는 (동의어: invigorating / 반의어: exhausting)
  • count A as B: A를 B로 여기다
  • employment: 고용 (상태), 직업
  • one of the 최상급+복수명사: 가장 ~한 복수명사 중 하나
  • source: 원천, 근원
  • joy: 기쁨, 즐거움
  • pride: 자부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ose/ who have found/ deeper meaning/ in their careers]/
  • [사람들은/ 찾은/ 더 깊은 의미를/ 그들의 직업에서]/
  • [find/ their days/ <much more energizing and satisfying>],/ and/ [to count(→count)/ their employment/ [as one/ [of their greatest sources/ <of joy and pride>]]].
  • [여깁니다/ 그들의 나날을/ <훨씬 더 활력이 넘치고 만족스럽게>]/ 그리고/ [여깁니다/ 그들의 직업을/ [하나로/ [그들의 가장 큰 원천들 중/ <기쁨과 자부심의>]]].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osewho have found/ deeper meaning/ in their careers]”에서 “who”는 선행사, “Those”를 수식하여, “그들의 직업(들)에서 더 깊은 의미를 찾은 바람들”의 의미를 전달.
  • 현재완료 시제[have + pp]
  • have found”에서 사용된 어법. “과거부터 현재 사이의” 결과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Those(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find~and count~”.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어법적 적합성 검토
  • [find/ their days/ <much more energizing and satisfying>]”와 “[to count(→count)/ their employment/ [as one/ [of their greatest sources/ <of joy and pride>]]]”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뒤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따라서, to count“는 count“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다만, 형태적으로 답을 선택하기보다 해석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 실전에서는 ②번으로 답을 선택한 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3

Sonya Lyubomirsky,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as conducted numerous workplace studies ③showing that when people are more fulfilled on the job, they not only produce higher quality work and a greater output, but also generally earn higher incomes.

주요 단어 정리

  • conduct: 수행하다, 실시하다 (동의어: carry out, perform)
  • numerous: 수많은
  • workplace study: 직장에 관한 연구
  • fulfill: 충족하다, 만족시키다
  • not on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
  • produce: 만들어 내다
  • quality: 양질의
  • quality work: 양질의 작압
  • output: 산출물 (동의어: production, yield)
  • earn: 벌다 (동의어: gain / 반의어: lose)
  • income: 수입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nya Lyubomirsky],/ [<(+a)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Sonya Lyubomirsky는],/ [교수인/ <심리학의/ <캘리포니아 대학의>]],/
  • has conducted/ [numerous workplace studies/ (which or that are) showing/ [that [when people are more fulfilled/ on the job],/ they [not only produce/ <higher quality work and a greater output>],/ [but also generally earn/ higher incomes]]].
  • 수행해 왔습니다/ [수많은 직장에 관한 연구(들)를/ 보여주는/ [[사람들이 더 충족될 때/ 직장에서],/ 그들이 [만들어낼 뿐만 아니라/ <더 높은 품질의 작업과 더 큰 산출물을>],/ [일반적으로 번다는 것을/ 더 높은 수입을]]].

어법 설명

  • 동격 관계
  • [Sonya Lyubomirsky]“와 ”[<(+a)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는 동격 관계입니다. 주어로 사용되었고, 단수입니다. 다만, 영어는 동격 관계에서도 수의 일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professor 앞에 (+a)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Sonya Lyubomirsky]”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has conducted“.
  • 현재완료 시제(has conducted)
  •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연구를 나타내어 ”수행해 왔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어법의 적절성 검토
  • "[numerous workplace studies/ (which or that are) showing/~]“에서 사용된 용법. ”showing~“은 선행사, ”numerous workplace studie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을 보여주고 있는 수많은 직장에 관한 연구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어법상 적절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howing[that [when people are more fulfilledon the job],/ they [not only produce/ <higher quality work and a greater output>],/ [but also generally earn/ higher incomes]]]"에서 "that"은 현재분사, "showing"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people are more fulfilledon the job]”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다만, 어법상 구와 절을 삽입할 때 앞뒤로 comma(,)로 분리해야 합니다. 따라서 "[that, [when people are more fulfilledon the job],/~"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 두 개의 동사구를 병렬로 연결
  • [not only produce/ <higher quality work and a greater output>]”와 “[but also generally earn/ higher incomes]”를 등위 상관 접속사 “not only~but also...”로 병렬 연결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뒤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문장 4

Those most satisfied with their work ④are also much more likely to be happier with their lives overall.

주요 단어 정리

  • satisfied: 만족된, 만족한 (동의어: content, pleased / 반의어: dissatisfied)
  • be satisfied with~: ~에 만족되다(만족하다)
  • be much more likely to 부정사: 훨씬 더 ~할 가능성이 높다
  • be happy with~: ~에 만족하다
  • overall: 전반적으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ose/ (who or that are) most satisfied/ with their work]/
  • [사람들은/ 가장 만족된(만족한)/ <그들의 일에>]/
  • are also much more likely to be happier/ with their lives/ overall.
  • 또한 훨씬 더 만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들의 삶에/ 전반적으로].

어법 설명

  • ~된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ose(who or that are) most satisfiedwith their work]“에서 사용된 용법. ”그들의 일에 만족된(만족한)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 ”Thos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는 언제든 생략 가능.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결과] “~하게 되어(될) / ~하게 되다니 / 결국 ~하게 된”
  • much more likely to be happier”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형용사구, “much more likely”를 수식하여 “더 만족하게 될 훨씬 더 높은 가능성이 있는”의 의미를 전달. 다만, “훨씬 더 만족할 높은 가능성”으로 의역할 뿐입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
  •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문장 5

For her book Happiness at Work, researcher Jessica Pryce-Jones conducted a study of 3,000 workers in seventy-nine countries, ⑤finding that those who took greater satisfaction from their work were 150 percent more likely to have a happier life overall.

주요 단어 정리

  • researcher: 연구원
  • conduct: 수행하다
  • satisfaction: 만족
  • finding: 발견하다 (현재분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her book/ Happiness at Work>],/ <(+a) researcher/ Jessica Pryce-Jones>/ conducted/ <a study/ of 3,000 workers>/ in seventy-nine countries,/
  • [<그녀의 책인/ Happiness at Work>을 위해],/ <연구원인/ Jessica Pryce-Jones는>/ 수행했습니다/ <연구를/ 3,000명의 근로자들에 대한>/ 79개국에서,/
  • [finding/ [that [those/ who took/ greater satisfaction/ from their work]/ were 150 percent more likely to have/ a happier life/ overall]].
  • [알아내면서/ [[사람들이/ 얻었던/ 더 큰 만족을/ 그들의(자신의) 일로부터]/ 150% 더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 행복한 삶을/ 전반적으로]].

어법 설명

  • 동격 관계
  • “her book”와 “Happiness at Work”의 관계, 및 “(+a) researcher”와 “Jessica Pryce-Jones”의 관계는 동격 관계입니다. 문장 1에서처럼 “researcher”앞에도 “(+a)”를 추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분사구문
  • [finding[that [thosewho took/ greater satisfaction/ from their work]were 150 percent more likely to have/ a happier life/ overall]]”은 “[while she foun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she(=Jessica Pryce-Jones)”가 생략되고 동사 “found”가 “find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현재 분사 “finding”은 다른 형태 “to find“ 과거분사 ”found“의 형태로 변경 후 어법의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finding[that [thosewho took/ greater satisfaction/ from their work]were 150 percent more likely to have/~]]"에서 "that"은 현재분사, "finding"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that 절 내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that 절의 주어는 “those(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were(복수)”.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osewho took/ greater satisfaction/ from their work]”에서 “who”는 선행사, “those”를 수식하여, “그들의(자신의) 일로부터 더 큰 만족을 얻었던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글의 핵심 주장은 "의미 있는 일이 사람들에게 활력을 주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직업에서 만족을 얻는 것이 삶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어법상 틀린 부분

  • 문장 2에서 “to count their employment as~”는 병렬 구조를 어긴 어법적 오류입니다.
  • 앞의 “find their days much more energizing and satisfying”와 병렬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동사원형 “count”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② to count → count

결론

"작은 행동, 큰 영향!"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의미 있는 일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주제를 중심으로, 직업의 중요성과 삶의 질 간의 관계를 강조합니다. 이번 지문의 어법 문제 해결의 핵심은 문장 구조와 병렬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로 어법을 검토하여, "to count"의 병렬 구조 오류를 지적하고, 이를 "count"로 수정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학생들이 어법 문제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