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부모의 역할과 감정 사회화: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문제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영어 30번 지문은 감정 사회화(emotion socialization)와 부모의 역할이 자녀의 감정 조절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룹니다. 특히, 청소년기의 자율성을 방해하거나 지원하는 부모의 행동 차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합니다. 하지만 일부 표현은 시험 문제를 어렵게 만들기 위한 의도로 작성되어 의미의 모호성을 유발합니다. 예를 들어, "cultivate"와 같은 동사는 문맥상 적합하지 않아 학생들의 정확한 해석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본 분석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명확히 해석하고 문장별 주요 단어, 청크, 어법 요소를 정리하여 학생들이 시험의 함정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의미의 단위 및 문법적 연결) 분석과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 및 구조적 차이를 바탕으로 한 의미 해석,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100%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Emotion socialization — learning from other people about emotions and how to deal with them — starts early in life and plays a foundational role for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Although extra­familial influences, such as peers or media, gain in importance during adolescence, parents remain the ① primary socialization agents. For example, their own responses to emotional situations serve as a role model for emotion regulation, increasing the likelihood that their children will show ② similar reactions in comparable situations. Parental practices at times when their children are faced with emotional challenges also impact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Whereas direct soothing and directive guidance of what to do are beneficial for younger children, they may ③ cultivate adolescents’ autonomy striving. In consequence, adolescents might pull away from, rather than turn toward, their parents in times of emotional crisis, unless parental practices are ④ adjusted. More suitable in adolescence is ⑤ indirect support of autonomous emotion regulation, such as through interest in, as well as awareness and nonjudgmental acceptance of,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s, and being available when the adolescent wants to talk.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Emotion socialization — learning from other people about emotions and how to deal with them — starts early in life and plays a foundational role for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주요 단어 정리

  • emotion socialization: 감정의 사회화 (동의어: emotional education / 반의어: emotion suppression)
  • deal with~: ~을 다루다
  • foundational: 기본적인, 근본적인 (동의어: fundamental, basic / 반의어: superficial, peripheral)
  • start: 시작되다
  • play a fundamental role: 기본적인 역할 하다
  • regulation: 조절, 통제 (동의어: control, management / 반의어: chaos, disorganization)
  • emotion regulation: 감정 조절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motion socialization]/ — [learning/ from other people/ [about [emotions]/ and/ [how to deal with/ them]]]] —/
  • [[감정의 사회화는]/ — [배우는 것인/ 다른 사람들로부터/ [[감정들]에 대해서/ 그리고/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그것들을(감정들을)]]]] —/
  • [starts/ <early/ in life>]/ and/ [plays/ <a foundational role/ for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 [시작됩니다/ <이른 시기에/ 인생의>]/ 그리고/ [합니다/ <기본적인 역할을/ 감정 조절 발달을 위한>].

어법 설명

  • 동격 관계
  • [Emotion socialization]”와 “[learningfrom other people/ [about [emotions]and[how to deal with/ them]]]”는 동격 관계입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Emotion socialization]”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starts~“와 ”plays~“.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how to deal with/ them]“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그것들을(감정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의 의미. ”how to 부정사“는 ”~하는 방법“으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starts/ <early/ in life>]”와 “[plays/ <a foundational role/ for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뒤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문장 2

Although extra­familial influences, such as peers or media, gain in importance during adolescence, parents remain the ① primary socialization agents.

주요 단어 정리

  • extra-familial: 가족 외의 (동의어: external, non-familial / 반의어: intra-familial)
  • influence: 영향력
  • gain in~: ~이 커지다
  • importance: 중요성
  • adolescence: 청소년기 (동의어: teenage years / 반의어: adulthood, infancy)
  • remain: (~한 상태로) 남아있다
  • primary: 주요한, 근본적인 (동의어: main, chief / 반의어: secondary, minor)
  • agent: 대리인, 요인 (동의어: representative, facilitator / 반의어: obstac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though [extra-familial influences,/ <such as peers or media>],/ gain in importance/ during adolescence],/
  • [비록 [가족 외의 영향력들이,/ <또래나 미디어 같은>],/ 중요성이 커질지라도]/ 청소년기 동안],/
  • parents remain/ the primary socialization agents.
  • 부모들은 남아 있습니다/ 주요한 사회화 요인들로.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although[ though / even if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Although [extra-familial influences,/ <such as peers or media>],/ gain in importanceduring adolescence]”에서 사용된 어법.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Although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Although 절의 주어는 ”Textra-familial influences”로 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 형태인, ”gain in importance“.
  • 어휘의 적절성 판단 1
  • “① primary”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3

For example, their own responses to emotional situations serve as a role model for emotion regulation, increasing the likelihood that their children will show ② similar reactions in comparable situations.

주요 단어 정리

  • response: 반응 (동의어: reaction, reply / 반의어: indifference)
  • serve as~: ~의 역할을 하다
  • role model: 롤모델, 역할 모델, 모범
  • increase: 증가시키다
  • likelihood: 가능성 (동의어: probability, chance / 반의어: impossibility)
  • similar: 비슷한 (동의어: alike, comparable / 반의어: different, dissimilar)
  • reaction: 반응
  • comparable: 비교할 수 있는, 유사한 (동의어: equivalent, analogous / 반의어: unrelated)
  • situation: 상황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their own responses/ to emotional situations>/ serve/ <as a role model/ for emotion regulation>,/
  • <그들 자신의(부모들 자신의) 반응은/ 감정적 상황들에 대한>/ 역할을 합니다/ <롤모델의/ 감정 조절에 대한>,/
  • [increasing/ [the likelihood/ that their children will show/ similar reactions/ in comparable situations]].
  • [증가시키면서/ [가능성을/ 그들의 아이들이 보여줄 것이라는/ 비슷한 반응들을/ 유사한 상황들에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ir own response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serve“.
  • 분사구문
  • [increasing[the likelihood/~]]”는 “[while they increase/ [the likelihood/~]]”에서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their own responses)”가 생략되고 동사 “increase”가 “increa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likelihood/ that their children will show/ similar reactions/ in comparable situations]"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the likelihood“을 설명하여 ”그들의 아이들이 유사한 상황(들)에서 비슷한 반응(들)을 보여줄 것이라는 가능성“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2
  • “② similar”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4

Parental practices at times when their children are faced with emotional challenges also impact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주요 단어 정리

  • parental: 부모의 (동의어: maternal, paternal / 반의어: childlike)
  • practice: 행위, 관습, 실천, 관행 (동의어: action, custom / 반의어: theory, idea)
  • be faced with~: ~에 직면되다(직면하다)
  • emotional challenge: 감정적 도전(어려움)
  • at times: 시기들에
  • challenge: 도전, 어려움 (동의어: difficulty, obstacle / 반의어: ease, advantage)
  • impact: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affect, influence / 반의어: ignore, neglect)
  • development: 발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arental practices/ [at times/ when their children are faced/ with emotional challenges]]/ also impact/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 [부모의 행위들은(실천들은)/ [시기들에서의/ 그들의 아이들이 직면되는(직면하는)/ 감정적 도전들에]]/ 또한 영향을 미칩니다/ 감정 조절 발달에.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Parental practice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impact”.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times/ when their children are facedwith emotional challenges"에서 “when”은 시간의 선행사, “times”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그들의 아이들이 감정적 도전들에 직면하는 시기들”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수동태[be + pp + (by[with/of/to]~)]
  • are facedwith emotional challenges”에서 사용된 어법. "감정적인 도전들에 직면된다(직면하다)"의 의미로 수동태.

문장 5

Whereas direct soothing and directive guidance of what to do are beneficial for younger children, they may ③ cultivate adolescents’ autonomy striving.

주요 단어 정리

  • direct: 직접적인
  • soothing: 달래는 것, 누그러뜨리기 (동의어: calming, pacifying / 반의어: agitating, disturbing)
  • directive: 지시적인 (동의어: instructional, prescriptive / 반의어: permissive)
  • guidance: 지도, 안내
  • beneficial: 유익한 (동의어: advantageous, helpful / 반의어: harmful, detrimental)
  • cultivate: 기르다, 양성하다 (동의어: nurture, foster / 반의어: neglect, suppress)
  • adolescent: 청소년
  • autonomy striving: 자율성의 노력, (여기서는) 자율성을 위한 노력(→striving for autonom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reas [<direct soothing and directive guidance>/ [of what to do]]/ are beneficial/ for younger children],/
  • [[<직접적인 달래기와 지시적인 지도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유익하긴 하지만/ 더 어린아이들에게]/
  • they may cultivate(→disturb, hinder, impede, interrupt)/ adolescents’ autonomy striving(→striving for autonomy).그들은(직접적인 달래기와 지시적인 지도는) 기를(→방해할) 수도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자율성의 노력(자율성을 추구하는 노력)을.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whereas + 주어 + 동사”
  • [Whereas [<direct soothing and directive guidance>/ [of what to do]]are beneficial/ for younger children]”에서 사용된 어법. “~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Whereas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Whereas 절의 주어는 "<direct soothing and directive guidance>"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are".
  • 의문사 + to 부정사
  • "what to do"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로 해석.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what the should do"로 변경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3
  • They“가 지시하는 대상이 ”<direct soothing and directive guidance>“이기 때문에, “③ cultivate”는 문맥상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cultivate“는 ”방해하다“의 의미인, disturb“, ”hinder“, ”impede“, 혹은, ”interrupt“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 보다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한 표현의 변경 필요성
  • "autonomy striving"는 문맥상 "자율성을 위한 노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striving for autonomy"로 표현하는 것이 더 명확한 의미를 전달하기에 적절합니다.

문장 6

In consequence, adolescents might pull away from, rather than turn toward, their parents in times of emotional crisis, unless parental practices are ④ adjusted.

주요 단어 정리

  • in consequence: 결과적으로
  • pull away from~: ~에서 벗어나다, 떠나다 (동의어: retreat from, withdraw from / 반의어: approach, move toward)
  • rather than~: ~하기 보다
  • turn toward~: ~로 향하다, ~을 향해 돌아서다
  • in times of emotional crisis: 감정적 위기의 시기(들)에
  • adjusted: 조정된 (동의어: modified, altered / 반의어: unchanged, unalter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consequence,/
  • 결과적으로,/
  • adolescents might pull away/ from,/ <rather than turn toward (+them)>,/ their parents/ <in times/ of emotional crisis>,/
  • 청소년들은 떠날지도 모릅니다/ 부모로부터,/ <(+그들에게로(부모들에게로)) 향하기보다는>,/ <시기(들)에/ 감정적 위기의>,/
  • [unless parental practices are adjusted].
  • [만약 부모의 행위가 조정되지 않는 한].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In consequence"
  • 문장 내에서 "결과적으로"의 의미를 전달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삽입구의 오류
  • might pull awayfrom,/ <rather than turn toward (+them)>,/ their parents”에서 “<rather than turn toward (+them)>”는 “from”과 “their parents” 사이에 삽입된 구조. 부사의 위치가 비교적 자유로울지라도, 하나의 의미인 “from their parents” 사이에 삽입하는 것은 어법상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might pull away/ from their parents/ <rather than turn toward (+them)>”으로 변경하고them을 추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조건의 부사절 "unless + 주어 +동사“
  • [unless parental practices are adjusted]“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 ~하지 않는다면“의 의미로, "unless"는 "if not"의 의미와 같습니다.
  • 수동태[be + pp]
  • "are adjusted"는 ”조정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문장 7

More suitable in adolescence is ⑤ indirect support of autonomous emotion regulation, such as through interest in, as well as awareness and nonjudgmental acceptance of,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s, and being available when the adolescent wants to talk.

주요 단어 정리

  • suitable: 적합한 (동의어: appropriate, fitting / 반의어: unsuitable, inappropriate)
  • adolescence: 청소년기
  • indirect: 간접적인 (동의어: implicit, mediated / 반의어: direct, explicit)
  • support: 지원, 지지
  • autonomous: 자율적인
  • such as~: (전치사구) 예를 들어 ~같은
  • interest in~: ~에 대한 관심
  • as well as~: ~뿐만 아니라
  • awareness: 인지
  • nonjudgmental: 판단하지 않는 (동의어: unbiased, impartial / 반의어: critical, biased)
  • acceptance: 수용 (동의어: approval, recognition / 반의어: rejection, denial)
  •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s: 청소년들의 감정적 경험들
  • available: 이용(접근) 가능한
  • talk: 대화하다, 이야기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ore suitable/ in adolescence/ is <indirect support/ of autonomous emotion regulation>,/
  • 더 적합한 것은/ 청소년기에는/ <간접적인 지원입니다/ 자율적인 감정 조절에 대한>,/
  • such as(→for example, or for instance,)/
  • 예를 들어 ~처럼(→예를 들어,)/
  • [through [[interest/ in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 [as well as [<awareness and nonjudgmental acceptance>/ of,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s(→it)>]]]/ and/ [being available/ [when the adolescent wants/ to talk]]].
  • [[[관심을 통해서/ (+청소년들의 감정적 경험들에 대한)],/ [[<인식과 판단하지 않는 수용>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감정적 경험들에 대한(→그것에 대한)]]],/ 그리고/ [이용(접근) 가능한 것(가능함)을 통해서/ [청소년이 원할 때/ 대화하는 것을>]]].

어법 설명

  • 도치 구문
  • "More suitable/ in adolescence/ is <indirect supportof autonomous emotion regulation>"은 도치 구문으로, 원문은 ”<indirect support/ of autonomous emotion regulation>/ is more suitable/ in adolescence“입니다. 보어를 강조하기 위함보다는 지문을 복잡하게 하기 위한 의도로 보여, 구조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기술합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전치사 ”through“의 목적어로, 두 개의 명사구, ”[[interest/ in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 [as well as [<awareness and nonjudgmental acceptance>/ of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s(→it)>]]]“와 ”[being available/ [when the adolescent wantsto talk]]“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명사구의 생략으로 인한 의미적 모호성 유발
  • [interest/ in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에서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를 생략함으로 인해 의미적 모호성이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as well as~]“이하에 대명사, ”it“를 사용하여, 이런 모호성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 ”[[interest/ in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 [as well as [<awareness and nonjudgmental acceptance>/ of it>]]]“. 시험을 어렵게 하기 위한 목적이겠지만, 언어의 목적이, 의사소통임이 간과되어서는 안 됩니다.
  • such as“와 ”for example(instance)“의 차이
  • such as”는 “예를 들어 (~와 같은)”의 의미를 전달하나, 근본적으로 전치사구기에, 뒤에 명사(구)가 위치해야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현재의 문장처럼 "such as" 뒤에 “전치사구”가 오는 경우, 접속 부사구인 “for example”이나 “for instance”를 comma(,)로 분리하여 삽입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eing available“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through“의 목적어 역할. “접근 가능한 것(가능함)“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e adolescent wantsto talk]”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wantsto talk”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wants”의 목적어 역할.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부모의 감정 사회화 방법은 자녀의 감정 조절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청소년기에는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보다는 간접적이고 자율성을 지원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이다.

문맥상 부적절한 표현

  • ③ cultivate: "cultivate adolescents’ autonomy striving"은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여기서 적합한 동사는 "hinder" 또는 "impede"와 같이 "자율성을 방해한다"는 의미여야 논리적으로 일관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③ cultivate → hinder”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감정 조절 발달과 부모의 간접 지원: 시험 문제 함정을 극복하라"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은 부모의 직접적 지시보다 간접적 지원이 청소년기의 감정 조절 발달에 더 효과적임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cultivate"와 같은 부적절한 어휘 사용은 의도적으로 혼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험 문제의 함정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휘와 문법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장별 분석을 통해 도치 구문, 병렬 구조, 분사구문 등 자주 등장하는 시험 어법 요소를 학습하고, 부모와 자녀 간 감정 사회화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험 함정의 이해와 극복", "감정 사회화와 청소년기 지원", "어휘 적합성 판단의 중요성" 등의 키워드와 함께, 이 글은 효과적인 시험 준비와 실질적인 학습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및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그리고 문제 해결 방법을 위한 tip과 지문의 오류를 포함한 상세한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이 전달하는 메시지와 논리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