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기후 변화와 생물 이동의 상관관계"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은 기후 변화가 생물의 생존과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합니다. 특정 종의 생존을 위한 기후적 요구조건이 변화하면, 이에 적응하기 위해 생물들이 이동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이번 지문은 이동의 의미를 전달하는 단어를 생소한 단어로 구성하여 정답을 찾기 어려웠던 특이한 경우일 뿐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1.
Every species has certain climatic requirements — what degree of heat or cold it can endure, for example. When the climate changes, the places that satisfy those requirements change, too. Species are forced to follow. All creatures are capable of some degree of ____________. Even creatures that appear immobile, like trees and barnacles, are capable of dispersal at some stage of their life — as a seed, in the case of the tree, or as a larva, in the case of the barnacle. A creature must get from the place it is born — often occupied by its parent — to a place where it can survive, grow, and reproduce. From fossils, scientists know that even creatures like trees moved with surprising speed during past periods of climate change.
* barnacle: 따개비 ** dispersal: 분산 *** fossil: 화석
① endurance ② movement ③ development
④ transformation ⑤ communication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Every species has certain climatic requirements — what degree of heat or cold it can endure, for example.
주요 단어 정리
- species: 종 (동의어: type, kind)
- climatic requirement: 기후적 요구조건
- what degree of~: 어느 정도의~
- endure: 견디다 (동의어: withstand, tolerate / 반의어: succumb)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ry species has/ certain climatic requirements/
- 모든 종은 가지고 있습니다/ 특정한 기후적 요구조건들을/
- —/ [<what degree of heat or cold>/ it can endure],/ for example.
- 즉/ [<어느 정도의 더위나 추위를>/ 그것이 견딜 수 있는지] 같은,/ 예를 들어.
어법 설명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at degree of heat or cold>/ it can endur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문장 2
When the climate changes, the places that satisfy those requirements change, too.
주요 단어 정리
- climate: 기후
- satisfy: 만족시키다 (동의어: meet, fulfill / 반의어: disappoi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e climate changes],/
- [기후가 변할 때],/
- [the places/ that satisfy/ those requirements]/ change,/ too].
- [장소들이/ 만족시키는/ 그러한 요구 조건들을]/ 변화합니다,/ 또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e climate changes]”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place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change“.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places/ that satisfy/ those requirements]에서 “that”은 선행사, “the places”을 수식하여, “그러한 요구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장소들”의 의미를 전달.
문장 3
Species are forced to follow.
주요 단어 정리
- force: 강요하다 (동의어: compel, drive / 반의어: allow)
- follow: 따르다, 따라가다 (동의어: pursue, track / 반의어: lea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pecies are forced/ to follow.
- 종들은 강요받습니다/ 따르도록.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are forced"
- "강요받다"의 의미로 수동태.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are forced/ to follow”에서 사용된 용법. 주어가 외부 요인(기후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는 능동문 “The climate change forces/ species/ to follow.”의 수동태 구조이며, “by the climate change”는 생략된 상태입니다.
- 문장 1 ~ 문장 3의 핵심 내용
- 특정 종의 생존에 필요한 기후 조건이 기후가 변할 때 바뀌며, 생태 종은 이 변화를 따라야 한다는 내용.
문장 4
All creatures are capable of some degree of 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creature: 생물
- be capable of ~: ~의 능력이 있다
- some degree of ~: 어느 정도의~ (동의어: some extent of, some level of)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l creatures are capable/ <of some degree/ of ____________>.
- 모든 생물들은 능력이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____________의>.
어법 설명
- 전치사구 "of + 명사"
- "of some degree of ____________"는 capable의 목적어 역할.
- 빈칸의 추론
- 모든 생물이 가지고 있는 능력인, “어느 정도의 ____________”을 찾아야 합니다. 문장 1~3까지는 관련 내용이 기술되지 않았으므로, 문장 5 이하에서 찾아야 합니다.
문장 5
Even creatures that appear immobile, like trees and barnacles, are capable of dispersal at some stage of their life — as a seed, in the case of the tree, or as a larva, in the case of the barnacle.
주요 단어 정리
- immobile: 움직일 수 없는 (동의어: stationary / 반의어: mobile)
- barnacle: 따개비
- stage: 단계dispersal: 분산, 이동 (동의어: scattering, distribution)
- seed: 씨앗
- larva: 유충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n creatures/ that appear immobile],/ <like trees and barnacles>],/ are capable/ of dispersal/ <at some stage/ of their life>.
- [[심지어 생물들조차도/ 움직일 수 없게 보이는],/ <나무들과 따개비 같은>]/ 능력이 있습니다/ 이동의/ <어느 단계에서는/ 그들의 생애의>.
- —/ [as a seed,/ <in the case/ of the tree>],/ or/ [as a larva,/ <in the case/ of the barnacle>].
- 즉/ [씨앗으로써/ <경우에/ 나무의>],/ 혹은/ [유충으로써,/ <경우에/ 따개비의>].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Even creatures/ that appear immobile]”에서 “that”은 선행사, “Even creatures”을 수식하여, “심지어 이동할 수 없게 보이는 생물들조차도”의 의미를 전달.
- 빈칸의 추론의 단서 1
- “dispersal”의 의미가 “이동”의 의미로 사용된 것을 안다면, 바로 “② movement(이동)”으로 선택할 수 있으나, 많은 학생들이 “이동”의 의미로 선택할 수 있는 평범한 단어가 아니므로 모른다고 가정하고 계속 읽도록 합니다.
문장 6
A creature must get from the place it is born — often occupied by its parent — to a place where it can survive, grow, and reproduce.
주요 단어 정리
- get: 이동하다
- from A to B: A에서 B로
- occupy: 점유하다
- survive: 생존하다
- grow: 성장하다reproduce: 번식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creature must get/ [from [the place/ (where) it is born]/ — (which or that is) often occupied/ by its parent]/ — [to a place/ where it can survive, grow, and reproduce].
- 생물은 이동해야 합니다/ [[장소로부터/ 그것이 태어난]/ 종종 점유되는/ 그것의 부모에 의해]/ - [장소로/ 그것이 생존하고, 성장하고, 번식할 수 있는].
어법 설명
- 관계부사의 생략
- "[the place/ (where) it is born]"에서 생략된, “(where)”는 선행사, “the place”를 수식하여, ”그것이 태어난 장소”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 place/ (where) it is born]/ — (which or that is) often occupied/ by its parent“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것의 부모에 의해 종종 점유되는 그것이 태어난 곳“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인, ”[the place/ (where) it is born]“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a place/ where it can survive, grow, and reproduce"에서 “where”는 선행사, “a place를 수식하여, ”그것이 생존하고 성장하고 번식할 수 있는 장소”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아무 의미를 전달하지 못하는 문장 부호 —
- 문장 부호, —는 부연 설명의 역할을 하지만, 이 문장에서는 복잡성을 더해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공적 문서에 해당하는 모의고사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태도입니다.
- 빈칸의 추론의 단서 2
- 문장 5에서도 “get”의 의미가 “이동하다”의 의미로 사용된 것을 안다면, 바로 “② movement(이동)”으로 선택할 수 있으나, 많은 학생들이 “이동하다”의 의미로 선택할 수 없었다고 가정하고 계속 읽도록 합니다.
문장 7
From fossils, scientists know that even creatures like trees moved with surprising speed during past periods of climate change.
주요 단어 정리
- fossil: 화석
- surprising speed: 놀라운 속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rom fossils,/
- 화석으로부터,/
- scientists know/ [that <even creatures/ like trees>/ moved/ with surprising speed/ <during past periods/ of climate change>].
- 과학자들은 압니다/ [<심지어 생명체들조차도/ 나무들과 같은>/ 이동했다는 것을/ 놀라운 속도로/ <지난 기간들 동안/ 기후 변화의>].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know/ [that <even creatures/ like trees>/ moved/~]"에서 "that"은 동사, "know"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빈칸의 추론의 단서 3
- 문장 6에서 결정적인 단어 “moved”가 사용되어, “② movement(이동)”가 정답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앞서 "dispersal"과 "get"을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movement"를 바로 추론하는 것을 막았다는 것이 드러납니다. 수험 목적이 글이 아니었다면 과연 어떤 저자가 이런 식으로 글을 작성할까요?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생물들은 기후 변화에 따라 이동해야 한다.
- 모든 생물은 어느 정도의 이동 능력을 가지며, 이는 생존, 성장, 번식을 위해 필수적이다.
근거 문장 제시
- Even creatures that appear immobile, like trees and barnacles, are capable of dispersal at some stage of their life — as a seed, in the case of the tree, or as a larva, in the case of the barnacle.
- A creature must get from the place it is born — often occupied by its parent — to a place where it can survive, grow, and reproduce.
- From fossils, scientists know that even creatures like trees moved with surprising speed during past periods of climate change.
정답 도출
- 문맥상 빈칸에는 “이동”의 의미가 들어가야 합니다. 따라서 ② movement가 가장 적합합니다.
결론
"생물 이동, 생존, 그리고 문제 해결"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은 생물들의 이동 능력이 생존, 성장, 번식에 필수적임을 설명하며, 기후 변화와의 밀접한 연관성을 강조합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기후 변화와 생물의 이동", "문법적 통찰과 빈칸 추론" 등의 키워드를 통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수능 및 모의고사 대비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을 드렸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