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서론

"사소한 관심이 만드는 큰 차이!"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일상 속에서 타인을 배려하는 작은 행동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필자는 사람들에게 인사하거나 외로운 이들과 시간을 보내는 등의 작은 행동이 타인의 행복과 사회적 연결성을 증진시키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설명합니다. 본문은 이러한 사소한 행동의 가치를 강조하며, 독자들에게 실천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이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en it comes to helping out, you don’t have to do much. All you have to do is come around and show that you care. If you notice someone who is lonely, you could go and sit with them. If you work with someone who eats lunch all by themselves, and you go and sit down with them, they will begin to be more social after a while, and they will owe it all to you. A person’s happiness comes from attention. There are too many people out in the world who feel like everyone has forgotten them or ignored them. Even if you say hi to someone passing by, they will begin to feel better about themselves, like someone cares. 

① 사소한 관심이 타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② 사람마다 행복의 기준이 제각기 다르다. 

③ 선행을 통해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다. 

④ 원만한 대인 관계는 경청에서 비롯된다. 

⑤ 현재에 대한 만족이 행복의 필수조건이다.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en it comes to helping out, you don’t have to do much.

주요 단어 정리

  • when it comes to ~ing: ~에 관해서라면
  • help out: 돕다 (동의어: assist, support / 반의어: neglect)
  • don’t have to~: ~할 필요가 없다 (동의어: don’t need to)
  • much: 많은 것, 많은 양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it comes to helping out],/
  • [돕는 것에 관해서라면],/
  • you don’t have to do/ much.
  • 당신은 할 필요가 없습니다/ 많은 것을.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to helping out“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여기서는 ”도와주는 것에“의 의미로 사용.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요지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남을 돕는 행위는 많은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입니다. 이 문장은 일종의 주장으로 볼 수 있으므로 보기를 확인하면 “① 사소한 관심이 타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뿐입니다. 그래도 한 문장만 더 읽어봅시다.

문장 2

All you have to do is come around and show that you care.

주요 단어 정리

  • all: 전부, 모든 것
  • have to do: 해야만 하다
  • come around: (주변에) 나타나다, 방문하다
  • show: 보여주다, 표현하다 (동의어: demonstrate, express)
  • care: 신경쓰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l/ (that) you have to do]/ is [(to) come around]/ and/ [(to) show/ [that you care]].
  • [전부는/ 당신이 해야만 하는[/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리고/ [보여주는 것입니다/ [당신이 신경 쓴다는 것을]].

어법 설명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의 생략
  • “[All/ (that) you have to do]”에서 “선행사, “All”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이 생략된 구조. 이 경우, which는 사용하지 못함. “당신이 해야만 하는 전부”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
  • be + (to) 부정사 – 모의고사 같은 공적인 문서에서는 to 포함이 원칙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 다만,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인 문서에서는 여전히 "to"를 포함한 완전한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운명)”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o) show[that you care]"에서 "that"은 “(to) show“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됨.
  • 요지 찾기 Tip에 따른 요지 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남을 도울 때 필요한 전부 – 나타나서 신경 쓰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입니다. “사소한 관심“으로 볼 수 있는 내용인, ”나타나서 신경 쓰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까지 존재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나마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3

If you notice someone who is lonely, you could go and sit with them.

주요 단어 정리

  • notice: 알아차리다 (동의어: observe, perceive / 반의어: ignore)
  • lonely: 외로운 (동의어: isolated, lonesome / 반의어: connected, sociable)
  • sit with~: ~와 함께 앉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you notice/ [someone/ who is lonely]],/
  • [만약 당신이 알아차린다면/ [누군가를/ 외로운]],/
  • you <could go>/ and/ <(could) sit/ with them(him or her)>.
  • 당신은 <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앉을 수 있습니다/ 그들과 함께>].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직설법적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someone/ who is lonely]에서 “who”는 선행사, “someone”를 수식하여, “외로운 누군가”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를 병치
  • <could go>와 <(could) sit/ with them>이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부정확한 대명사의 사용
  • 이미 앞서 “[someone/ who is lonely]”을 표현했으므로, “them”은 “him or her”로 변경되어야 적절. 최근 대명사의 수의 일치도 문제로 출제되고 있어 심각한 문제.

문장 4

If you work with someone who eats lunch all by themselves, and you go and sit down with them, they will begin to be more social after a while, and they will owe it all to you.

주요 단어 정리

  • work with~: ~와 함께 일하다
  • eat lunch: 점심을 먹다
  • by oneself: 혼자서
  • begin to 부정사: ~하기 시작하다
  • social: 사회적인, 사교적인 (동의어: outgoing, friendly / 반의어: reserved, introverted)
  • after a while: 얼마 후에
  • owe A to B: A를 B의 덕분으로 여기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you work/ [with someone/ who eats/ <lunch/ all>/ by themselves]]/ and/ [you go/ and/ <sit down/ with them(him or her)>]],/
  • [만약 [당신이 일한다면/ [누군가와 함께/ 먹는/ <점심을/ 모든>/ 혼자서]]/ 그리고/ [당신이 간다면/ 그리고/ <앉는다면/ 그들과 함께>]],/
  • they will begin/ to be more social/ after a while,/
  • 그들은 시작할 것입니다/ 더 사교적으로 되는 것을/ 얼마 후에,/
  • and/
  • 그리고/
  • they will owe/ <it/ all>/ to you.
  • 그들은 덕분으로 여길 것입니다/ <그것/ 모두를>/ 당신의.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직설법적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문장을 병치
  • [you work/ [with someone/ who eats/ <lunch/ all>/ by themselves]]와 [you go/ and/ <sit down/ with them(him or her)>]이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someone/ who eats/ <lunch/ all>/ by themselves”에서 “who”는 선행사, “someone”를 수식하여, “혼자서 모든 점심을 먹는 누군가”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begin/ to be more social”에서 사용된 용법. 직역하면 “더 사교적이 되기를 시작했다”로 해석. 보통 “더 사교적이 되기 시작하다”로 의역.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go”와 “<sit down/ with them(him or her)>”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부정확한 대명사의 사용
  • 이미 앞서 “someone/ who eats/ <lunch/ all>/ by themselves”로 표현했으므로, “them”은 “him or her”로 변경되어야 적절. 최근 대명사의 수의 일치도 문제로 출제되고 있어 심각한 문제.

문장 5

A person’s happiness comes from attention.

주요 단어 정리

  • happiness: 행복 (동의어: contentment, joy / 반의어: sadness, despair)
  • attention: 관심, 주목 (동의어: consideration, awareness / 반의어: neglect, ignora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person’s happiness comes/ from attention.
  • 사람의 행복은 옵니다/ 관심으로부터.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6

There are too many people out in the world who feel like everyone has forgotten them or ignored them.

주요 단어 정리

  • too many: 너무 많은
  • out in the world: 세상에는
  • forget: 잊다 (동의어: neglect, overlook / 반의어: remember, recall)
  • ignore: 무시하다 (동의어: disregard, neglect / 반의어: notice, acknowledg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 are/ [[[too many people]/ out in the world/ who feel/ [like (that) everyone <has forgotten/ them>/ or/ <(has) ignored/ them>]].
  • 있습니다/ [[[너무 많은 사람들이]/ 세상에는/ 느끼는/ [모든 사람이 <잊었다는 것처럼>/ 혹은/ <무시했다는 것처럼/ 그들을>]]].

어법 설명

  • 선행사와 관계대명사의 의도적 분리
  • 영어에는 “수식어와 피수식어를 분리해선 안 된다.”는 대원칙이 있음. 현재, 선행사, “too many people“과 관계절, ”who feel/ [like (that)~“ 사이에 부사구인 ”out in the world“가 삽입된 구조로 어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음. 차라리, “there are, out in the world,“나 관계절이 끝나는 위치인 ”~<(has) ignored/ them>,/ out in the world“처럼 썼어야 함.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like (that) everyone <has forgotten/ them>/ or/ <(has) ignored/ them>]"에서 생략된 "that"은 전치사, “like“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인 것/~하는 것“의 의미로 해석됨.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됨.
  • 병렬 구조 – or로 2개의 동사구[현재완료 시제] 병치
  • <has forgotten/ them>와 <(has) ignored/ them>이 or로 병렬 연결된 구조.

문장 7

Even if you say hi to someone passing by, they will begin to feel better about themselves, like someone cares.

주요 단어 정리

  • even if: ~일지라도
  • say hi: 인사하다
  • passing by: 지나가는
  • feel better: 더 낫게 느끼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n if you say/ hi/ [to someone/ (who is) passing by]],/
  • [비록 당신이 말할지라도/ 안녕이라고/ [누군가에게/ 지나가고 있는>]]/
  • they will begin/ to feel better/ about themselves,/
  • 그들은 시작할 것입니다/ 더 낫게 느끼기를(더 낫게 느끼기 시작할 것입니다)/ 자신에 대해,/
  • * like [(that) someone cares].
  • [누군가가 신경을 쓰는 것]처럼.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even if[ though / although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someone/ (who is) passing by”에서 “which는 선행사, “someone”를 수식하여, “지나가고 있는 누군가”의 의미를 전달. 이 경우, that은 사용 못함.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will begin to feel better~”에서 사용된 용법. 직역하면 “더 낫게 느끼기를 시작할 것이다”로 해석되나 “더 낫게 느끼기 시작할 것이다”로 의역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like [(that) someone cares]"에서 생략된 "that"은 전치사, “like“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인 것/~하는 것“의 의미로 해석됨.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됨.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본문은 사소한 관심과 배려가 타인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설명하며, 사람들에게 인사하거나 함께 시간을 보내는 작은 행동이 다른 사람의 사회적 연결성과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정답 선택

  • 1. ① 사소한 관심이 타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 → 본문 전체의 내용을 정확히 반영합니다.
  • 2. ② 사람마다 행복의 기준이 제각기 다르다.
  • → 행복의 기준에 대한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3. ③ 선행을 통해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다.
  • → 자신을 되돌아보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4. ④ 원만한 대인 관계는 경청에서 비롯된다.
  • → 경청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없습니다.
  • 5. ⑤ 현재에 대한 만족이 행복의 필수조건이다.
  • → 현재에 대한 만족이 행복의 필수조건이라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① 사소한 관심이 타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입니다.

결론

"작은 행동, 큰 영향!"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타인과의 연결이 개인의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상기시킵니다. 특히, 간단한 인사나 함께 시간을 보내는 행동이 타인의 삶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설득력 있게 보여줍니다. 우리 모두가 작은 관심을 실천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힘을 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작은 행동으로 세상을 더 따뜻하게 만들어 보세요!
학생들은 요지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요지를 찾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