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인간 행동의 근원과 정체성 간의 연관성을 탐구합니다. 글은 우리의 행동이 스스로 믿는 정체성의 반영임을 강조하며, 습관과 신념이 행동 변화와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룹니다. 특히, 연구와 구체적 예시를 통해 행동과 정체성이 일치할 때 더 자연스럽고 지속 가능한 변화를 경험할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본 지문을 문장별로 청크 분석하여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제시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제목 찾기, 주제, 요지,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이나 명제를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Your behaviors are usually a reflection of your identity. What you do is an indication of the type of person you believe that you are ― either consciously or nonconsciously. Research has shown that once a person believes in a particular aspect of their identity, they are more likely to act according to that belief. For example, people who identified as “being a voter” were more likely to vote than those who simply claimed “voting” was an action they wanted to perform. Similarly, the person who accepts exercise as the part of their identity doesn’t have to convince themselves to train. Doing the right thing is easy. After all, when your behavior and your identity perfectly match, you are no longer pursuing behavior change. You are simply acting like the type of person you already believe yourself to be.

① Action Comes from Who You Think You Are

② The Best Practices for Gaining More Voters

③ Stop Pursuing Undesirable Behavior Change!

④ What to Do When Your Exercise Bores You

⑤ Your Actions Speak Louder than Your Words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Your behaviors are usually a reflection of your identity.

주요 단어 정리

  • behavior: 행동 (동의어: action / 반의어: inaction)
  • reflection: 반영 (동의어: representation / 반의어: distortion)
  • identity: 정체성 (동의어: self-image / 반의어: ambigu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r behaviors are usually <a reflection/ of your identity>.
  • 당신의 행동들은/ 보통/ 반영입니다/ 당신의 정체성의.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제목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이나 명제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너무 뻘리 결론이 도출된 경우 반의 접속사 및 접속부사 있는지 확인)
  • 문장 1의 핵심 내용『사람의 행동 = 사람의 정체성의 반영』입니다. 이 글 저자의 주장에 해당하여 보기를 살펴보면, “① Action Comes from Who You Think You Are(행동은 당신이 누구라고 생각하는가로부터 나온다)”뿐입니다. ②번의 “더 많은 수의 유권자를 얻기 위한 가장 좋은 관행”, ③번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변화를 추구하는 것을 머추는 것“, ④번의 ”운동할 때 당신이 하는 행동이 당신을 지루하게 한다“, ⑤번의 ”당신의 말이 당신의 행동보다 더 크게 말한다“와도 거리가 멀기 때문입니다. 그렇다해도, 한 문장 더 읽어보도록 합니다.

문장 2

What you do is an indication of the type of person you believe that you are ― either consciously or nonconsciously.

주요 단어 정리

  • indication: 표시, 암시 (동의어: sign, clue / 반의어: concealment)
  • believe: 믿다
  • either A or B: A 또는 B
  • consciously: 의식적으로 (동의어: deliberately / 반의어: unconsciously)
  • nonconsciously: 무의식적으로(=unconscious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t you do]/ is an indication
  • 당신이 하는 것은/ 표시입니다/
  • [of the type/ [of person/ (who(m) or that) you believe/ [that you are (the type)]]]/ ―/
  • [유형이라는/ [사람의/ 당신이 믿는/ [당신이 (그 유형)이라고]]] ―/
  • <either consciously or nonconsciously>.
  • <의식적으로든 혹은 무의식적으로든>.

어법 설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you do]”에서 “사용된 문법으로, ”권위자들이 말하는 것“의 의미.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person/ (who(m) or that) you believe[that you are (the type)]”에서 “선행사, “person”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or that”이 생략된 구조. “당신이 그 유형이라고 믿는 사람”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believe[that you are (the type)]"에서 "that"은 동사, "believe"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제목 찾기 Tip에 따른 제목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사람의 행동 = 사람의 유형』입니다. 이 문장 역시, “① Action Comes from Who You Think You Are(행동은 당신이 누구라고 생각하는가로부터 나온다)”을 뒷받침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①번으로 정답을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3

Research has shown that once a person believes in a particular aspect of their identity, they are more likely to act according to that belief.

주요 단어 정리

  • research: 연구 (동의어: study, investigation / 반의어: guesswork)
  • believe in ~: ~을 믿다 (동의어: trust, rely on / 반의어: doubt)
  • identity: 정체성
  • be mor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더 높다
  • aspect: 측면 (동의어: facet, feature / 반의어: entirety)
  • according to ~: ~에 따라서
  • belief: 믿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esearch has shown/
  • 연구는 보여줘 왔습니다/
  • [that [once a person believes in/ <a particular aspect/ of their identity>],/ they are more likely to act/ [according to that belief].
  • [[일단 사람이 믿으면/ <특정 측면을/ 자신의 정체성의>],/ 그들은 행동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 믿음에 따라서].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have(has) + pp]
  • "Research has shown"에서 과거의 사건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 즉 상태의 계속을 나타냄. “보여줘 왔습니다”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 "has shown/ [that [once a person believes in/~]]"에서 "that"은 동사구, "has shown"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삽입절의 사소한 오류
  • 영어에서는 구나 절을 삽입하는 경우, 삽입구나 절 앞에 comma(,)를 사용해서 구분하는 것이 원칙이나, “[that [once a person believes in/ <a particular aspect/ of their identity>],/~]”의 경우 앞에 comma(,)가 빠져 있음. 따라서 “[that, [once a person believes in/ <a particular aspect/ of their identity>],/~”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함.
  • 시간 및 조건 부사절 “once + 주어 + 동사”
  • “일단 ~할 때/일단 ~하면”의 의미를 전달.

문장 4

For example, people who identified as “being a voter” were more likely to vote than those who simply claimed “voting” was an action they wanted to perform.

주요 단어 정리

  • for example: 예를 들어 (동의어: for instance)
  • identify as ~: ~로 자신을 여기다 (동의어: perceive oneself as / 반의어: disassociate oneself from)
  • voter: 유권자
  • vote: 투표하다
  • claim: 주장하다 (동의어: assert, state / 반의어: deny)
  • perform: 수행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people/ who identified/ asbeing a voter”]/
  • [사람들은/ 자신을 여겼던/ “유권자인 것으로”]/
  • were more likely to vote/
  • 투표할 가능성이 더 높았습니다/
  • [than those/ who simply claimed/ [(that) “voting” was [an action/ (which or that) they wanted/ to perform]]].
  • [사람들보다/ 단순히 주장했던/ [“투표하는 것”이 [행위라고/ 그들이 원했던/ 수행하기를]]].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peoplewho identifiedas “being a voter”]”와 “those/ who simply claimed/~”에서 “who”는 각각 선행사, “people”과 “those”를 수식하여, “유권자인 것”으로 자신을 여겼던 사람들“과 ”투표가 그들이 수행하기를 원했던 행동이라고 단순히 주장했던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eing a voter“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여기서는, ”유권자인 것“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claimed[(that) “voting” was [an action/ (which or that) they wantedto perform]]"에서 "that"은 동사, "claime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an action/ (which or that) they wantedto perform]”에서 “선행사, “an action”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조. “그들이 수행하기를 원했던 행동”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wantedto perform”에서 사용된 용법. 직역하면 “수행하기를 원했다”로 해석되나 “(상상) 하기 시작했다”로 의역됩니다.

문장 5

Similarly, the person who accepts exercise as the part of their identity doesn’t have to convince themselves to train.

주요 단어 정리

  • similarly: 비슷하게, 마찬가지로
  • accept as ~: ~로 받아들이다 (동의어: regard as / 반의어: reject as)
  • exercise: 운동
  • don’t have to 부정사: ~할 필요가 없다
  • convince: 설득하다 (동의어: persuade, assure / 반의어: dissuade)
  • train: 훈련하다, 운동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imilarly,/
  • 마찬가지로,/
  • [the person/ who accepts/ exercise/ <as the part/ of their identity>]/
  • [사람은/ 받아들이는/ 운동을/ <일부로/ 자신의 정체성의>]/
  • doesn’t have to convince/ themselves/ to train.
  • → 설득할 필요가 없습니다/ 스스로를/ 훈련하도록(운동하도록).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Similarly"
  • 문장 내에서 "마찬가지로, 비슷하게, 유사하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e person/ who accepts/ exercise/ <as the part/ of their identity>]"에서 “who”는 각각 선행사, “the person”을 수식하여, “운동을 자신의 정체성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사람”으로 자신을 여겼던 사람들“과 ”투표가 그들이 수행하기를 원했던 행동이라고 단순히 주장했던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person”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동사구, ”doesn’t have to convince“.
  • 재귀 대명사 ”themselves“
  • ”문장의 주어 =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인 관계인 경우.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함. 

문장 6

After all, when your behavior and your identity perfectly match, you are no longer pursuing behavior change.

주요 단어 정리

  • after all: 결국 (동의어: in the end / 반의어: N/A)
  • behavior: 행동
  • match: 일치하다 (동의어: align, correspond / 반의어: conflic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fter all,/
  • 결국,/
  • [when <your behavior and your identity>/ perfectly match],/
  • [<당신의 행동과 정체성이>/ 완벽히 일치할 때],/
  • you are no longer pursuing/ behavior change.
  • 당신은 더 이상 추구하지 않을 것입니다/ 행동의 변화를.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확정된 미래 표현 “be 동사 + ~ing” 
  • you are no longer pursuing”에 사용된 어법. 바뀌지 않는 확정된 미래를 표현할 때 사용. “~할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행동은 정체성을 반영하며, 정체성과 행동이 일치할 때 더 자연스러운 행동 변화가 가능합니다. 이는 긍정적 변화를 위해 정체성을 재평가하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근거 문장

  • “Your behaviors are usually a reflection of your identity.”
  • 행동이 정체성의 표상이라는 말이기 때문에 핵심적인 단서를 제공합니다.
  • "Your behaviors are usually a reflection of your identity. What you do is an indication of the type of person you believe that you are ― either consciously or nonconsciously."
  • 행동이 정체성을 반영하며, 사람이 스스로를 어떤 유형의 사람으로 여기는지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 "Research has shown that once a person believes in a particular aspect of their identity, they are more likely to act according to that belief."
  • 정체성의 특정 부분을 믿는 순간, 사람들은 그 믿음에 따라 행동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행동과 정체성의 연결을 강조합니다.
  • "When your behavior and your identity perfectly match, you are no longer pursuing behavior change. You are simply acting like the type of person you already believe yourself to be."
  • 행동과 정체성이 일치하면 더 이상 행동 변화를 추구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자신의 정체성에 따라 행동한다는 내용을 명확히 설명합니다.

정답 제시

  • 가장 적절한 글의 제목은 ① “Action Comes from Who You Think You Are (행동은 당신이 누구인지 생각하는가로부터 나온다)” 입니다.

결론

"작은 행동, 큰 영향!"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행동은 정체성을 반영한다"는 중심 주제를 바탕으로 독자들에게 행동 변화의 근본적인 동기를 제시합니다. 특히, 연구 사례와 예시를 통해 정체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긍정적 변화를 위한 필수적인 단계임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정체성과 행동 변화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행동과 정체성", "자기 인식과 변화", "정체성 기반 성장"과 같은 핵심 키워드를 활용하면 관련 학습 및 토론에 유익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이 지문 유형의 풀이를 통해 학생들은 제목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제목을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