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규범과 문화 간 의사소통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법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영어 지문에서는 규범이 사회생활과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탐구합니다. 특히, "Thank you"라는 간단한 사례를 통해 규범이 사람들의 기대와 비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며, 문화적 차이가 의사소통의 오해를 초래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 분석을 통해 독자는 영어 독해력 향상뿐만 아니라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통찰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유형의 문제 해결 Tip은 “위에서 아래로” 독해를 하면서 글의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찾고 그 내용에서 벗어나는 어휘를 찾음과 동시에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통해 글에 가장 어울리는 제목을 찾는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 및 어법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Tip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독해력에 기반을 둔 단서 찾기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Norms are everywhere, defining what is “normal” and guiding our interpretations of social life at every turn. As a simple example, there is a norm in Anglo society to say Thank you to strangers who have just done something to (a) help, such as open a door for you, point out that you’ve just dropped something, or give you directions. There is no law that forces you to say Thank you. But if people don’t say Thank you in these cases it is marked. People expect that you will say it. You become responsible. (b) Failing to say it will be both surprising and worthy of criticism. Not knowing the norms of another community is the (c) central problem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To continue the Thank you example, even though another culture may have an expression that appears translatable (many don’t), there may be (d) similar norms for its usage, for example, such that you should say Thank you only when the cost someone has caused is considerable. In such a case it would sound ridiculous (i.e., unexpected, surprising, and worthy of criticism) if you were to thank someone for something so (e) minor as holding a door open for you.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① Norms: For Social Life and Cultural Communication
② Don’t Forget to Say “Thank you” at Any Time
③ How to Be Responsible for Your Behaviors
④ Accept Criticism Without Hurting Yourself
⑤ How Did Diverse Languages Develop?
42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Norms are everywhere, defining what is “normal” and guiding our interpretations of social life at every turn.
주요 단어 정리
- norm: 규범, 표준 (동의어: standard, rule / 반의어: anomaly, exception)
- define: 정의하다 (동의어: explain, specify / 반의어: obscure)
- interpretation: 해석 (동의어: explanation, understanding / 반의어: misunderstanding)
- at every turn: 모든 순간마다 (동의어: constantly, always / 반의어: occasion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rms are everywhere,/
- 규범은 어디에나 있다,/
- [[defining/ [what is “normal”]]/ and/ [guiding/ <our interpretations/ of social life>/ at every turn]].
- [[정의하면서/ [무엇이 '정상'인지를]]/ 그리고/ [인도하면서/ <우리의 해석을/ 사회생활에 대한>/ 모든 순간마다]].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defining/ [what is “normal”]]/ and/ [guiding/ <our interpretations/ of social life>/ at every turn]]”은 “[while they [define/~ ]/ and/ [guide/~]]”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norms)”가 생략되고 동사 “define”과 “guide”가 각각, “defining”과 “guid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at is “normal”]”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제목의 추론 1
- 문장 1의 주요 내용은 규범은 어디에나 존재하며 규범의 역할에 대한 설명입니다. 앞으로 이 글이 다룰 내용에 대한 포괄적 진술이므로 보기를 확인하면 규범에 대한 것은 “① Norms: For Social Life and Cultural Communication”뿐입니다. 어휘에 대한 적절성 여부도 지문의 나머지 부분을 읽으며 판단해야 하므로 더 읽으면서 확인하도록 합니다.
문장 2
As a simple example, there is a norm in Anglo society to say Thank you to strangers who have just done something to (a) help, such as open a door for you, point out that you’ve just dropped something, or give you directions.
주요 단어 정리
- Anglo society: 앵글로 사회
- stranger: 낯선 사람 (동의어: unknown person / 반의어: acquaintance)
- point out: 지적하다, 가리키다 (동의어: indicate, highlight / 반의어: ignore)
- direction: 길 안내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a simple example,/
- 간단한 예로,/
- there is/ [<a norm/ in Anglo society>/ [to say/ Thank you/ [to strangers/ who have just done/ [something/ to (a) help],/ [such as [open(→opening)/ a door/ for you],/ [point out(→pointing out)/ [that you’ve just dropped/ something]],/ or/ [give(→giving)/ you/ directions]]]]].
- 있습니다/ [<규범이/ 앵글로 사회에서의>/ [말하는/ Thank you라고/ [낯선 사람들에게/ 막 해주었던/ [무언가를/ 돕기 위한],/ [[열어주는 것이나/ 문을/ 당신을 위해서],/ [가리키는(알려주는) 것이나/ [당신이 막 떨어뜨렸다는 것을/ 무언가를]],/ 혹은/ [알려주는 것 같은/ 당신에게/ 방향을(길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 norm/ in Anglo society>/ [to say/ Thank you/~]]”와 “[something/ to (a) help]”에서 사용된 용법. 각각, 앞에 명사 “<a norm/ in Anglo society>”과 “something”를 수식하여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는 앵글로 사회에서의 규범”과 “돕기 위한 무언가”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만, 후자의 경우, “to help”를 별도로 분리하여 “돕기 위하여(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 화법의 오류
- 문장 2에서 사용된, Thank you는 “Thank you”로 표현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현재완료[have+pp] 시제
- “strangers/ who have just done/ [something/ to (a) help]”에서 “who”는 선행사, “strangers”를 수식하여, “돕기 위한 무언가를 방금 해줬던 낯선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현재완료 시제인, “have just done”는 “방금 했다”의 의미로 완료적 의미를 전달합니다.
- 의미상 & 어법상 오류
- “[such as~]”의 내용은 의미상 “[something/ to (a) help]”이나 “something”를 보충하는 내용이고, “such as”는 전치사구로 “동사원형”을 목적어로 취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such as“ 다음의 동사원형 형태는 ”V-ing(동명사)”의 형태가 되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 제목의 추론 2 & 어휘의 적절성 검토 (a)
- 문장 2의 내용 역시 문장 1의 규범에 대한 예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목에 관한 문제는 ①번으로 선택하고 더 이상 신경 쓰지 않습니다. 사용된 어휘 (a) help는 문맥상, 의미상 적절합니다.
문장 3
There is no law that forces you to say Thank you.
주요 단어 정리
- force: 강요하다 (동의어: compel, oblige / 반의어: allow, permi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 is no/ [law/ that forces/ you/ <to say/ Thank you>].
- 없습니다/ [법은/ 강요하는/ 당신에게/ <Thank you라고 말하도록>].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law/ that forces/ you/ <to say/ Thank you>]”에서 “that”은 선행사, “law”를 수식하여, “당신에게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도록 강요하는 법”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문형 "forc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동사 “force”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화법의 오류
- 문장 3에서 사용된, Thank you도 “Thank you”로 표현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문장 4
But if people don’t say Thank you in these cases it is marked.
주요 단어 정리
- marked: 두드러진, 눈에 띄는 (동의어: noticeable, conspicuous / 반의어: subtle, unremarkab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if people don’t say/ Thank you/ in these cases],/ it is marked.
- 그러나/ [만약 사람들이 말하지 않는다면/ Thank you를/ 이런 경우에],/ 그것은 눈에 띄게 됩니다.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people don’t say/~]”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화법의 오류
- 문장 4에서 사용된, Thank you도 “Thank you”로 표현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문장 5
People expect that you will say it. You become responsible.
주요 단어 정리
- expect: 기대하다 (동의어: anticipate, assume / 반의어: doubt, disregard)
- responsible: 책임이 있는 (동의어: accountable, liable / 반의어: irresponsible, unaccountab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eople expect/ [that you will say/ it].
- 사람들은 기대합니다/ [당신이 말할 것이라고/ 그것을].
- You become responsible.
- 당신은 책임이 있게 됩니다(생깁니다).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expect/ [that you will say/ it]"에서 "that"은 동사, "expect"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문장 6
(b) Failing to say it will be both surprising and worthy of criticism.
주요 단어 정리
- fail to 부정사: ~하지 못하다 (동의어: neglect to, omit to / 반의어: succeed in)
- surprising: 놀라운 (동의어: shocking, unexpected / 반의어: predictable, expected)
- worthy of~: ~할 가치가 있는 (동의어: deserving, meriting / 반의어: undeserving)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ailing to say/ it>/ will be both surprising and worthy of criticism.
- <말하지 못하는 것은/ 그것을(“감사합니다”를)>/ 놀랍고도 비난받을 가치가 있습니다(만합니다).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Failing to say/ it>“에서 사용된 어법. 주어로 사용된 경우로 보통 수의 일치를 물어보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문장은 동사로 조동사구가 사용되어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휘의 적절성 검토 (b)
- (b) Failing은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7
Not knowing the norms of another community is the (c) central problem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주요 단어 정리
- not knowing: 알지 못하는 것
- central: 중심의, 주요한 (동의어: main, principal / 반의어: peripheral, minor)
- cross-cultural: 문화 간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t knowing/ <the norms/ of another community>]/ is <the (c) central problem/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 [알지 못하는 것은/ <규범을/ 다른 공동체의>]/ <중심 문제입니다/ 문화 간 의사소통의>.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수의 일치
- "[Not knowing/ <the norms/ of another community>]“에서 사용된 어법. 주어는, ”Not knowing“으로 단수,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휘의 적절성 검토 (c)
- (c) central은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8
To continue the Thank you example, even though another culture may have an expression that appears translatable (many don’t), there may be (d) similar norms for its usage, for example, such that you should say Thank you only when the cost someone has caused is considerable.
주요 단어 정리
- continue: 지속하다. 이어가다
- expression: 표현
- translatable: 번역 가능한 (동의어: interpretable / 반의어: untranslatable)
- similar: 유사한, 비슷한
- usage: 사용
- such that~: ~같은
- cause: 유발하다
- considerable: 상당한 (동의어: significant, substantial / 반의어: insignificant, mino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continue/ the Thank you example>,/
- <이어가기 위해서/ Thank you의 예를>,/
- [even though another culture may have/ [an expression/ that appears translatable]]/
- [비록 다른 문화가 가지고 있을 수 있더라도/ [표현을/ 번역 가능해 보이는]]/
- (many don’t),/
- (많은 문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 there may be/ (d) <similar norms/ for its usage>,/
- 있을 수 있습니다/ <비슷한 규범들이/ 그것의(그 표현의) 사용에 대한>,/
- [such that you should say/ Thank you/ only/ [when [the cost/ (which or that) someone has caused]/ is considerable]].
- [당신이 말해야 하는 것 같은/ Thank you를/ 오직/ [[그 비용이/ 누군가가 유발했던]/ 상당할 때만]].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continue/ the Thank you example>”에서 사용된 용법.
- 양보의 부사절 “even though[though / although / even if] + 주어 + 동사”
- “[even though another culture may have/~]”에서 사용된 어법. “비록 ~일지라도 / ~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n expression/ that appears translatable]”에서 “that”은 선행사, “expression”을 수식하여, “번역 가능해 보이는 표현”의 의미를 전달.
- 대조동사 don’t
- “many don’t”에서 “don’t“ 뒤에 ”have/ [an expression/ that appears translatable]“ 생략된 형태입니다.
- ”~같은“의 의미를 전달하는 ”such that+주어+동사”
- “[such that you should say/~]”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당신이 말해야 하는 것 같은”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화법의 오류
- 문장 5에서 사용된, Thank you도 “Thank you”로 표현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수의 일치
- “[when [the cost/ (which or that) someone has caused]/ is considerabl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when 절"의 주어는 "the cost"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cost/ (which or that) someone has caused]”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cost”를 수식하여, “누군가가 유발했던 비용”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어휘의 적절성 검토 (d)
- (d) similar는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such that you should say/ Thank you/ only/ [when [the cost/ (which or that) someone has caused]/ is considerable]]”의 내용으로 볼 때, “비슷하지 않은(not similar)”가 와야 적절합니다.
문장 9
In such a case it would sound ridiculous (i.e., unexpected, surprising, and worthy of criticism) if you were to thank someone for something so (e) minor as holding a door open for you.
주요 단어 정리
- ridiculous: 우스운, 터무니없는 (동의어: absurd, laughable / 반의어: reasonable, logical)
- minor: 사소한 (동의어: insignificant, negligible / 반의어: major, significant)
- hold: 잡아주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such a case,/
- 그러한 경우에는,/
- it would sound ridiculous/ (i.e., unexpected, surprising, and worthy of criticism)/
- 그것은 터무니 없게 들릴 겁니다/ (예를 들어, 예상치 못하게, 놀랍게, 비판받을 만하게),/
- [if you were to thank/ someone/ <for something/ so (e) minor>/ <as holding/ a door/ open/ for you>.
- [만약 당신이 감사한다면/ 누군가에게/ <무언가에 대해/ 너무 사소한>/ <잡아주는 것 같은/ 문을/ 열려 있도록// 당신을 위해>.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
- “it would sound ridiculous/~, [if you were to thank/ someone/~]”에서 사용된 어법. 표준 표현은 “if+주어+과거형 동사(be 동사는 인칭에 무관하게 were)+~, 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사원형+~”입니다. 현재 사실의 반대되는 상황이나 현재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을 나타냄.
- be to 부정사
- "해야 한다(의무)"의 의미를 전달. 보통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이외에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및 "~할 운명이다(운명)"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참고로, "to"가 생략된, be 원형부정사(동사원형)는 be to 부정사의 변형 형태로 어법상 적절하지 않은 표현입니다.
- 부정대명사+형용사
- 부정대명사 "~thing", "~one", "~body" 등은 형용사가 후치 수식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5형식 기본 문형
- "<as holding/ a door/ open/ for you>“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as“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당신을 위해 문을 열려 있도록 잡아주는 것 같은“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holding/ a door/ open"는 5형식 기본 문형으로 목적격 보어로 형용사인 "open"이 사용된 것에 주의 하십시오.
- 어휘의 적절성 검토 (e)
- (d) minor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41번 문제: 제목 추론
- 글의 핵심은 규범이 사회적 생활과 문화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사례로 "Thank you"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 정답: ① Norms: For Social Life and Cultural Communication
42번 문제: 어휘의 적절성 판단
- (d) "similar norms"는 "비슷한 규범들"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비슷하지 않은 규범"을 언급하고 있으므로 부적절합니다.
- 정답: ④ (d)
결론
규범의 이해: 사회적 기대와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은 규범이 사회적 생활의 기반을 형성하며,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특히, "Thank you"라는 표현을 예로 들어 규범이 어떻게 기대와 비판을 형성하는지 설명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문맥에 따라 적합한 어휘 사용과 영어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독해력 향상에 필수적임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는 규범과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글로벌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여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하는데 항상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