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건강 습관 개선을 위한 심상의 힘: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문제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영어 29번 지문은 행동 변화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심상(metal imagery)과 암시의 힘(power of suggestion)이 어떻게 건강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지 탐구합니다. 본 분석은 지문의 모든 문장을 청크 단위로 분해하며, 어법적 적합성을 꼼꼼히 검토합니다. 특히, 영어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분사구문, 수동태, 관계대명사 등 출제 포인트를 깊이 있게 다루어 실전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합니다.
어법의 적절성 판단의 문제 유형은 지시 대상의 수의 일치를 묻는 대명사 문제를 제외하고 어법의 적절성 여부가 판단되는 문장만 확인하여 시간을 검토에 필요한 줄이라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의고사, 수능에 자주 출제되는 어법 유형의 문제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이고 본 해설 내용도 그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어법의 적절성 판단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독자가 지문을 이해하는데, 분명하고 확실한 도움을 드릴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For years, many psychologists have held strongly to the belief ① that the key to addressing negative health habits is to change behavior. This, more than values and attitudes, ② is the part of personality that is easiest to change. Ingestive habits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various eating behaviors are the most common health concerns targeted for behavioral changes. Processaddiction behaviors (workaholism, shopaholism, and the like) fall into this category as well. Mental imagery combined with power of suggestion was taken up as the premise of behavioral medicine to help people change negative health behaviors into positive ③ ones. Although this technique alone will not produce changes, when ④ using alongside other behavior modification tactics and coping strategies, behavioral changes have proved effective for some people. ⑤ What mental imagery does is reinforce a new desired behavior. Repeated use of images reinforces the desired behavior more strongly over time.
* ingestive: (음식) 섭취의 ** premise: 전제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For years, many psychologists have held strongly to the belief ① that the key to addressing negative health habits is to change behavior.
주요 단어 정리
- psychologist: 심리학자 (동의어: mental health professional / 반의어: patient)
- hold to~: 고수하다, 유지하다 (동의어: adhere to, stick to / 반의어: abandon, discard)
- belief: 믿음, 신념 (동의어: conviction, opinion / 반의어: doubt, skepticism)
- address: 다루다, 해결하다 (동의어: tackle, deal with / 반의어: ignore, neglect)
- behavior: 행동, 행위 (동의어: conduct, action / 반의어: inactivity, inac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years,/ many psychologists have held/ strongly/
- 여러 해 동안,/ 많은 심리학자들은 고수해 왔습니다/ 강하게/
- [to the belief/ [that [the key/ <to addressing/ negative health habits>]/ <is to change/ behavior>]].
- [그 믿음을/ [[열쇠가/ <다루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건강 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이라는/ 행동을>]].
어법 설명
- 현재완료[have + pp] 시제
- "have held"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지속적인 믿음을 나타내어 계속적 용법에 해당합니다.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어법적 적절성 검토
- "the belief/ [that [the key/ <to addressing/ negative health habits>]/ <is to change/ behavior>]"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the belief“을 설명하여 ”부정적인 건강 습관(들)을 다루는 것에 대한 열쇠사 행동을 바꾸는 것이라는 믿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따라서, “① that”은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이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문장 2
This, more than values and attitudes, ② is the part of personality that is easiest to change.
주요 단어 정리
- value: 가치관 (동의어: principle, ideal / 반의어: triviality, insignificance)
- attitude: 태도, 입장 (동의어: outlook, perspective / 반의어: apathy, disinterest)
- personality: 성격, 인격 (동의어: character, temperament / 반의어: anonymity)
- easiest: 가장 쉬운 (동의어: simplest, most straightforward / 반의어: hardest, most complex)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more (easy)/ <than values and attitudes>],/ [is the part/ [of personality/ that is easiest/ to change]].
- 이것은(행동을 바꾸는 것은),/ [더 (쉬운)/ <가치관과 태도보다>],/ [일부입니다/ [성격의/ 가장 쉬운/ 바뀌기에]].
어법 설명
- 의미상 형용사의 생략
- “[more (easy)/ <than values and attitudes>]”에서 “more“ 뒤에 의미상 ”(easy)“ 생략된 것으로 봐야 합니다. 즉, ”행동을 바꾸는 것“과 ”가치관이나 태도“가 성격이 일부이고 ”행동을 바꾸는 것“이 ”가치관이나 태도“를 바꾸는 것보다 쉽다는 의미입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어법적 적절성 검토
- 문장의 주어는 ”This“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결과적으로, “② is”는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personality/ that is easiest/ to change”에서 “that”은 선행사, “personality”을 수식하여, “바꾸기에 가장 쉬운 성격”의 의미를 전달.
문장 3
Ingestive habits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various eating behaviors are the most common health concerns targeted for behavioral changes.
주요 단어 정리
- ingestive: 섭취의 (동의어: consumptive / 반의어: eliminative)
- habit: 습관 (동의어: custom, routine / 반의어: anomaly, irregularity)
- various: 다양한
- eating behavior: 식사 행동(식습관) (동의어: eating habit)
- concern: 관심사, 우려 (동의어: issue, worry / 반의어: indifference)
- target: 목표로 삼다, 겨냥하다 (동의어: aim, focus on / 반의어: igno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gestive habits/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various eating behaviors>]/ are [the most common health concerns/ (that are) targeted/ for behavioral changes].
- [섭취 습관은/ <흡연, 음주 및 다양한 식습관 같은>]/ [가장 흔한 건강의 관심사(들)입니다/ 목표로 삼아지는/ 행동 변화(들)를 위해].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Ingestive habit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are”.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 most common health concerns/ (that are) targeted/ for behavioral changes]“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the most common health concern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이 경우, ”which are“는 사용 불가 (선행사에 최상급 & 서수를 포함하는 경우).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행동의 변화(들)을 위해 목표로 삼아지는 가장 흔한 건강의 관심사(들)“의 의미를 전달.
문장 4
Process-addiction behaviors (workaholism, shopaholism, and the like) fall into this category as well.
주요 단어 정리
- process-addiction: 행위 중독 (예: 일 중독, 쇼핑 중독)
- and the like: 그와 비슷한 것들, 기타 같은 종류의 것들
- fall into~: ~에 속하다 (동의어: belong to, be classified as / 반의어: diverge from)
- category: 범주, 유형 (동의어: class, type / 반의어: individual case)
- as well: 또한, 역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rocess-addiction behaviors/ (workaholism, shopaholism, and the like)]/ fall/ into this category/ as well.
- [행위 중독의 행동들은/ (일 중독, 쇼핑 중독, 그리고 그와 비슷한 것들)/속합니다/ 이 범주에 / 또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Process-addiction behavior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fall“.
문장 5
Mental imagery combined with power of suggestion was taken up as the premise of behavioral medicine to help people change negative health behaviors into positive ③ ones.
주요 단어 정리
- mental imagery: 심상, 정신적 이미지
- combine: 결합하다
- suggestion: 암시 (동의어: implication, hint / 반의어: statement)
- take up: 채택하다, 차지하다, 쓰다
- premise: 전제 (동의어: proposition, assumption / 반의어: conclusion)
- behavioral medicine: 행동 의학
- positive: 긍정적인 (동의어: favorable, affirmative / 반의어: negative, adver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ental imagery/ (which or that is) combined/ <with power/ of suggestion>]/ was taken up/ [as the premise/ [of behavioral medicine/ [to help/ people/ <change/ negative health behaviors/ into positive ones>]]].
- [심상이/ 결합된/ <힘과/ 암시의>]/ 채택되었습니다/ [전제로/ [행동 의학의/ [돕기 위한/ 사람들을/ <변경하도록/ 부정적인 건강 행동(들)을/ 긍정적인 행동(들)으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Mental imagery”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was taken up“.
- 수동태[be + pp]
- "was taken up"은 "채택되었다"는 의미로 사용된 수동태.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Mental imagery/ (which or that is) combined/ <with power/ of suggestion>]“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Mental imagery“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암시의 힘과 결합된 심상“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behavioral medicine/ [to help/ peopl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behavioral medicine”를 수식하여 “사람들을 돕기 위한 행동 의학”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문형 "사역동사(help)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to 부정사)"
- “help/ people/ <change/ negative health behaviors/ into positive ones>”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을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문장 6
Although this technique alone will not produce changes, when ④ using alongside other behavior modification tactics and coping strategies, behavioral changes have proved effective for some people.
주요 단어 정리
- technique: 기술 (동의어: method, approach / 반의어: ignorance)
- ~ alone: ~만으로는
- alongside~: ~와 함께
- produce: 만들어내다
- behavior modification: 행동 수정
- coping strategy: 대처 전략
- behavioral change: 행동의 변화
- effective: 효과적인 (동의어: efficient, successful / 반의어: ineffectiv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though this technique alone will not produce/ changes],/
- [비록 이 기술만으로는 만들어내지 못할지라도/ 변화(들)를],/
- [when using(→used)/ <alongside other behavior modification tactics and coping strategies>],/
- [사용할(→사용될) 때/ <다른 행동 수정 전술들 및 대처 전략들과 함께>],/
- behavioral changes have proved/ effective/ for some people.
- 행동의 변화는 입증되었습니다/ 효과적인 것으로/ 일부 사람들에게.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although[ though / even if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Although this technique alone will not produce/ changes]”에서 사용된 어법.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어법적 적절성 검토
- “[when using(→used)/~]”은 “[while it is used/ ~]”의 종속절에서 주어 “it(=this technique)”이 생략되고 동사 “is”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되어 “[when used~]”만 남은 분사구문입니다. 따라서, “④ using”은 어법적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using"이 “used”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현재완료[have + pp] 시제
- "have proved"는 "행동 변화가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결과적 용법입니다.
문장 7
⑤ What mental imagery does is reinforce a new desired behavior.
주요 단어 정리
- reinforce: 강화하다 (동의어: strengthen, fortify / 반의어: weaken, undermine)
- desired: 원하는, 바람직한 (동의어: wished-for, preferred / 반의어: undesir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t mental imagery does]/ is reinforce(→is to reinforce)/ a new desired behavior.
- [심상이 하는 것은]/ 강화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원하는(바람직한) 행동을.
어법 설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어법적 적절성 검토
- “[What mental imagery does]”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심상이 하는 것“의 의미. 따라서 "⑤ What"은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이지만,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문장 8
Repeated use of images reinforces the desired behavior more strongly over time.
주요 단어 정리
- repeated: 반복되는, 반복적인 (동의어: recurrent, iterative / 반의어: infrequent)
- over time: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동의어: gradually, progressively / 반의어: immediate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epeated use/ of images>/ reinforces/ the desired behavior/ more strongly/ over time.
- <반복적인 사용은/ 이미지들의(심상들의)>/ 강화합니다/ 원하는(바람직한) 행동을/ 더 강하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Repeated use”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reinforces“.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부정적인 건강 습관을 긍정적인 습관으로 바꾸기 위해 행동 변화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심상(metal imagery)과 암시의 힘(power of suggestion)이 행동 의학에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된다. 이러한 기법은 단독으로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으나, 다른 행동 수정 전술과 대처 전략과 함께 사용될 때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강화하고 지속시킬 수 있다.
어법상 틀린 부분
- 문장 6에서 "when using"은 주절의 주어와 일치하지 않아, 수동형 "when used"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④번입니다.
결론
"행동 변화와 건강 습관 개선: 문제 해결의 핵심은 심상의 활용"
이번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지문은 부정적인 건강 습관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심상의 실용적 사용을 보여줍니다. 이 과정에서 분사구문("when using"), 관계대명사("that", "what")의 역할, 수동태 활용 등 어법적 요소를 학습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심상과 암시의 힘이 행동 의학에서 어떻게 유용한 도구로 쓰이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영어 공부뿐 아니라 실제 삶에서도 큰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글을 통해 모의고사 준비뿐 아니라, 영어 독해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고리 역할을 하는 청크(chunk)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에 포함된 오류를 포함하여 지문을 200%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