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환경 속 세부사항 인지와 속도의 상관관계"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0번 문제는 속도와 환경 인지 능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의 이동 방식에 따라 세부사항을 얼마나 인지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분석은 문장별 청크 구조, 어법, 어휘의 적절성 판단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체계적으로 강화합니다. 특히, 문맥상 어휘 오류를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정답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문맥상 어휘의 사용이 적절하지 않은 것을 찾는 문제는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와 유사합니다. 핵심 주장이나 핵심 내용을 파악하여 이와 배치되는 어휘를 발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독해 과정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읽어나가며, 반의어가 포함된 문장에서 적절하지 않은 어휘를 추적하는 방식이 유효합니다.
문장별 분석에는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The rate of speed at which one is traveling will greatly etermine the ability to process detail in the environment. In evolutionary terms, human senses are adapted to the ① speed at which humans move through space under their own power while walking. Our ability to distinguish detail in the environment is therefore ideally ② suited to movement at speeds of perhaps five miles per hour and under. The fastest users of the street, motorists, therefore have a much more limited ability to process details along the street ― a motorist simply has ③ enough time or ability to appreciate design details. On the other hand, pedestrian travel, being much slower, allows for the ④ appreciation of environmental detail. Joggers and bicyclists fall somewhere in between these polar opposites; while they travel faster than pedestrians, their rate of speed is ordinarily much ⑤ slower than that of the typical motorist.
* distinguish: 구별하다 ** pedestrian: 보행자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rate of speed at which one is traveling will greatly determine the ability to process detail in the environment.
주요 단어 정리
- rate: 속도 (동의어: pace, velocity / 반의어: stillness)
- speed: 속도
- travel: ‘이동하다
- determine: 결정하다 (동의어: decide, dictate / 반의어: ignore)
- process: 처리하다 (동의어: handle, analyze / 반의어: overlook)
- detail: 세부사항 (동의어: specifics, particulars / 반의어: generaliz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rate/ of speed(→The speed/ of movement)>/ at which/ one is traveling]/
- [<비율은/ 속도의(→속도는/ 이동의)>/ 그것(그 속도)에서/ 사람이 이동하는]
- will greatly determine/
- 크게 결정할 것입니다/
- [the ability/ [to process/ <detail/ in the environment>]].
- [능력을/ [처리하는/ <세부 사항을/ 주변 환경 내에서>]].
어법 설명
- 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 관계부사] + 완전한 문장
- "[<The rate/ of speed(→The speed/ of movement)>/ at which/ one is traveling]"에서 “at which”는 선행사, “<The rate/ of speed(→The speed/ of movement)>”를 수식하는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문맥상 부정확한 표현
- 문맥상 “<The rate/ of speed(속도의 비율)>”는 “The speed/ of movement(이동의 속도(=이동 속도))”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이동 속도”란 “운동하고 있는 물체의 고정 대상에 대한 속도”, 즉 주변이 정지된 상태에서 움직이는 대상이 보이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마치 "절대속도"를 "상대속도"로 표현한 것과 동일한 오류에 해당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the ability/ [to process/ <detail/ in the environment>]]”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ability”를 수식하여 “주변 환경 내의 세부 사항을 처리하는 능력”의 의미를 전달.
문장 2
In evolutionary terms, human senses are adapted to the ① speed at which humans move through space under their own power while walking.
주요 단어 정리
- evolutionary: 진화의 (동의어: developmental / 반의어: static)
- term: 측면
- sense: 감각
- adapt to~: 적응하다 (동의어: adjust to, accommodate / 반의어: resist)
- through~: ~을 통해
- under one's own power: 스스로의 힘으로 (의역: 자력으로)
- while ~ing: ~하는[~하고 있는] 동안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evolutionary terms,/
- 진화론적 관점에서,/
- human senses are adapted/ [to the speed/ at which/ humans move/ through space/ under their own power/ [while walking]].
- [인간의 감각은 적응되어 있습니다/ [그 속도에/ 그것(그 속도)에서/ 인간이 이동하는/ 공간을 통해/ 자력으로/ [걸을(걷고 있을) 때]].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by[with/of/to]~)] “are adapted to~”
- "~에 적응되어(적응해) 있다"의 의미로 수동태.
- 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 관계부사] + 완전한 문장
- "the speed/ at which/ humans move/ through space/ under their own power"에서 “at which”는 선행사, “the speed”를 수식하는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인간이 (그 속도에서) 자력으로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속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분사구문
- “[while walking]”은 “[while they walk]”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humans)”가 생략되고 동사 “walk”가 “walk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1
- “speed”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3
Our ability to distinguish detail in the environment is therefore ideally ② suited to movement at speeds of perhaps five miles per hour and under.
주요 단어 정리
- ability: 능력
- distinguish: 구별하다 (동의어: differentiate, discern / 반의어: confuse)
- environment: 주변 환경
- ideally: 이상적으로 (동의어: perfectly / 반의어: poorly)
- suit: 적합하다 (동의어: match, fit / 반의어: misfit)
- movement: 움직임
- five miles per hour and under: 시간당 5마일 및 그 이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ur ability/ [to distinguish/ <detail/ in the environment>]]/
- [우리의 능력은/ [구별하는/ <세부 사항을/ 주변 환경에서의>]]/
- is therefore ideally suited/ [to movement/ [at speeds/ <of perhaps five miles per hour and under>]].
- [그러므로 이상적으로 적합하게 되어 있습니다/ [움직임에/ [속도(들)에서의/ <아마도 시속 5마일과 그 이하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Our ability”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Our ability/ [to distinguish/ <detail/ in the environment>]]”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Our ability”를 수식.
- 수동태[be + pp + (by[with/of/to]~)] “be ideally suited to~”
- "~에 이상적으로 적합하게 되어 있다"의 의미로 수동태.
- 접속부사 "therefore"
- 문장 내에서 "따라서 / 그러므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2
- “suited”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4
The fastest users of the street, motorists, therefore have a much more limited ability to process details along the street ― a motorist simply has ③ enough time or ability to appreciate design details.
주요 단어 정리
- motorist: 운전자 (동의어: driver, car operator)
- appreciate: 감상하다, 이해하다 (동의어: admire, value / 반의어: neglect)
- limited: 제한된 (동의어: restricted / 반의어: unlimited)
- along the street: 거리를 따라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fastest users/ of the street>/ <motorists>],/
- [가장 빠른 사용자들/ <도로의>/ 운전자들],/
- therefore/ have/ [a much more limited ability/ <to process/ details>/ [(+while moving) along the street]]/
- 그러므로/ 갖게 됩니다/ [훨씬 더 제한된 능력을/ <처리하는/ 세부 사항들을>/ [(+이동하면서) 도로를 따라서]]/
- ― a motorist simply has/ ③ [<enough(→not enough/insufficient/inadequate) time or ability>/ <to appreciate/ design details>].
- 즉/ 운전자는/ 단지 갖게 됩니다/ [<충분한(→충분하지 않은/불충분한) 시간 또는 능력을>/ <감상하기 위한/ 디자인 세부 사항(들)을>].
어법 설명
- 동격 표현
- “<The fastest users/ of the street>”와 “<motorists>”는 동격 관계입니다.
- 접속부사 "therefore"
- 문장 내에서 "따라서 / 그러므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fastest users(=motorist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have“.
- 비교급 강조 부사
- ”much more“에서 사용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1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 much more limited ability/ <to process/ details>”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a much more limited ability”를 수식.
- 불완전 표현의 교정 필요성
- 문맥상 “along the street(도로를 따라서)”는 “도로를 따라서 이동하면서(while moving/ along the street)”의 완전한 표현으로, “(+while moving)”정도를 추가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2 “~할 / ~하는 / ~하기 위한”
- “[<enough(→not enough/insufficient/inadequate) time or ability>/ <to appreciate/ design details>]”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enough(→not enough/insufficient/inadequate) time or ability>”를 수식.
- 어휘의 적절성 판단 3
- “enough”는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not enough”, “inadequate”, “insufficient” 등의 반대 표현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③번으로 답을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5
On the other hand, pedestrian travel, being much slower, allows for the ④ appreciation of environmental detail.
주요 단어 정리
- on the other hand: 반면에
- pedestrian: 보행자 (동의어: walker / 반의어: driver)
- appreciation: 감상 (동의어: admiration, recognition / 반의어: ignora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 the other hand,/
- 반면에,/
- [pedestrian travel,/ (which or that is)
beingmuch slower],/ - [보행자 이동은,/ 훨씬 더 느린],/
- allows for/ <the appreciation/ of environmental detail>.
- 가능하게 합니다/ <감상을/ 환경적 세부 사항의>.
어법 설명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의미상 오류
- "[pedestrian travel,/ (which or that is)
beingmuch slower]“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pedestrian travel“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이럴 경우, ”훨씬 더 느려지고 있는 보행자 이동“이 되어 의미상 적절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진행형 형태의, ”being“을 없애, ”훨씬 더 느린 보행자 이동“으로 변경해야 의미상 적절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pedestrian travel"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allows for".
- 비교급 강조 부사
- "much slower"에서 사용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allow for와 allow의 구분
- "allow for"는 ”~을 고려하다/~을 참작하다“의 기본 의미를 내포한 상태로, "~을 가능하게 하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allow(허용하다)”와는 구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4
- "appreciation"은 "감상"의 의미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6
Joggers and bicyclists fall somewhere in between these polar opposites; while they travel faster than pedestrians, their rate of speed is ordinarily much ⑤ slower than that of the typical motorist.
주요 단어 정리
- jogger: 조깅하는 사람
- bicyclist: 자전거 타는 사람
- fall: 속하다, 들다
- somewhere: 어딘가에
- in between~: (전치사) ~사이에, (부사) 그 사이에
- polar opposites: 극단적으로 반대인 것
- ordinarily: 보통, 대체로 (동의어: typically, usually / 반의어: unusu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Joggers and bicyclists>/ fall/ [somewhere/ <in between these polar opposites>]/
- <조깅하는 사람들과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은>/ 속합니다/ [어딘가에/ <이 극단적인 반대들 사이의>]/;/
- ;/ [while they travel/ faster/ than pedestrians],/
- 즉/ [그들이 이동하는 반면에/ 더 빠르게/ 보행자들보다],/
- <their rate/ of speed(→their speed/ of movement)>/ is ordinarily much slower/ <than that/ of the typical motorist>.
- <그들의 비율은/ 속도의(→그들의 속도는/ 이동의(=그들의 이동 속도는))>/ 보통 훨씬 더 느립니다/ <그것(이동 속도)보다/ 일반적인 운전자의>.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while + 주어 + 동사”
- “[while they travel/ faster/ than pedestrians]”에서 사용된 어법. “~이긴 하지만 / ~인 반면에”의 의미를 전달.
- 문맥상 부정확한 표현
- 문맥상 “<Their rate/ of speed(그들의 속도의 비율)>”는 “Their speed/ of movement(그들의 이동 속도)”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문장 1에서 지적한 내용과 동일합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
- ”much slower“에서 사용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비교의 대상을 대신할 때 사용하는 대명사 “that / those”
- 비교의 대상을 대신할 때, 비교의 대상이 단수이면 “that”, 복수이면 “those”를 사용합니다. 이 문장에서는 “<their rate/ of speed(→their speed/ of movement)>”를 대신하기 때문에 “that”을 사용.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속도에 따라 주변 환경의 세부사항을 인지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다. 운전자는 세부사항을 인지하는 데 제약이 크지만, 보행자는 더 많은 세부사항을 감상할 수 있다.
오답 분석
- ③ "enough time or ability"
- 문맥상, 운전자는 환경의 디자인 세부 사항을 감상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없으므로 "not enough(inadequate/insufficient) time or ability"로 표현해야 적절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③ enough“가 적절하지 않은 어휘의 사용에 해당합니다.
결론
"속도, 인지, 그리고 정답의 핵심 논리"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0번 지문은 속도가 인간의 세부 사항 인지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진화적 관점에서 설명하며, 속도와 인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합니다. 운전자,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의 속도 차이는 곧 환경 감상의 수준 차이로 이어진다는 점을 논리적으로 전개합니다.
문제 풀이의 핵심은 "enough"가 적절하지 않음을 간파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의 행동과 속도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문맥상 어휘 오류를 통해 전체 글의 핵심 주장을 파악하고, 어휘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능력을 훈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기반 해석, 영어와 한국어 어순 및 수식 구조 비교는 문제 해결 능력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수 있는 도구로 작용합니다. 이와 함께, 상세한 어법 설명과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팁을 활용하여 지문에 포함된 오류를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문법적 연결 고리를 이해하고, 지문 내용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