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음악은 우리의 감정과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은 음악 치료와 그룹 노래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설명하며, 지문의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을 찾는 독해 문제입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지문을 문장별로 나누어 어법, 핵심 어휘, 청크 해석을 제공하여 독해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이를 통해 영어 독해 실력과 시험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을 찾는 이 문제는 지문을 이해하고 각 문장이 전반적인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을 잘 활용하여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고 기대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A group of psychologists studied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who experienced weekly group music therapy, including singing familiar songs and composing original songs. ①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improved the quality of participants’ life, with those participating in a greater number of sessions experiencing the greatest benefits. ② Focusing on singing, another group of psychologists reviewed articles on the efficacy of group singing as a mental health treatment for individuals living with a mental health condition in a community setting. ③ The findings showed that, when people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 participated in a choir, thei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ignificantly improved. ④ The negative effects of music were greater than the psychologists expected. ⑤ Group singing provided enjoyment, improved emotional states,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and enhanced selfconfidence.
* therapy: 치료 ** efficacy: 효능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A group of psychologists studied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who experienced weekly group music therapy, including singing familiar songs and composing original songs.
주요 단어 정리
- a group of~: 한 무리(집단)의~, ~의 한 집단(무리)
- psychologist: 심리학자 (동의어: mental health professional / 반의어: 환자(patient))
- severe: 심각한 (동의어: serious, critical / 반의어: mild, moderate)
- mental illness: 정신 질환 (동의어: psychological disorder, mental health condition / 반의어: mental health, well-being)
- weekly: 매주의, 주마다의 (동의어: every week, once a week / 반의어: daily, monthly)
- therapy: 치료 (동의어: treatment, remedy / 반의어: harm, damage)
- familiar: 익숙한 (동의어: well-known, recognizable / 반의어: unfamiliar, strange)
- compose: 작곡하다 (동의어: create, write / 반의어: destroy, dismant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group/ of psychologists> studied/
- <한 무리가/ 심리학자들의(한 무리의 심리학자들이)> 연구했습니다/
-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who experienced/ [weekly group music therapy,/ [including <singing/ familiar songs>/ and/ <composing/ original songs>]]].
- [<사람들을/ 심각한 정신 질환을 가진>/ 경험했던/ [주마다의 집단 음악 치료를,/ [포함하는/ <부르는 것을/ 익숙한 노래들을>/ 그리고/ <작곡하는 것을/ 원곡들을>]]].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who experienced/~]”에서 “who”는 선행사,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를 수식하여, “~을 경험했던 심각한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병렬 구조
- "[including <singing/ familiar songs>/ and/ <composing/ original songs>]“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including“의 목적어 역할. 각각, ”익숙한 노래들을 부르는 것“과 ”원곡들을 작곡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그러면서, ”동명사(V-ing)”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심리학자들의 집단 음악 치료를 경험했던 심각한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연구”입니다. 이 내용에서 벗어나는 문장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문장 2
①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improved the quality of participants’ life, with those participating in a greater number of sessions experiencing the greatest benefits.
주요 단어 정리
- result: 결과 (동의어: outcome, consequence / 반의어: cause)
- quality: 질 (동의어: standard, excellence / 반의어: inferiority, mediocrity)
- participant: 참가자 (동의어: attendee, member / 반의어: observer, spectator)
- benefit: 혜택, 이익 (동의어: advantage, gain / 반의어: disadvantage, harm)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results showed/
- 그 결과는 보여주었습니다/
-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improved/ <the quality/ of participants’ life>,/ [with [those/ (who or that were) participating/ in a greater number of sessions>]/ <experiencing/ the greatest benefits>]].
- [그룹 음악 치료가/ 향상시켰다는 것을/ <질을/ 참가자들의 삶의>,/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던/ 더 많은 세션에]/ <경험하고 있는 채/ 가장 큰 혜택을>]].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howed/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improved/~]"에서 "that"은 동사, "show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those/ (who or that were) participating/ in a greater number of session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os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더 많은 세션에 참여하고 있던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부대상황 표현 "with + 명사구 + 현재분사구"
- 부대 상황을 나타내며, “~한 채로”로 해석. 이 경우, 명사구는 “[those/ (who or that were) participating/ in a greater number of sessions>]”이고 현재분사구는 “<experiencing/ the greatest benefits>”.
- 문맥상 이해를 위한 또 다른 표현 제안
- “[with [those/ (who or that were) participating/ in a greater number of sessions>]/ <experiencing/ the greatest benefits>]”은 어법상 적절하지만, 의미는 다소 모호할 수 있습니다. 문맥상, 원저자가 전달하려는 의미는 “참여자가 세션에 더 많이 참여할수록 더 큰 혜택을 경험할 수 있었다는 결과와 함께(with the result/ that the more sessions/ they participated in,/ the greater benefits/ they could experience.)”로 표현하면, 더 명확하게 저자의 의도가 전달될 수 있습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문장 1의 연구의 효과 정도로 볼 수 있는 내용으로 맥락상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문장 3
② Focusing on singing, another group of psychologists reviewed articles on the efficacy of group singing as a mental health treatment for individuals living with a mental health condition in a community setting.
주요 단어 정리
- focus on~: ~에 집중하다
- review: 검토하다
- efficacy: 효능 (동의어: effectiveness, efficiency / 반의어: inefficacy)
- mental health condition: 정신적 건강 상태
- community setting: 지역 사회 환경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cusing/ on singing],/
- [집중하면서/ 노래 부르기에],/
- <another group/ of psychologist> reviewed/
- <또 다른 무리가/ 심리학자들의(또 다른 무리의 심리학자들이)>/ 검토했습니다/
- [articles/ [on the efficacy/ <of group singing/ as a mental health treatment>]/ [for individuals/ (who or that were) living/ with a (+good) mental health condition/ in a community setting]].
- [논문들을/ [효능에 대한/ <집단 노래 부르기의/ 정신 건강 치료로서의>]/ [사람들을에 대한/ 살고 있던/ (+양호한) 정신 건강 상태를 가지고/ 지역 사회 환경에서]].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Focusing/ on singing]"은 “[while they focused/ on singing]”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another group of psychologist)”가 생략되고 동사 “focused”가 “Focu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individuals/ (who or that were) living/ with a (+good) mental health condition/ in a community setting“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individual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지역 사회 환경에서 (+양호한) 정신 건강 상태를 가지고 살고 있던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모호한 표현, ”a mental health condition“
- ”a mental health condition“ 정신 건강 상태가 좋다는 건지, 나쁘다는 건지 알 수가 없는 표현입니다. 또, "상태"는 추상명사로 a를 사용하는 것도 어법적 오류입니다. 문맥상, ”(+good) mental health condition“이나 ”mentally healthy condition(정신적으로 건강한 상태)“으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문장 1의 연구 내용의 ”정상인으로의 확장‘으로 볼 수 있는 내용으로 맥락상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문장 4
③ The findings showed that, when people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 participated in a choir, thei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ignificantly improved.
주요 단어 정리
- finding: 연구 결과 (동의어: conclusion, discovery / 반의어: hypothesis, speculation)
- participate: 참여하다 (동의어: take part in, join / 반의어: avoid, abstain)
- choir: 합창단 (동의어: chorus, ensemble / 반의어: solo performance)
- significantly: 상당히 (동의어: notably, remarkably / 반의어: slightly, marginally)
- improve: 개선하다 (동의어: enhance, upgrade / 반의어: worsen, deterior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findings showed/
- 그 연구 결과는 보여주었습니다/
- [that,/ [when <people/ with (+good) mental health conditions> participated/ in a choir],/ thei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ignificantly improved].
- [[<사람들이/ (+양호한) 정신 건강 상태를 가진> 참여했을 때/ 합창단에],/ 그들의 정신 건강과 웰빙이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것을].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howed/ [that,/ [when <people/ with (+good) mental health conditions> participated/ in a choir],/ thei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ignificantly improved]"에서 "that"은 동사, "show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people/ with (+good) mental health conditions> participated/ in a choir]”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시간의 부사절이 목적절의 접속사 “that”과 “that 절의 주어”, “thei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사이에 삽입된 구조.
- 모호한 표현, ”mental health condition“
- 문장 3과 동일한 이유로, ”(+good) mental condition“이나 ”mentally healthy condition“으로 변경해야 어법적으로 올바릅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문장 3의 연구 내용의 ”정상인으로의 확장‘에 이어지는 내용으로 맥락상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문장 5
④ The negative effects of music were greater than the psychologists expected.
주요 단어 정리
- negative effect: 부정적 효과 (동의어: drawback, harm / 반의어: positive effect, benefit)
- expect: 기대하다 (동의어: anticipate, foresee / 반의어: doubt, neglec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negative effects/ of music>/ were greater/ [than the psychologists expected].
- <부정적인 효과가/ 음악의>/ 더 컸습니다/ [심리학자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negative effect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were“.
- 비교의 부사절 “than + 주어 + 동사”
- “[than the psychologists expected]”에서 사용된 어법. “심리학자들이 예상했던 것보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주제에서 벗어난 문장 판단
- 현재까지 “집단 음악 치료” 혹은 “음악”의 긍정적 효과를 진술해 왔으나, 문장 5는 그와 정반대의 진술인, “음악의 부정적인 효과”에 대해 진술하고 있으므로,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6
⑤ Group singing provided enjoyment, improved emotional states,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and enhanced selfconfidence.
주요 단어 정리
- enjoyment: 즐거움 (동의어: pleasure, delight / 반의어: discomfort, displeasure)
- emotional state: 감정 상태 (동의어: mood, mental state / 반의어: indifference, apathy)
- a sense of belonging: 소속감 (동의어: connection, attachment / 반의어: isolation, alienation)
- enhance: 강화하다 (동의어: boost, improve / 반의어: weaken, diminish)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Group singing [[provided/ enjoyment],/ [improved/ emotional states],/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and/ [enhanced/ self-confidence]].
- 집단 노래 부르기는 [[제공했고/ 즐거움을],/ [향상시켰고/ 감정 상태를],/ [발달시켰으며/ <느낌(감)을/ 소속의(소속감을)>]/ 그리고/ [강화시켰습니다/ 자신감을]].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네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provided/ enjoyment]”, “[improved/ emotional states]”,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와 “[enhanced/ self-confidence]”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중간이나 뒤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지문은 음악 치료와 그룹 노래의 긍정적 효과를 설명하며, 정신 건강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관계 없는 문장
- ④번 문장은 “음악의 부정적인 효과”를 언급하며, 다른 문장들의 긍정적인 내용과 상반됩니다. 이 문장은 지문의 전반적인 주제와 관련성이 낮습니다.
정답 도출
- 따라서, 정답은 ④번 입니다
결론
이번 지문 분석을 통해 음악 치료가 참가자들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했습니다. 그룹 노래와 같은 단순한 활동이 정신 건강과 웰빙을 얼마나 크게 개선할 수 있는지 과학적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나, ④번 문장은 “음악의 부정적 효과”를 언급하며 지문의 긍정적인 흐름에서 벗어났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번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통해 영어 독해 문제를 더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글의 흐름에서 벗어난 문장에 대한 추론 방법을 분석 내용에 포함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찾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