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반대 의견을 경청하는 리더십: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빈칸 문제 풀이”
오늘 다룰 문제는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에서 출제된 빈칸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상사들이 반대 의견을 수용하는 태도가 조직 내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루며, 어법과 논리적 독해력을 요구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2.
No respectable boss would say, “I make it a point to discourage my staff from speaking up, and I maintain a culture that prevents disagreeing viewpoints from ever getting aired.” If anything, most bosses even say that they are prodissent. This idea can be found throughout the series of conversations with corporate, university, and nonprofit leaders, published weekly in the business sections of newspapers. In the interviews, the featured leaders are asked about their management techniques, and regularly claim to continually encourage _______________ from more junior staffers. As Bot Pittman remarked in one of these conversations: “I want us to listen to these dissenters because they may intend to tell you why we can’t do something, but if you listen hard, what they’re really telling you is what you must do to get something done.” [3점] * dissent: 반대
① unconditional loyalty ② positive attitude ③ internal protest
④ competitive atmosphere ⑤ outstanding performance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No respectable boss would say, “I make it a point to discourage my staff from speaking up, and I maintain a culture that prevents disagreeing viewpoints from ever getting aired.”
주요 단어 정리
- respectable: 존경할 만한
- boss: 상사
- make it a point to ~: ~하는 것을 중시하다
- discourage: 단념하게 하다, 좌절시키다
- speaking up: 거리낌 없이 말하기
- maintain: 유지하다
- prevent A from B: A가 B하지 못하게 하다
- get aired: 표출되다, 드러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 respectable boss would say,/
- 어떠한 존경받는 상사도 말하지 않을 것입니다,/
- “I make it a point/ [to discourage/ my staff/ from speaking up],/ and/ I maintain/ [a culture/ that prevents/ disagreeing viewpoints/ from ever getting aired].”
- “나는 그것을 중시합니다라고/ [막는 것을/ 내 직원들을/ 거리낌 없이 말하는 것으로부터(내 직원들이 꺼리낌 없이 말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을)],/ 그리고/ 나는 유지합니다/ [문화를/ 막는/ 반대되는 견해들이/ 전혀 표줄되는 것으로부터(반해되는 견해들이 전혀 표출되지 못하게 막는)].”
어법 설명
- 명사의 부정
- “No respectable boss would say”에서 사용된 어법. 한국어는 명사를 부정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동사에 부정을 넣고 주어에 “Any”를 넣은 형태, 즉, “Any respectable boss would not say”로 해석합니다.
- It(가목적어) ~ to 부정사(진목적어) 용법
- “I make it a point/ [to discourage/ my staff/ from speaking up]”에서 ”it“는 가목적어, ”[to discourage~]”은 진목적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목적어)’와 ‘to 부정사(진목적어)“ 구조는 목적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discourage[prevent / keep / stop]+목적어+from V-ing
- “목적어를 ~하는 것으로부터 막다”의 의미를 전달하나. “목적어가 ~하지 못하게 막다”로 의역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culture/ that prevents/ disagreeing viewpoints/ from ever getting aired]”에서 “that”은 선행사, “a culture”를 수식하여, “반대되는 의견들을 표줄되는 것으로부터 막는 문화(반대되는 의견들이 표출되지 못하도록 막는 문화)”의 의미를 전달.
- 수동 구문[get[become] + pp]
- “getting aired”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표출되는 것”의 의미를 전달.
문장 2
If anything, most bosses even say that they are pro-dissent.
주요 단어 정리
- If anything: 오히려
- pro-dissent: 반대 의견에 우호적인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anything,/ most bosses even say/ [that they are pro-dissent].
- 오히려,/ 대부분의 상사들은 심지어 말합니다/ [그들이 반대 의견에 우호적이라고].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ay/ [that they are pro-dissent]"에서 "that"은 동사, "say"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문장 3
This idea can be found throughout the series of conversations with corporate, university, and nonprofit leaders, published weekly in the business sections of newspapers.
주요 단어 정리
- idea: 생각, 개념
- throughout~: ~전반에서, ~도처에서
- the series of~: 일련의~
- conversation: 대화
- corporate: 기업의
- nonprofit: 비영리의
- published: 출판된
- weekly: 주마다
- business section: 경제면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dea can be found/ throughout [[the series of conversations/ <with corporate, university, and nonprofit leaders>]/, (which or that are) published/ weekly/ <in the business sections/ of newspapers>].
- 이러한 개념은 발견될 수 있습니다/ [[일련의 대화들 전반에서/ <기업, 대학, 및 비영리 단체의 리더들과의>],/ 출판되는/ 주마다/ <경제면에서/ 신문들의>].
어법 설명
- 수동태[조동사 + be + pp]
- “can be found”에서 사용된 어법. "발견될 수 있습니다"의 의미로 수동태.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 series of conversations/ <with corporate, university, and nonprofit leaders>]/, (which or that are) published/ weekly/ <in the business sections/ of newspaper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series of conversations/ <with corporate, university, and nonprofit leader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합니다.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 합니다. ”신문들의 경제면에서 매주 출판되는 기업, 대학 및 비영리 단체 리더들과의 일련의 대화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4
In the interviews, the featured leaders are asked about their management techniques, and regularly claim to continually encourage _______________ from more junior staffers.
주요 단어 정리
- interview: 인터뷰
- feature: 특집으로 다루다
- management technique: 경영 기법
- regularly: 정기적으로
- claim: 주장하다
- continually: 지속적으로
- encourage: 장려하다
- junior staffers: 하위 직원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e interviews,/
- 그 인터뷰들 내에서,/
- the featured leaders are asked/ about their management techniques,/
- 특집으로 다뤄진 리더들은 질문받습니다/ 그들의 경영 기법에 대해서,/
- and/
- 그리고/
- (they) regularly claim/ [to continually encourage/ _______________/ from more junior staffers].
- (그들은) 정기적으로 주장합니다/ [지속적으로 장려한다고/ <_______________/ 하위 직원들로부터의>].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claim/ [to continually encourage/ _______________/ from more junior staffers]"에서 사용된 어법. "[to continually encourage/~]"는 동사 "claim"의 목적어로 쓰인 "to 부정사" 구조.
- 빈칸의 추론
- 먼저 빈칸이 들어간 문장을 읽고 문장 1부터 독해했다면, 빈칸에는 ”반대 의견“의 의미하는 표현이 들어가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보기에서 그에 매칭되는 표현은 ”③ internal protest(내부의 항의)“뿐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정답을 ③번으로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5
As Bot Pittman remarked in one of these conversations: “I want us to listen to these dissenters because they may intend to tell you why we can’t do something, but if you listen hard, what they’re really telling you is what you must do to get something done.”
주요 단어 정리
- remark: 말하다
- dissenter: 반대 의견을 가진 사람
- intend to 부정사: ~하려고 의도하다
- get something done: 무언가를 이루어지게 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Bot Pittman remarked/ <in one/ of these conversations>]/
- [Bot Pittman이 말했던 것처럼/ <하나에서/ 이 대화들 중>]/
- :/ “I want/ us/ <to listen/ to these dissenters>/
- : / “저는 원합니다/ 우리에게(우리가)/ <귀 기울이기를/ 이 반대 의견을 가진 사람들에게>,/
- [because they may intend to tell/ you/ [why we can’t do/ something],/ but/ (if you listen/ hard),/ [what they’re really telling/ you]/ is(→may be)/ [what you must do/ <to get/ something/ done>]].”
- [왜냐하면 그들이 말하려고 의도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당신에게/ [왜 우리가 할 수 없는지를/ 어떤 일을],/ 하지만/ (만약 당신이 귀 기울인다면/ 열심히),/ [그들이 진정으로 말하려고 하는 것이/ 당신에게]/ [당신이 해야만 하는 것이기(→일 수 있기) 때문에/ <하기 위해서/ 무언가를/ 이루어지게>]].”
어법 설명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Bot Pittman remarked/~]”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의 의미를 전달.
- comma(,)를 대체하는 문장부호 colon(:)
- 문장 부호는 문장이나 문장 성분을 부연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이 문장에서 사용된 colon(:)은 comma(,) 역할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여 어법상 적절하지 못합니다.
- 5형식 문형 "want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want/ us/ <to listen/ to these dissenters>"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want”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they may intend to tell/~]”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y we can’t do/ something]”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 listen/ hard)”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they’re really telling/ you]”와 “[what you must do/ <to get/ something/ done>]”에서 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각각, ”그들이 당신에게 진정으로 말하려고 하는 것“과 ”무언가를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 당신이 해야만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맥상 부적절한 어휘의 사용 "is"
- "because 절"의 동사구 "may intend to tell"로 알 수 있듯이, 이 내용은 추정을 기반으로 하는 진술의 일관성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is"는 "may be"로 표현해야 적절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get/ something/ done>”에서 사용된 용법.
- 5형식 문형 "get + 목적어 + 목적격 보어(pp)"
- “get/ something/ done”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수동인 경우, 목적격 보어로 과거분사(pp)가 사용된 경우로 “무언가를 이루어지게 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상사들은 하위 직원들의 의견을 수용하며, 특히 반대 의견(dissent)을 경청하는 것이 조직의 발전에 필수적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근거 문장
- No respectable boss would say, “I make it a point to discourage my staff from speaking up, and I maintain a culture that prevents disagreeing viewpoints from ever getting aired.”
- 반대되는 의견을 수용하는 상사들의 태도를 반대의 상황으로 표현합니다.
- If anything, most bosses even say that they are pro-dissent.
- 대부분의 상사들은 자신이 반대 의견에 우호적이라고 말합니다.
정답 도출
- 주요 근거 문장들은 상사들이 반대 의견을 경청하는 것이 중요한 경영 방침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빈칸에 들어갈 말로는 "내부 반대"를 의미하는 표현이 적합합니다.
- 정답: ③ internal protest (내부의 반대)
결론
“반대 의견 경청의 중요성과 문제 해결 능력 강화”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2번 빈칸 문제는 리더십과 조직 내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다룬 지문으로, 반대 의견을 경청하는 태도가 조직의 발전에 필수적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본 분석은 학생들에게 어법과 논리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하며, 독해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영어 지문에서 논리적 연결고리를 찾고 정답을 추론하는 능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길 희망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