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잉카 제국은 말 대신 사람의 발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독창적인 통신 시스템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7번 지문은 잉카 전령 시스템의 운영 방식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단락 간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이 글에서는 지문을 문장별로 분석하며, 주요 어휘와 어법을 상세히 설명해 독해 정확성을 높이고 문제 풀이에 필요한 논리적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특히, 단락 배열 문제의 핵심인 문맥적 연결성과 단락 간 논리적 순서를 추론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어법 해설이 문제 풀이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7.
With no horses available, the Inca empire excelled at delivering messages on foot.
(A) When a messenger neared the next hut, he began to call out and repeated the message three or four times to the one who was running out to meet him. The Inca empire could relay messages 1,000 miles (1,610 km) in three or four days under good conditions.
(B) The messengers were stationed on the royal roads to deliver the Inca king’s orders and reports coming from his lands. Called Chasquis, they lived in groups of four to six in huts, placed from one to two miles apart along the roads.
(C) They were all young men and especially good runners who watched the road in both directions. If they caught sight of another messenger coming, they hurried out to meet them. The Inca built the huts on high ground, in sight of one another. [3점]
* excel: 탁월하다 ** messenger: 전령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7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된 문장
With no horses available, the Inca empire excelled at delivering messages on foot.
주요 단어 정리
- available: 이용 가능한 (동의어: accessible, obtainable / 반의어: unavailable, inaccessible)
- excel at~: ~에서 탁월하다 (동의어: be excellent at, surpass / 반의어: struggle with, fail at)
- deliver: 전달하다 (동의어: convey, send / 반의어: receive, retain)
- on foot: 도보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ith no horses/ (that were) available],/
- [말이 없이도/ 이용 가능했던],/
- the Inca empire excelled/ <at delivering/ messages/ on foot>.
- 잉카 제국은 탁월했습니다/ <전달하는 것에/ 메시지를/ 도보로>.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With no horses/ (that were) available]”에서 생략된, “(that were)”는 선행사, “no horses”를 수식하여, “이용 가능했던 말이 없이도”의 의미를 전달. “With no available horses”로도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간략성의 원칙” 측면으로 보면, “With no available horses”이 더 적절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at delivering/ messages/ on foot>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at“의 목적어 역할. ”걸어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에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제시된 단락의 핵심 내용 & 이어질 내용 추론
- 제시된 단략의 핵심 내용은 ”잉카 제국의 도보에 의한 전령 체제의 탁월성“입니다. 이 내용 다음으로 이어질 내용은 ”어떻게?” 정도의 내용이 위치할 것이 예측됩니다.
단락 (A)
When a messenger neared the next hut, he began to call out and repeated the message three or four times to the one who was running out to meet him. The Inca empire could relay messages 1,000 miles (1,610 km) in three or four days under good conditions.
주요 단어 정리
- near: ~에 가까이 다다르다
- messenger: 전령 (동의어: courier, runner / 반의어: receiver)
- hut: 오두막 (동의어: cabin, shelter / 반의어: mansion, palace)
- relay: 전달하다 (동의어: pass on, transfer / 반의어: withhold, block)
- condition: 조건, 상태 (동의어: circumstance, situation / 반의어: chaos, disorde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a messenger neared/ the next hut],/
- [전령이 가까이 다다랐을 때/ 다음 오두막에],/
- he <began to call out>/ and/ <repeated/ the message/ three or four times>/
- 그는 <외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반복했습니다/ 메시지를/ 세 번 또는 네 번>/
- [to the one/ (who or that was) running out/ <to meet/ him>].
- [그 사람에게/ 달려 나오고 있었던/ <만나기 위해/ 그를>].
- The Inca empire could relay/ messages/ <1,000 miles/ in three or four days>/ under good conditions.
- 잉카 제국은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메시지들을/ <1,000마일을/ 3~4일 만에>/ 좋은 조건 하에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a messenger neared/ the next hut]”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began to call out>”와 “<repeated/ the message/ three or four times>"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로 연속된 동적을 표현. 병렬 구조에서는 뒤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the one/ (who or that was) running out/ <to meet/ him>"에서 생략된, “(who or that was)는 선행사, “the one”을 수식하여, “그를 만나기 위해서 달려 나오고 있었던 사람”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eet/ him>”에서 사용된 용법.
- 단락, (A)의 핵심 내용 & 순서 추론 1
- 단락 (A)는 “구체적인 메시지 전달 방식”에 대해 진술하고 있지만, “the next hut”의 표현으로 미루어, 이 단락 앞에 “오두막”에 대한 정보가 진술되어 있어야 합니다. 단락, (A)에서는 “전령들 사이에서 메시지가 전달되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었다는 점을 기억하고 다음 단락을 독해하도록 합니다.
단락 (B)
The messengers were stationed on the royal roads to deliver the Inca king’s orders and reports coming from his lands. Called Chasquis, they lived in groups of four to six in huts, placed from one to two miles apart along the roads.
주요 단어 정리
- station: 배치하다, 주둔시키다 (동의어: deploy, assign / 반의어: withdraw, remove)
- royal road: 왕도
- order: 명령
- report: 보고서
- land: 영토 (동의어: territory)
- Chasquis: 잉카 제국의 전령
- place: 배치하다
- apart: 떨어져 (동의어: separated, distant / 반의어: connected, clo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messengers were stationed/ on the royal roads/ [to deliver/ [<the Inca king’s orders and reports>/ (which or that were) coming/ from his lands]].
- 그 전령들은 배치되었습니다/ 왕도(들) 위에/ [전달하기 위해서/ [<잉카 왕의 명령과 보고서들을>/ 오고 있던/ 그의 영토(들)로부터]].
- [Called/ Chasquis],/ they lived/ [in groups/ <of four to six>]/ [in huts/ (which or that were) placed/ <from one to two miles apart>/ along the roads].
- [불렸던/ “Chasquis”라고],/ 그들은 살았습니다/ [집단으로/ <4명에서 6명의>]/ [오두막(들) 속에서>]/ 배치되었던/ <1에서 2마일씩 떨어져>/ 도로를 따라].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were stationed”에서 사용된 어법. "배치되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deliver/ [<the Inca king’s orders and reports>/ (which or that were) coming/ from his lands]]”에서 사용된 용법.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논리적 모순
- "[<the Inca king’s orders and reports>/ (which or that were) coming/ from his lands]“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the Inca king’s orders and report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여기서, ”lands“는 문맥상 왕이 거주하는 수도가 아닌 지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the Inca king’s orders and reports>“는 ”reports to(for) the Inca king“으로 변경해야 논리상 적절합니다.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Called/ Chasquis]“과 ”huts/ (which or that were) placed/ <from one to two miles apart>/ along the roads“에서도 사용된 어법. 후자의 경우, 선행사, ”hut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합니다.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단락, (B)의 핵심 내용 & 순서 추론 2
- 단락, (B)의 주요 내용은 ”메신저들이 주둔 한 곳“이며 단락 (A)에서 추측한 오두막에 대한 진술이 있습니다. 따라서, (A)와 (B)의 순서는 단락 (B)가 단락, (A)보다 앞서야 합니다. 다만, (C)의 내용까지 고려하여 순서를 결정해야 한다는 점이 36번과 다른 점입니다.
단락 (C)
They were all young men and especially good runners who watched the road in both directions. If they caught sight of another messenger coming, they hurried out to meet them. The Inca built the huts on high ground, in sight of one another.
주요 단어 정리
- catch sight of~: ~을 발견하다 (동의어: spot, notice / 반의어: overlook, miss)
- high ground: 높은 지대
- in sight of~: ~이 보이는 곳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were all [<young men and especially good runners>/ who watched/ the road/ in both directions].
- 그들은 모두 [<젊은 남자들이자 특히 뛰어난 주자들이었습니다>/ 살펴봤던/ 그 도로를/ 양방향으로].
- [If they caught sight of/ another messenger/ coming],/
- [그들이 발견했다면/ 또 다른 전령을/ 오고 있는],/
- they hurried out/ <to meet/ them>.
- 그들은 서둘러 나갔습니다/ <만나기 위하여/ 그들을>.
- The Inca built/ the huts/ on high ground,/ in sight of one another.
- 잉카 사람들은 지었습니다/ 그 오두막들을/ 높은 지대 위에,/ 서로가 보이는 곳에서.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young men and especially good runners>/ who watched/ the road/ in both directions]”에서 “who”는 선행사, “those”를 수식하여, “양방향으로 도로를 바라봤던 젊은 남자들이자 특히 훌륭한 주자들”의 의미를 전달.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they caught sight of/ another messenger/ coming]”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문형 "지각동사구(caught sight of)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ing)"
- 지각동사구 “catch sight of”는 “동사원형이나 동사+ing(현재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나 현재분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eet/ them>”에서 사용된 용법.
- 단락, (C)의 핵심 내용 & 순서 추론 3
- 단락, (C)에서는 오두막에 대한 추가 정보와 전령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 정보와 메시지 전달 전 전령들이 주의하는 부분, 전령을 처음 발견 시의 행동을 진술하고 있어, ”(B) - (C) - (A)“가 적절한 순서입니다. 이 지문은 단락, (A)와 단락, (B) 만으로는 순서를 결정할 수 없고 (C)까지 읽어야 논리적 관계를 추론할 수 있어서 시간을 줄일 수 없었던 문제입니다. 다만, 단락 간의 논리적 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B)에 전령에 대한 상세 내용과 오두막에 대한 부분적 인트로, (C)에 오두막에 대한 상세 내용과 메시지 전달 방식에 대한 인트로, (A)에 메시지의 전달 방법의 상세 내용이 진술되었다면, 독자의 입장에서 좀 더 편하게 순서를 추론할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잉카 제국은 말 없이 도보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독창적인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전령들은 왕도에 배치되어 왕의 명령과 보고서를 전달했으며, 높은 지대에 위치한 오두막을 중심으로 서로의 위치를 확인하며 효율적으로 협력했습니다. 이를 통해 잉카 제국은 1,000마일을 단 3~4일 만에 전달할 수 있는 뛰어난 통신 체계를 완성했습니다.
순서 분석
- 제시된 문장: 잉카 제국은 말 없이 도보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탁월했다는 배경 설명.
- (B): 전령들이 왕도에 배치되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시스템 설명.
- (C): 전령들의 역할과 메시지 전달 방식의 구체적 과정.
- (A):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율성과 거리, 시간을 언급하며 마무리.
정답 도출
- 따라서, 정답은 ③ (B) - (C) - (A)의 어순입니다.
결론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을 통해 잉카 제국이 전령 체계를 통해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했던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전령들은 왕의 명령과 보고서를 전달하며, 높은 지대에 위치한 오두막에서 서로의 위치를 확인하며 협력했습니다. 이를 통해 잉카 제국은 메시지를 1,000마일 거리까지 단 3~4일 만에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단락 (B)는 전령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단락 (C)는 전령들의 역할과 메시지 전달 방식을, 단락 (A)는 메시지 전달 효율성을 설명하며 논리적으로 연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B) - (C) - (A)입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분석은 독해 실력을 강화하며, 문장 순서 배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자신감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