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역경과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다룹니다. 지문은 사람들이 도전을 회피하고 쉬운 길을 택하는 경향을 지적하며, 진정한 힘과 기술은 역경 속에서 길러진다고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성공적인 삶의 필수 요소인 준비, 사고방식, 전략 및 기술의 중요성을 제시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We often try to make cuts in our challenges and take the easy route. When taking the quick exit, we fail to acquire the strength to compete. We often take the easy route to improve our skills. Many of us never really work to achieve mastery in the key areas of life. These skills are key tools that can be useful to our career, health, and prosperity. Highly successful athletes don’t win because of better equipment; they win by facing hardship to gain strength and skill. They win through preparation. It’s the mental preparation, winning mindset, strategy, and skill that set them apart. Strength comes from struggle, not from taking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Hardship is not just a lesson for the next time in front of us. Hardship will be the greatest teacher we will ever have in life.

① characteristics of well­equipped athletes

② difficulties in overcoming life’s sudden challenges

③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habit and competence

④ risks of enduring hardship without any preparation

⑤ importance of confronting hardship in one’s life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e often try to make cuts in our challenges and take the easy route.

주요 단어 정리

  • make cuts in~: ~을 줄이다, 삭감하다 (동의어: reduce, simplify / 반의어: expand, increase)
  • challenge: 어려움, 도전 (동의어: difficulty, obstacle / 반의어: ease, solution)
  • take the easy route: 쉬운 길을 선택하다 (동의어: choose the shortcut, avoid difficulty / 반의어: face the challeng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often try/
  • 우리는 자주 노력합니다/
  • <to make cuts/ in our challenges>/
  • <삭감하기 위해서/ 우리의 어려움을(도전을)>/
  • and/
  • 그리고
  • <(to) take/ the easy route>.
  • <선택하기 위해서/ 쉬운 길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ake cuts/ in our challenges>”와 “<(to) take/ the easy route>”에서 사용된 용법.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to 부정사구 병치
  • <to make cutsin our challenges>”와 “<(to) take/ the easy route>”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주제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너무 뻘리 결론이 도출된 경우 반의 접속사 및 접속부사 있는지 확인)
  • 문장 1의 핵심 내용『어려움에 직면할 때 쉬운 길을 선택하려는 사람들의 성향』입니다. 이 문장은 주장은 아니지만 설명문인 경우, 명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바로, 보기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문장 1의 핵심 내용을 포함하면서 이를 비판을 목적으로 쓴 경우라면, 관련 있는 보기“⑤ importance of confronting hardship in one’s life(인생에서 어려움을 직면하는 것의 중요성)”뿐입니다. 다만, 한 문장만 더 읽어봅니다

문장 2

When taking the quick exit, we fail to acquire the strength to compete.

주요 단어 정리

  • take the quick exit: 빠른 출구를 선택하다, 쉽게 해결하려 하다
  • fail to 부정사: ~하지 못하다 (동의어: be unable to, fall short of / 반의어: succeed in, manage to)
  • acquire: 얻다, 습득하다 (동의어: gain, obtain / 반의어: lose, forfeit)
  • strength: 힘, 능력 (동의어: power, capability / 반의어: weakness, inability)
  • compete: 경쟁하다 (동의어: contend, vie / 반의어: collaborate, cooper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aking/ the quick exit],/
  • [선택할 때/ 빠른 출구를],/
  • we fail/ [to acquire/ <the strength/ to compete>].
  • 우리는 실패합니다/ [얻는 것을(얻지 못합니다)/ <힘을/ 경쟁할>].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When taking/ the quick exit]”은 [when we tak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en, 주어 we가 생략되고 동사 taketak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fail/ [to acquire/ <the strength/ to compete>]”에서 사용된 용법. 직역하면 “경쟁할 힘을 얻는 것을 실패하다”로 해석되나 “경쟁할 힘을 얻지 못하다”로 의역.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목적] “~할 / ~하는/ ~하기 위한”
  • <the strength/ to compet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strength”를 수식. “경쟁할 힘”의 의미를 전달.
  • 주제 찾기 Tip에 따른 주제 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쉬운 길을 택할 경우의 문제점 – 경쟁할 힘을 얻지 못한다.』입니다. 결국, “⑤ importance of confronting hardship in one’s life(인생에서 어려움을 직면하는 것의 중요성)”의 내용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혹시 반의 접속사나 접속부사가 있는지 확인하면, 없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⑤번으로 답을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3

We often take the easy route to improve our skills.

주요 단어 정리

  • improve: 향상시키다 (동의어: enhance, develop / 반의어: worsen, degrade)
  • skill: 기술, 능력 (동의어: ability, proficiency / 반의어: ineptitude, incompete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often take/ the easy route/
  • 우리는 자주 선택합니다/ 쉬운 길을/
  • <to improve/ our skills>.
  • [향상시키기 위해사/ 우리의 기술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improve/ our skills>”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4

Many of us never really work to achieve mastery in the key areas of life.

주요 단어 정리

  • achieve: 달성하다 (동의어: accomplish, attain / 반의어: fail, lose)
  • mastery: 숙달, 통달 (동의어: expertise, proficiency / 반의어: incompetence, amateurism)
  • key area: 핵심 분야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ny/ of us>/
  • <많은 수가(많은 사람들이)/ 우리 중>/
  • never really work/
  • 절대 실제로 노력하지 않습니다/
  • [to achieve/ mastery/ <in the key areas/ of life>].
  • [달성하기 위해서/ 숙달을/ <핵심 분야에서/ 삶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Many”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동사, ”work“. ”부분/분수 뜻의 명사+복수명사“는 복수 취급.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achieve/ mastery/ <in the key areas/ of life>]”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5

Highly successful athletes don’t win because of better equipment; they win by facing hardship to gain strength and skill.

주요 단어 정리

  • successful: 성공한 (동의어: accomplished, thriving / 반의어: failed, struggling)
  • athlete: 운동선수
  • face hardship: 어려움을 마주하다 (동의어: confront challenges / 반의어: avoid difficulties)
  • gain: 얻다, 획득하다 (동의어: acquire, obtain / 반의어: lose, forfei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ighly successful athletes/ don’t win/ because of better equipment;/
  • 매우 성공한 운동선수들은/ 이기지 않습니다/ 더 나은 장비 때문에;/
  • they win/ <by facing/ hardship>/ [to gain/ <strength and skill>].
  • 그들은 이깁니다/ <마주함으로써/ 어려움을>/ [얻기 위해서/ <힘과 기술을>].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facing/ hardship>“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직역하면, ”어려움을 마주하는 것에 의해서“의 의미이지만, ”어려움을 마주함으로써“로 의역.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gain/ <strength and skill>]”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6

They win through preparation. It’s the mental preparation, winning mindset, strategy, and skill that set them apart.

주요 단어 정리

  • preparation: 준비 (동의어: readiness, groundwork / 반의어: neglect, inattention)
  • mental: 정신적인 (동의어: psychological, cognitive / 반의어: physical)
  • mindset: 사고방식, 태도 (동의어: attitude, outlook / 반의어: indifference)
  • strategy: 전략 (동의어: plan, tactic / 반의어: improvisation)
  • set apart: 구별하다, 차별화하다 (동의어: distinguish, differentiate / 반의어: homogeniz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win/ through preparation./
  • 그들은 승리합니다/ 준비를 통해./
  • It’s <the mental preparation,/ winning mindset,/ strategy,/ and/ skill>/ [that set them apart]./
  • 그것은 <정신적 준비,/ 승리의 사고방식,/ 전략,/ 그리고/ 기술>입니다/ [그들을 차별화하는 것은].

어법 설명

  • “It + be 동사+ 강조어 + that 절“ - 강조 구문
  • It’s <the mental preparation,/ winning mindset,/ strategy,/ and/ skill>/ [that set them apart]”는 강조 용법으로, “<the mental preparation,/ winning mindset,/ strategy,/ and/ skill>”를 강조하여 “그들을 차별화하는 것은 정신적 준비, 승리의 사고 방식, 전략 및 기술입니다”의 의미를 전달.

문장 7

Strength comes from struggle, not from taking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주요 단어 정리

  • strength: 강함, 힘 (동의어: power, resilience / 반의어: weakness, fragility)
  • struggle: 투쟁, 고군분투 (동의어: effort, fight / 반의어: ease, surrender)
  • path: 길, 경로 (동의어: route, course / 반의어 없음)
  • least resistance: 최소한의 저항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trength comes/ from struggle,/
  • 힘은 나옵니다/ 고군분투에서,/
  • [not from taking/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 [선택하는 것에서가 아니라/ <길을/ 최소한의 저항의>].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not from taking/ <the path/ of least resistance>]“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from“의 목적어.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최소한의 저항의 길을 택하는 것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의 의미.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문장 8

Hardship is not just a lesson for the next time in front of us.

주요 단어 정리

  • hardship: 고난, 역경 (동의어: adversity, difficulty / 반의어: comfort, ease)
  • lesson: 교훈, 배움 (동의어: teaching, instruction / 반의어 없음)
  • in front of~: ~의 앞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ardship is not/ [just a lesson/ [for the next time/ (which or that is) in front of us]]./
  • 역경은 아닙니다/ [단지 교훈이/ [다음번을 위한/ 우리 앞에 있는]].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the next time/ (which or that is) in front of us”에서 선행사, “the next time”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 “(which or that is)”가 생략된 구조. “우리 앞에 있는(놓인) 다음번”의 의미.

문장 9

Hardship will be the greatest teacher we will ever have in life.

주요 단어 정리

  • hardship: 고난, 역경 (동의어: adversity, struggle / 반의어: comfort, ease)
  • greatest: 가장 위대한 (동의어: most significant, best / 반의어: least, minor)
  • teacher: 스승, 교사 (동의어: mentor, instructor)
  • ever: 언제든 (동의어: at any tim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ardship will be/ [the greatest teacher/ (which) we will ever have/ in life].
  • 어려움은 될 것입니다/ [가장 위대한 스승이/ 우리가 언제든 갖게 될/ 삶에서].

어법 설명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 or whom”의 생략
  • [the greatest teacher/ (which) we will ever havein life]”에서 “선행사, “the greatest teacher”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이 생략된 구조. 이 경우, “that”은 사용 못함. “우리가 삶에서 언제든 갖게 될 가장 위대한 스승”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지문의 핵심은 역경이 단순한 교훈을 넘어 인생의 가장 위대한 스승이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진정한 힘은 최소한의 저항 경로를 피하고 어려움을 마주함으로써 얻어진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근거 문장

  • "When taking the quick exit, we fail to acquire the strength to compete."
  • 어려움에 직면할 때 빠른 출구를 취했을 때 "경쟁력"을 얻지 못한다는 의미로 어려움에 직면하는 것의 필요성을 설명.
  • "They win through preparation. It’s the mental preparation, winning mindset, strategy, and skill that set them apart."
  • 성공적인 삶을 위해 필요한 요소는 철저한 준비와 사고방식, 전략, 기술임을 강조.
  • "Strength comes from struggle, not from taking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 진정한 강점은 역경에서 나오며, 쉬운 길을 선택하지 않는 데서 비롯됨.
  • "Hardship will be the greatest teacher we will ever have in life."
  • 어려움은 삶에서 가장 위대한 스승임을 명시.

정답 제시

  • 가장 적절한 주제는 ⑤ “importance of confronting hardship in one’s life (삶에서 역경에 맞서는 것의 중요성)” 입니다.

결론

"역경! 피하지 말고 직면해야 하는 이유!"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삶에서 필연적으로 마주치는 역경을 회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맞서야만 진정한 성공과 성장이 가능하다고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도전의 가치를 깨닫고, 준비와 자기 계발의 중요성을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역경과 성장", "삶의 성공을 위한 준비", "힘과 기술의 본질" 같은 키워드를 활용하여 독자에게 관련성 높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 분석은 지문 내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글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학생들은 주제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주제를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