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교육의 관점: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 빈칸 문제 분석”

오늘 소개할 문제는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4번에서 출제된 빈칸 추론 문제로, 초보자와 전문가의 관점 차이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지문은 전문가가 초보자의 학습 난이도를 과소평가하는 경향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며, 독해력과 논리적 추론 능력을 요구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어법과 맥락을 살펴보며 정답 도출 과정을 명확히 제시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A number of research studies have shown how experts in a field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 when introducing newcomers to that field. For example, in a genuine training situation, Dr Pamela Hinds found that people expert in using mobile phones were remarkably less accurate than novice phone users in judging how long it takes people to learn to use the phones. Experts can become insensitive to how hard a task is for the beginner, an effect referred to as the ‘curse of knowledge’. Dr Hinds was able to show that as people acquired the skill, they then began to underestimate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at skill. Her participants even underestimated how long it had taken themselves to acquire that skill in an earlier session. Knowing that experts forget how hard it was for them to learn, we can understand the need to ___________________, rather than making assumptions about how students ‘should be’ learning. [3점]

* novice: 초보

① focus on the new functions of digital devices

② apply new learning theories recently released

③ develop varieties of methods to test students

④ forget the difficulties that we have had as students

⑤ look at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students’ eyes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A number of research studies have shown how experts in a field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 when introducing newcomers to that field.

주요 단어 정리

  • a number of ~: 수많은~
  • research study: 연구
  • expert: 전문가
  • experience difficulties: 어려움을 겪다
  • introduce: 소개하다
  • newcomer: 신입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number of research studies have shown/
  • 많은 연구들이 보여줘 왔다/
  • [how/ <experts/ in a field>/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how much difficulties/ <experts/ in a field>/ experience)]/
  • [어떻게/ <전문가들이/ 한 분야의>/ 종종 겪는다는 것을/ 어려움을(얼마나 많은 어려움을/ 한 분야의 전분가들이/ 겪는지를)]/
  • [when introducing/ newcomers/ to that field(→that field/ to newcomers)].
  • [소개할 때/ 신입들을/ 그 분야에(→그 분야를/ 신입들에게)].

어법 설명

  • 현재완료[have+pp] 시제
  • have shown”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계속된 행동을 의미하여 “보여줘 왔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expertsin a field>/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how much difficulties/ <expertsin a field>/ experienc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다만,how much difficulties/ <expertsin a field>/ experience가 좀 더 명확한 의미를 전달합니다.
  • 분사구문
  • [when introducingnewcomers/ to that field(→that field/ to newcomers)]”은 “[while they introduc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experts in a field)”가 생략되고 동사 “introduce”가 “introduc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다만, 이 부분 역시, when introducing/ that filed/ to newcomers”로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문장 2

For example, in a genuine training situation, Dr Pamela Hinds found that people expert in using mobile phones were remarkably less accurate than novice phone users in judging how long it takes people to learn to use the phones.

주요 단어 정리

  • expert: 숙련된
  • genuine: 진정한
  • training situation: 훈련 상황
  • remarkably: 현저히
  • less accurate: 덜 정확한
  • novice: 초보자
  • judge: 판단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in a genuine training situation,/
  • 진정한 훈련 상황에서,/
  • Dr Pamela Hinds found/
  • Dr. Pamela Hinds는 발견했다/
  • [that [people/ [expert/ <in using/ mobile phones>]]/ were remarkably less accurate/ than novice phone users/ [in judging/ [how long/ it takes/ [<(+for) people>/ [to learn/ <to use/ the phones>]]]]].
  • [[사람들이/ [능숙한/ <사용하는 데 있어/ 휴대폰을>]]/ 현저히 덜 정확했다는 것을/ 초보 전화 사용자들보다/ [판단하는 데 있어서/ [얼마나 오래/ 걸리는지를/ [<사람들이>/ [배우는데/ <사용하는 것을/ 휴대폰을>]]]]].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found[that [people[expert/ <in using/ mobile phones>]]were remarkably less accurate/~]"에서 "that"은 동사, "foun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in using/ mobile phones>“와 ”[in judging/~]“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in“의 목적어 역할. 각각,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에서의(사용하는데 있어서)“와 ”판단하는 것에서(데 있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한국어와 영어의 “시간이 걸리다” 표현의 차이에 따른 오류 2
  • 빈칸이 포함된 문장 6과 이후 문장 5를 먼저 해석하면서 이미 설명한 내용입니다. 영어는 가주어를 사용하여, “It takes+시간+for+사람+to 부정사”, 즉, “사람이 ~하는 것이 시간을 가져가다”라고 표현하는데, 한국어는 “사람이 ~하는데 시간이 걸리다”라고 표현합니다. 이 표준 표현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가 people이기 때문에 (+for)가 빠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이 표현적 차이를 이해하면, 간접의문문의 시간 표현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longit takes[<(+for) people>/ [to learn/ <to use/ the phones>]]]”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takes[<(+for) people>/ [to learn/ <to use/ the phones>]]”에서 ”it“는 가주어, ”to learn~”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for) people>“는 ”to learn~“의 의미상 주어.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to learn/ <to use/ the phones>]”에서 사용된 용법. to 부정사 “to learn”의 목적어 역할.

문장 3

Experts can become insensitive to how hard a task is for the beginner, an effect referred to as the ‘curse of knowledge’.

주요 단어 정리

  • become insensitive to ~: ~에 둔감해지다
  • task: 과제
  • beginner: 초보자
  • effect: 결과, 효과
  • refer to A as B: A를 B라고 부르다
  • curse of knowledge: 지식의 저주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xperts can become insensitive/ to [how hard/ a task is/ for the beginner],/ [an effect/ (which or that is) referred to/ <as the ‘curse/ of knowledge’>].
  • 전문가들은 둔감해질 수 있습니다/ [얼마나 어려운지에/ 과제가/ 초보자에게],/ [결과인/ 불리는/ <‘저주라고/ 지식의>].

어법 설명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harda task isfor the beginner]”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an effect/ (which or that is) referred to/ <as the ‘curse/ of knowledge’>]“에서 사용된 어법. 문맥에 따라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 ”an effect“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지식의 저주로 불리는 결과“의 의미를 전달.

문장 4

Dr Hinds was able to show that as people acquired the skill, they then began to underestimate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at skill.

주요 단어 정리

  • be able to 부정사: ~할 수 있다
  • level of difficulty: 난이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Dr Hinds was able to show/
  • Dr. Hinds는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
  • [that,/ [as people acquired/ the skill],/ they then began to underestimate/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at skill]].
  • [[사람들이 그 기술을 습득함에 따라서],/ 그들이 그런 다음(습득한 다음) 과소평가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정도를/ 어려움의(난이도를)>/그 기술의]].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was able to show[that,[as people acquired/ the skill],/ they then began to underestimate/~]"에서 "that"은 동사구, "was able to show"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삽입의 오류
  • [as people acquired/ the skill]”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다만, 구나 절을 삽입하는 경우, 그 앞뒤로 comma(,)를 삽입해야 하나 이를 지키지 않아 오법적 오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comma(,)를 삽입하여, "[that,/ [as people acquired/ the skill],/"변경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빈칸의 추론 1
  • 문장 6부터 먼저 읽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문장 4의 핵심 내용은, “사람이 기술을 습득함에 따라서, 그 기술의 난이도를 과소평가하게 된다”는 내용으로 처음에 선택한 답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5

Her participants even underestimated how long it had taken themselves to acquire that skill in an earlier session.

주요 단어 정리

  • participant: 참가자
  • even: 심지어
  • underestimate: 과소평가하다
  • how long it had taken ~: ~하는 데 얼마나 걸렸는지
  • acquire: 습득하다
  • session: 세션, 기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er participants even underestimated/ [how long/ it had taken/ [<themselves(→for them)>/ <to acquire/ that skill/ in an earlier session>]].
  • 그녀의 참가자들은 심지어 과소평가했습니다/ [얼마나 오래/ 걸렸는지/ [<그들이>/ <습득하는데/ 그 기술을/ 이전 세션에서>]].

어법 설명

  • 한국어와 영어의 “시간이 걸리다” 표현의 차이 & 그에 따른 오류 1
  • 영어는 가주어를 사용하여, “It takes+시간+for+사람+to 부정사”, 즉, “사람이 ~하는 것이 시간을 가져가다”라고 표현하는데, 한국어는 “사람이 ~하는데 시간이 걸리다”라고 표현합니다. 이 표준 표현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가 themselves이고 이 시간 표현의 문장의 주어는 it로, themselves를 사용할 이유가 없습니다. 따라서, themselves”는 for them”으로 변경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이 표현적 차이를 이해하면, 간접의문문의 시간 표현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longit had taken[<themselves(→for them)>/ <to acquire/ that skill/ in an earlier session>]]”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had taken[<themselves(→for them)>/ <to acquire/ that skill/ in an earlier session>]”에서 ”it“는 가주어, ”to acquire~”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themselves(→for them)>“는 ”to acquire~“의 의미상 주어.
  • 빈칸의 추론 1
  • 문장 5만 보면, 빈칸을 추론할 근거가 부족합니다. “Her participants”의 정체도 파악할 겸 한 문장만 더 읽어보도록 합니다.

문장 6

Knowing that experts forget how hard it was for them to learn, we can understand the need to ___________________, rather than making assumptions about how students ‘should be’ learning.

주요 단어 정리

  • forget how hard ~: ~가 얼마나 어려웠는지 잊다
  • make assumptions: 추정하다
  • rather than ~: ~보다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Knowing/ [that experts forget/ [how hard/ it was/ <for them/ to learn>]]],/
  • [알고 있다면(안다면)/ [전문가들이 잊는다는 것을/ [얼마나 어려웠는지를/ 그것이/ <그들이/ 배우는 것이>]]]/
  • we can understand/ [the need/ <to ___________________>]/ [rather than making/ [assumptions/ about [how/ students ‘should be’ learning]]].
  • 우리는 이해할 수 있다/ [필요성을/< ___________________할>]/ [하기보다는/ [추정을(추정하기 보다는)/ [어떻게/ 학생들이 배우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Knowing[that experts forget/~]]”은 “[If we know/ [that experts forget/~]]”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If”, 주어 “we”가 생략되고 동사 “know”가 “know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다만, 정확한 접속사의 의미로 해석해야 하는 경우는, 독자가 임의로 해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속사를 생략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Knowing“은, If knowing“, 또는, ”Since knowing“처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Knowing[that experts forget/~]]"에서 "that"은 동사, 현재분사 "Knowing"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hardit was/ <for them/ to learn>]”와 “[howstudents ‘should be’ learning]”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was/ <for them/ to learn>”에서 ”it“는 가주어, ”to learn”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for them”은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다만, 문맥상, “to learn (+in a new field)”와 같이, “새로운 분야에서”의 의미를 추가했다면 조금 더 명확하게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빈칸의 추론
  • [the need/ <to ___________________>]”에서 사용된 어법. 앞에 명사 “the need”를 수식. 따라서, “전문가들이 얼마나 배우는 것이 어려웠는지를 잊는다”라는 정보를 가진 상태에서, 초보자를 교육할 때 “어떤 필요성”이 있는지를 찾아야 합니다. 일단 보기를 살펴보면, 논리적으로 앞뒤 문맥에 맞는 내용은 “⑤ look at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students’ eyes(학생의 눈으로 학습과정을 바라볼 (필요성))”이 가장 가까습니다. 이 추론이 맞는지 빈칸 앞에 있는 문장 2개를 먼저 독해하고 “clue”를 찾을 수 없다면, 문장 1을 독해하도록 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전문가는 자신의 학습 과정을 잊어버리기 때문에, 초보자의 학습 난이도를 과소평가하고 효과적인 교육 방식을 놓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근거 문장 제시

  • Knowing that experts forget how hard it was for them to learn, we can understand the need to ___________________, rather than making assumptions about how students ‘should be’ learning.
  • → 전문가들은 그들이 학습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웠는지를 잊는다는 내용을 전달합니다.
  • Dr Hinds was able to show that as people acquired the skill, they then began to underestimate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at skill.
  • → 사람들이 기술을 습득함에 따라서 그 기술의 난이도가 얼마나 어려웠는지를 과소평가(망각하게) 됩니다. 즉, “올챙이 개구리적 생각을 못하게 된다는 내용”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정답 도출

  • 빈칸에는 초보자의 관점에서 학습 과정을 바라보는 필요성을 강조하는 표현이 들어가야 합니다.
  • 정답: ⑤ look at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students’ eyes (학생의 눈을 통해 학습 과정을 바라보다)

결론

“초보자의 관점에서 배우는 교육: 정답 도출의 근거”

이 문제는 초보자의 입장에서 학습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교육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합니다. 전문가가 자신의 학습 경험을 망각하는 경향을 고려할 때, 교육자는 초보자의 눈으로 학습 과정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지문 내 핵심 문장을 통해 추론한 결과, 정답은 *⑤ look at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students’ eyes (학생의 눈을 통해 학습 과정을 바라보다)로 명확히 도출됩니다.

이번 분석은 논리적 사고와 추론 능력을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