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공감: 비즈니스 성공의 다양한 해석과 한계"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공감(empathy)’의 다양한 해석과 그 구현 방식을 탐구합니다. 지문은 인지적 공감(cognitive empathy)과 감정적 공감(affective empathy)을 각각 강조하는 기업들의 접근 방식을 소개하며, 공감이 시장 조사와 제품 설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합니다. 그러나 지문에서는 “translate to”라는 표현의 모호성과 디자인에서 공감을 활용하는 방식에 있어 일부 논리적 연결이 부족함을 보입니다. 이러한 비판적인 시각을 통해 우리는 공감이라는 개념이 비즈니스 환경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고 실현될 수 있음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Empathy is frequently listed as one of the most desired skills in an employer or employee, although without specifying exactly what is meant by empathy. Some businesses stress cognitive empathy, emphasizing the need for leaders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and customers when negotiating deals and making decisions. Others stress affective empathy and empathic concern, emphasizing the ability of leaders to gain trust from employees and customers by treating them with real concern and compassion. When some consultants argue that successful companies foster empathy, what that translates to is that companies should conduct good market research. In other words, an “empathic” company understands the needs and wants of its customers and seeks to fulfill those needs and wants. When some people speak of design with empathy, what that translates to is that companie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 needs of different populations — the blind, the deaf, the elderly, non­English speakers, the color­blind, and so on — when designing products. 

* empathy: 공감, 공감 능력 ** compassion: 동정심
① diverse benefits of good market research
② negative factors in making business decisions
③ difficulties in designing products with empathic concern 
④ efforts to build cognitive empathy among employees
⑤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empathy in business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3 모의고사 2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Empathy is frequently listed as one of the most desired skills in an employer or employee, although without specifying exactly what is meant by empathy.

주요 단어 정리

  • empathy: 공감, 공감 능력 (동의어: understanding, compassion / 반의어: indifference, apathy)
  • list: 목록으로 만들다, 열거하다
  • frequently: 자주, 흔히 (동의어: often, repeatedly / 반의어: rarely, seldom)
  • one of the 최상급+복수명사: 가장 ~한 복수명사 중 하나
  • desired: 원하는, 바람직한 (동의어: sought-after, preferred / 반의어: undesired, unwanted)
  • although: 그러나
  • specify: 명시하다, 구체적으로 말하다 (동의어: define, detail / 반의어: generalize, obscure)
  • mean: 의도하다, 의미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mpathy is frequently listed/ [as one/ [of the most desired skills/ <in an employer or employee>]],/
  • 공감 능력은 자주 열거됩니다/ [하나로서/ [가장 바람직한 기술(들) 중/ <고용주나 직원에게서>]],/
  • although/ [without specifying/ [exactly what is meant/ by empathy]].
  • 그러나/ [명시하는 것 없이(명시하지 않은 채로)/ [정확히 무엇이 의도되는지/ 공감 능력에 의해]].

어법 설명

  • 수동태 [be + pp]
  • is frequently listed” 및 “is meant”에서 사용된 어법. 각각, “자주 열거된다”와 “의도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without specifying/~]“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without“의 목적어 역할. ”~을 명시하는 것 없이(~을 명시하자 않은 채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at is meant”에서 사용된 어법. 여기서 “what”은 의문사이면서 주어 역할을 동시에 하며 “무엇이 의도되는지”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어법상,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로도 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공감 능력에 의해 의도되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및 주제 찾기 1
  • 문장 1은 “공감 능력의 중요성”을 전달하며, 사실 관계에 대한 진술입니다. 따라서, 주장이나 핵심 내용으로 볼 수 없으므로 한 문장 더 읽도록 합니다.

문장 2

Some businesses stress cognitive empathy, emphasizing the need for leaders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and customers when negotiating deals and making decisions.

주요 단어 정리

  • stress: 강조하다 (동의어: emphasize, highlight / 반의어: downplay, ignore)
  • cognitive empathy: 인지적 공감 능력
  • perspective: 관점 (동의어: viewpoint, outlook / 반의어: blindness, indifference)
  • negotiate: 협상하다 (동의어: bargain, mediate / 반의어: dispute, quarre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me businesses stress/ cognitive empathy,/
  • 일부 기업들은 강조합니다/ 인지적 공감 능력을,/
  • [emphasizing/ [the need/ [<for leaders>/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and customers>]]]]]/
  • [강조하면서/ [필요성을/ [<리더들이> [이해해야 할/ [관점을/ <직원들과 고객들의>]]]]]/
  • [when <negotiating/ deals>/ and/ <making/ decisions>].
  • [<협상할 때/ 거래를>/ 그리고/ <내릴 때/ 결정을>].

어법 설명

  • 분사구문 1
  • [emphasizing/~]”은 “[while they emphasiz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Some businesses)”가 생략되고 동사 “emphasize”가 “emphasiz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강조하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the need/ [<for leaders>/ [to understand/~]]]”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need”를 수식하여 “리더들이 ~을 이해할 필요성”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for leaders>”는 “[to understand/~]”의 의미상 주어.
  • 분사구문 2
  • [when <negotiating/ deals>/ and/ <making/ decisions>]은 “[when they negotiate/ ~/ and/ make~]”의 종속절에서 주어 “they(=leaders)”가 생략되고 동사 “negotiate”와 “make”가 “negotiating”과 “mak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거래(들)를 협상하고 결정(들)을 내릴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및 주제 찾기 2
  • 문장 2은 “일부 기업들이 공감 능력을 강조하는 이유”를 전달합니다. Some businesses stress”의 표현으로부터 기업들의 다른 입장이 있을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관점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한 문장 더 읽도록 합니다.

문장 3

Others stress affective empathy and empathic concern, emphasizing the ability of leaders to gain trust from employees and customers by treating them with real concern and compassion.

주요 단어 정리

  • affective empathy: 감정적 공감 능력
  • empathic concern: 공감적 관심
  • gain: 얻다 (동의어: obtain, acquire / 반의어: lose, forfeit)
  • trust: 신뢰 (동의어: confidence, faith / 반의어: suspicion, doubt)
  • compassion: 동정심 (동의어: sympathy, kindness / 반의어: cruelty, apath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thers stress/ <affective empathy and empathic concern>,/
  • 다른 기업들은 강조합니다/ 감정적 공감 능력과 공감적 관심을,/
  • [emphasizing/ [<the ability/ of leaders>/ [to gain/ trust/ <from employees and customers>]]]/
  • [강조하면서/ [<능력을/ 리더들의>/ [얻기 위한/ 신뢰를/ <직원들과 고객들로부터>]]]/
  • [by treating/ them/ <with real concern and compassion>].
  • [대우하는 것에 의해서(대우함으로써)/ 그들을/ <진정한 관심과 동정심을 가지고>].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emphasizing/~]”은 “[while they emphasiz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Others)”가 생략되고 동사 “emphasize”가 “emphasiz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강조하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the ability/ of leaders>/ [to gain/ trust/ <from employees and customers>]]”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구 “<the ability/ of leaders>를 수식하여 “직원들과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한 리더들의 능력”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treating/ them/ <with real concern and compassion>]“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대우하는 것에 의해(대우 함으로써)“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문장 3의 핵심 내용 및 주제 찾기 3
  • 문장 3은 “다른 기업들이 공감 능력을 강조하는 이유”를 전달합니다. 여기까지의 내용을 볼 때공감 능력에 대해 기업들이 강조하는 이유의 다양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보기를 확인하면, 이 내용과 관련이 있는 진술은 “⑤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empathy in business(기업에서의 공감 능력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들))”뿐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4

When some consultants argue that successful companies foster empathy, what that translates to is that companies should conduct good market research.

주요 단어 정리

  • consultant: 컨설턴트, 상담가
  • foster: 촉진하다, 육성하다 (동의어: promote, nurture / 반의어: suppress, neglect)
  • translate to~: ~로 해석되다, (여기서는) 의미하다(→mean)
  • conduct: 수행하다 (동의어: carry out, perform / 반의어: abandon, igno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some consultants argue/ [(that) successful companies foster/ empathy]],/
  • [일부 컨설턴트들이 주장할 때/ [성공적인 기업들이 공감을 육성한다고/ 공감 능력을]],/
  • [what that translates to(→means)]/ is [that companies should conduct/ good market research].
  • [그것이 해석되는(의미하는) 것은]/ [기업들이 수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훌륭한 시장 조사를].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some consultants argu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argue[(that) successful companies foster/ empathy]"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argu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that translates to(→means)]”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것이 번역되는(→의미하는) 것“의 의미.
  • 문맥상 모호한 의미의 어휘 사용 & 변경 필요성
  • [what that translates to(→means)]“에서 ”translates to“는 문맥상, ”means(의미한다)“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s [that companies should conduct/ good market research]"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명확하지 않은 논리적 관계
  • [what that translates to(→means)]is [that companies should conduct/ good market research]”에서 “that”은 “[(that) successful companies foster/ empathy]”를 지시합니다. 즉, “성공적인 기업들이 공감 능력을 육성한다.”는 내용“[that companies should conduct/ good market research(기업들이 훌륭한 시장조사를 시행해야 한다는 것)]” 사이에는 문맥상 및 상식적으로도 인과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that companies want to be successful/ by fostering empathy(기업들이 공감 능력을 육성함으로써 성공하기를 원한다는 것)]” 정도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렇게 변경해야 문장 5의 내용과도 맥락적으로 이어집니다.

문장 5

In other words, an “empathic” company understands the needs and wants of its customers and seeks to fulfill those needs and wants.

주요 단어 정리

  • in other words: 다시 말해서, 즉
  • empathic: 공감하는
  • seek: 추구하다 (동의어: strive for, aim for / 반의어: avoid, neglect)
  • seek to 부정사: ~하는 것을 추구하다
  • fulfill: 충족하다, 이행하다 (동의어: satisfy, meet / 반의어: neglect, igno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other words,/
  • 다시 말해서,/
  • an “empathic” company(→a company/ that values/ empathy)/ [understands/ [<the needs and wants>/ of its customers]]/ and/ [seeks to fulfill/ <those needs and wants>].
  • “공감하는” 회사(→공감을 중시하는 기업)는/ [이해합니다/ [<그 욕구와 요구를>/ 그것의 고객들의]]/ 그리고/ [충족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그러한 욕구와 요구들을>].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In other words"
  • 문장 내에서 "다시 말해서/즉"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부적절한 표현의 수정 필요성
  • an “empathic” company”는 문맥상, “a companythat values/ empathy(공감 능력을 중시하는 기업)”으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understands[<the needs and wants>/ of its customers]]”와 “[seeks to fulfill/ <those needs and want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뒤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seeks to fulfill”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seeks”의 목적어 역할.

문장 6

When some people speak of design with empathy, what that translates to is that companie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 needs of different populations — the blind, the deaf, the elderly, non­English speakers, the color­blind, and so on — when designing products.

주요 단어 정리

  • take into account: 고려하다 (동의어: consider, factor in / 반의어: disregard, ignore)
  • specific: 특정한 (동의어: particular, precise / 반의어: general, vague)
  • population: 인구, 집단
  • and so on: 기타 등등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some people speak/ <of design/ with empathy>],/
  • [일부 사람들이 말할 때/ <설계에 대해/ 공감을 담은>],/
  • [what that translates to(→means)]/ is [that companie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 needs/ [<of different populations>/ —/ <the blind, the deaf, the elderly, non-English speakers, the color-blind, and so on —>]]]/
  • [그것이 번역되는(→의미하는) 것은]/ [기업들이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특정한 요구들을/ [<서로 다른 집단들의>/ 즉/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노인, 비영어 화자, 색맹, 기타 등등의 —>]]]/
  • [when designing/ products(→fostering/ empathy)].
  • [설계할 때/ 제품들을(→공감 능력을 육성하는 것을)].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some people speak/~]”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that translates to(→means)]”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것이 번역되는(→의미하는) 것“의 의미.
  • 문맥상 모호한 의미의 어휘 사용 & 변경 필요성
  • [what that translates to(→means)]“에서 translates to“는 문맥상, ”means(의미한다)“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s [that companies should take into accoun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분사구문
  • [when designingproducts(→fostering/ empathy)]”는 [when they designproducts(→fostering/ empathy)]의 종속절에서 주어 “they(some people)“이 생략되고 동사 ”design“이 ”design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으로 ”제품(들)을(공감 능력을 육성하는 것을) 설계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일관성의 오류
  • 이 지문의 주장은 ”리더들의 공감 능력의 조성이라는 측면을 서로 다른 기업들이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design/ with empathy“와 ”[when designing/ products]“도 그 범위 내에서 기술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when designing/ products]“는 ”[when designing/ <fostering/ empathy>]“으로 변경해야 전체 문맥상 적절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기업 환경에서 ‘공감’은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며, 이를 통해 고객과 직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근거 문장

  • “Empathy is frequently listed as one of the most desired skills in an employer or employee, although without specifying exactly what is meant by empathy.”
  • "Some businesses stress cognitive empathy, emphasizing the need for leaders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and customers when negotiating deals and making decisions."
  • “Others stress affective empathy and empathic concern, emphasizing the ability of leaders to gain trust from employees and customers.”

정답 선택

  • ①, ②, ③, ④는 문맥과 부합하지 않습니다.
  • 따라서, “⑤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empathy in business"가 지문 전체를 가장 잘 대변합니다.

결론

"공감의 다면적 해석: 혁신과 도전의 교차점에서"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공감이라는 개념의 다양한 해석과 응용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인지적 공감은 리더가 직원과 고객의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을 강조하며, 감정적 공감은 신뢰와 관심을 바탕으로 고객과 직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그러나 지문은 "translate to"와 같은 표현의 모호성과 디자인에서 공감을 구현하는 논리적 연결 부족이라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공감이라는 개념이 비즈니스 성공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뿐 아니라, 해석 및 실행상의 도전 과제 또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주제 찾기 문제의 해설을 통해 논리적으로 주제를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