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스포츠에서 어린이들의 참여를 위해 환경을 조정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은 어린이를 위한 스포츠 환경 조정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단락 간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능력을 묻습니다. 이 글에서는 지문을 문장별로 분석하며, 주요 어휘와 어법 설명을 통해 독해의 정확성을 높이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논리적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특히, 제시된 단락을 논리적 흐름에 맞게 배열하는 이 문제는 지문의 주제를 파악하고 각 단락 간의 연결성을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본 분석에는 실전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론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가급적 끝까지 해설 내용을 정독하시어 단락 하나를 읽지 않고도 정답을 추론하는 과정을 반복 학습하셔서 꼭 독자만의 방법으로 만드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이 전체적인 글의 이해와 문제 풀이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6.
In many sports, people realized the difficulties and even impossibilities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fully in many adult sport environments.
(A) As examples, baseball has T ball, football has flag football and junior soccer uses a smaller and lighter ball and (sometimes) a smaller field. All have junior competitive structures where children play for shorter time periods and often in smaller teams.
(B) In a similar way, tennis has adapted the court areas, balls and rackets to make them more appropriate for children under 10. The adapta④tions are progressive and relate to the age of the child.
(C) They found the road to success for young children is unlikely if they play on adult fields, courts or arenas with equipment that is too large, too heavy or too fast for them to handle while trying to compete in adultstyle competition. Common sense has prevailed: different sports have made adaptations for children.
* prevail: 널리 퍼지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된 문장
In many sports, people realized the difficulties and even impossibilities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fully in many adult sport environments.
주요 단어 정리
- realize: 깨닫다, 인식하다 (동의어: recognize, perceive / 반의어: ignore, neglect)
- difficulty: 어려움 (동의어: challenge, obstacle / 반의어: ease, simplicity)
- impossibility: 불가능 (동의어: unfeasibility / 반의어: possibility, feasibility)
- participate: 참여하다 (동의어: take part in, join / 반의어: abstain, avoid)
- fully: 완전하게
- adult: 성인
- environment: 환경 (동의어: setting, surroundings / 반의어: isolation, disconnec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many sports,/
- 많은 스포츠에서,/
- people realized/ [<the difficulties/ and/ even impossibilities>/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fully/ in many adult sport environments>]].
- 사람들은 깨달았습니다/ [<어려움들을/ 그리고/ 심지어 불가능함을>/ [<어린아이들이>/ <참여하는 것의/ 완전하게/ 많은 성인 스포츠 환경에>]].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fully/ in many adult sport environments>]“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of“의 목적어 역할. ”<young children>“은 동명사, ”participating“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많은 성인 스포츠 환경에 어린아이들이 참여하는 것의“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제시된 문장의 핵심 내용
- "아이들이 성인 스포츠 환경에 완전하게 참여하는 것의 어려움에 대한 사람들의 자각”입니다.
단락 (A)
As examples, baseball has T ball, football has flag football and junior soccer uses a smaller and lighter ball and (sometimes) a smaller field. All have junior competitive structures where children play for shorter time periods and often in smaller teams.
주요 단어 정리
- example: 예 (동의어: instance, case / 반의어: exception)
- as examples: 예로
- competitive structure: 경쟁 구조
- shorter time periods: 더 짧은 시간
- lighter: 더 가벼운 (동의어: less heavy / 반의어: heavie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examples,/
- 예로(예를 들면),/
- baseball has/ T ball,/ football has/ flag football/ and/ junior soccer uses/ [<a smaller and lighter ball>/ and/ <(sometimes)/ a smaller field>].
- 야구는 가지고 있습니다/ T 볼을,/ 미식축구는 가지고 있습니다/ 플래그 풋볼을/ 그리고/ 주니어 축구는 사용합니다. [<더 작고 가벼운 공을>/ 그리고/ <(때로는)/ 더 작은 경기장을>].
- All have/ [junior competitive structures/ where children play/ [<for shorter time periods>/ and/ <often/ in smaller teams>]].
- 모든 것이 가지고 있습니다/ [주니어 경쟁 구조들을/ 아이들이 경기하는/ [<더 짧은 시간 동안>/ 그리고/ <종종/ 더 작은 팀(들)에서>]].
어법 설명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junior competitive structures/ where children play/ [<for shorter time periods>/ and/ <often/ in smaller teams>]]"에서 “where”는 선행사, “junior competitive structures”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더 짧은 시간 동안 및 종종 더 작은 팀(들)에서 아이들이 경기하는 주니어 결쟁 구조(들)”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문장 순서 추론 1
- “As examples”의 표현으로 볼 때, 제시된 문장과는 바로 연관을 지을 수는 없고, 단락 (A)에 진술된 내용으로 볼 때, 아이들을 위한 경기 시간. 경기장에 대한 규정이나 규정의 필요성이 단락 (A) 앞에 있어야 합니다. 단락 (A)의 내용은 그 부분에 대한 예로 제시된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단락 (B)
In a similar way, tennis has adapted the court areas, balls and rackets to make them more appropriate for children under 10. The adaptations are progressive and relate to the age of the child.
주요 단어 정리
- adapt: 조정하다, 개조하다 (동의어: modify, adjust / 반의어: maintain, preserve)
- appropriate: 적절한 (동의어: suitable, fitting / 반의어: inappropriate, unsuitable)
- progressive: 점진적인 (동의어: gradual, step-by-step / 반의어: sudden, abrupt)
- relate to~: ~와 관련되다 (동의어: be associated with, connect to / 반의어: dissociate from, separ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a similar way,/
- [비슷한 방식으로],/
- tennis has adapted/ <the court areas,/ balls,/ and/ rackets>/ [to make/ them/ more appropriate/ <for children/ under 10>].
- 테니스는 조정해 왔습니다/ <코트 구역들, 공들, 및 라켓들을>/ [만들기 위해서/ 그것들을/ 더 적합하게/ <아이들에게/ 10세 미만의>].
- The adaptations [are progressive]/ and/ [relate/ <to the age/ of the child>].
- 그 조정들은/ [점진적 입니다]/ 그리고/ [관련됩니다/ <나이에/ 아이의>].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ake/ them/ more appropriate/ <for children/ under 10>]”에서 사용된 용법.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make/ them/ more appropriate”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are progressive]”와 “[relate/ <to the age/ of the child>]”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뒤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문장 순서 추론 2
- “In a similar way”의 표현과, 단락 (B)에 진술된 내용으로 볼 때, 단락 (A)의 내용에 대한 추가 진술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A) - (B)”의 순서가 결정되었고, 제시된 문장 다음에 (A)와 (B)가 올 수 없으므로, 단락 (C)를 읽지 않더라도 “제시문 - (C ) - (A) - (B)”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전에서는 “(C) - (A) - (B)“의 어순인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글은 (C)가 제시문 다음으로 와야 하는 이유도 설명해야 하므로 단락 (C)로 가도록 하겠습니다.
단락 (C)
They found the road to success for young children is unlikely if they play on adult fields, courts or arenas with equipment that is too large, too heavy or too fast for them to handle while trying to compete in adultstyle competition. Common sense has prevailed: different sports have made adaptations for children.
주요 단어 정리
- unlikely: 있을 법하지 않은 (동의어: improbable, doubtful / 반의어: likely, probable)
- equipment: 장비 (동의어: gear, tools / 반의어: disposables, waste)
- handle: 다루다 (동의어: manage, deal with / 반의어: ignore, neglect)
- prevail: 널리 퍼지다 (동의어: dominate, triumph / 반의어: decline, lo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found/ [(that) <the road/ to success/ for young children>/ is unlikely]/
- 그들은 발견했습니다/ [<길이/ 성공으로 가는/ 어린아이들에게>/ 있을 법하지 않다는 것을]/
- [if they play/ [on <adult fields,/ courts,/ or/ arenas>/ [with equipment/ that is too large, too heavy, or too fast/ <for them/ to handle>]]].
- [만약 그들이 경기한다면/ [<성인의 경기장,/ 코트,/ 또는/ 아레나>에서/ [장비를 갖춘/ 너무 크거나, 너무 무겁거나, 또는 너무 빠른/ <그들이/ 다루기에>]]].
- Common sense has prevailed/
- 상식이 널리 퍼져 왔습니다.
- :/ Different sports have made/ <adaptations/ for children>.
- 다시 말해/ 다양한 스포츠가 만들어 왔습니다/ <조정을(조정해 왔습니다)/ 아이들을 위한(아이들을 위해)>.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found/ [(that) <the road/ to success/ for young children>/ is unlikely]"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foun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they play/~]”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equipment/ that is too large, too heavy, or too fast”에서 “that”은 선행사, “equipment”를 수식하여, “너무 크거나 너무 무겁거나 너무 빠른 장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하기에 / ~할 정도로 / ~할 만큼”
- “too large, too heavy, or too fast/ <for them/ to handle>”에서 사용된 용법. “그들이(아이들이) 다루기에 너무 크거나 너무 무겁거나 너무 빠른”이나 "너무 크거나 너무 무겁거나 너무 빨라서 아이들이 다룰 수 없는"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현재완료(have+pp) 시제
- "과거부터 현재 사이의" 동작의 계속을 나타내어, "널리 펴져 왔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순서 추론 3
- 단락, (A)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아이들을 위한 경기 시간. 경기장에 대한 규정의 필요성”이 단락, (C)에 반의적으로 진술되어 있습니다. 또한 단락, (C)의 “They”역시 제시된 문장의 “people”을 지칭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시된 문장 다음에 올 단락의 순서는 “(C) - (A) - (B)“이 어순으로 와야 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어린아이들이 성인 스포츠 환경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스포츠는 아이들에게 적합한 장비, 경기장 크기, 그리고 규칙을 도입하여 환경을 조정해왔습니다. 이러한 조정은 아이들의 나이에 맞게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스포츠 참여의 즐거움과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순서 분석
- 제시된 문장: 어린아이들이 성인 스포츠 환경에 참여하기 어려움을 인식함.
- (C): 어린아이들이 성인 환경에서 성공 가능성이 낮다는 점과 스포츠의 조정 필요성을 언급.
- (A): 다양한 스포츠에서 채택된 구체적인 조정 사례(야구, 축구, 미식축구)를 제시.
- (B): 테니스의 구체적 조정 사례와 점진적 조정 방식 설명.
정답 도출
- 따라서, 정답은 ④번 (C) - (A) - (B)의 어순입니다.
결론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 분석을 통해 어린이들이 성인 스포츠 환경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조정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단락 (C)는 어린이를 위한 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단락 (A)는 구체적인 예를, 단락 (B)는 테니스에서의 세부 조정 방식을 제시하며 글의 흐름을 완성합니다. 따라서 순서는 (C) - (A) - (B)로 연결됩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분석은 독해 실력을 강화하며, 영어 문제 풀이의 자신감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본 분석 내용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문장 순서배열 문제 유형에 대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찾아내고 추론하는 방법은 물론 또한 시간까지 줄이면서 추론하는 방법을 훈련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