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은 수렵-채집 사회에서 정착 생활과 농업 사회로 전환한 시기를 다룹니다. 이 지문은 이러한 변화가 인간 생활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농업의 발달과 정착 생활이 인구 증가와 문명의 형성으로 이어진 과정을 설명합니다. 특히, 정착 생활이 전염병의 확산과 같은 새로운 도전을 초래했음을 언급하며, 인간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어법상 틀린 것을 찾는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독해력이 받쳐주는 학생들은 어법이 포함된 문장만 독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지문의 핵심 주장을 찾으면서 독해가 되지 않거나 어색한 부분을 찾는 방법입니다. 어법은 대부분의 경우, 해석 방법을 모아서 이름을 붙여 놓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대명사가 어법 문제의 대상인 경우, 이전 문장을 독해하여 대명사가 지시하는 대상을 찾아야 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The hunter­gatherer lifestyle, which can ① be described as “natural” to human beings, appears to have had much to recommend it. Examination of human remains from early hunter­gatherer societies ② has suggested that our ancestors enjoyed abundant food, obtainable without excessive effort, and suffered very few diseases. If this is true, it is not clear why so many humans settled in permanent villages and developed agriculture, growing crops and domesticating animals: cultivating fields was hard work, and it was in farming villages ③ what epidemic diseases first took root. Whatever its immediate effect on the lives of humans, the development of settlements and agriculture ④ undoubtedly led to a high increase in population density. This period, known as the New Stone Age, was a major turning point in human development, ⑤ opening the way to the growth of the first towns and cities, and eventually leading to settled “civilizations.”

* remains: 유적, 유해 ** epidemic: 전염병의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hunter­gatherer lifestyle, which can ① be described as “natural” to human beings, appears to have had much to recommend it.

주요 단어 정리

  • hunter-gatherer: 수렵채집의
  • lifestyle: 생활 방식 (동의어: way of life, living / 반의어: unnatural way)
  • describe as ~: ~로 묘사하다
  • appear to 부정사: ~인 것처럼 보이다 (동의어: seem to 부정사)
  • recommend: 추천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hunter-gatherer lifestyle/, which can be described/ as “natural”/ to human beings],/
  • [수렵-채집 생활 방식은,/ 그리고 그것이 묘사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간에게],/
  • appears to have had/ much/ <to recommend/ it>.
  • 가졌던 것처럼 보입니다/ 많은 것을/ <추천할 정도로/ 그것을>.

어법 설명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The hunter-gatherer lifestyle/, which can be describedas “natural”/ to human beings]”에서 “, which”는 선행사, “The hunter-gatherer lifestyle”를 수식하며, “접속사+대명사”로 해석됩니다. “수럽-채집 생활 방식은, 그리고 그것이 인간에게 자연스러운 것으로 묘사되는”의 의미를 전달. 현재 문장의 경우 comma(,)가 없는 제한적 용법이 해석상, 더 자연스러우며 “인간에게 자연스러운 것으로 묘사되는 수렵-채집 생활 방식”으로 해석됩니다.
  • 수동태[조동사 + be 동사 + pp] "can be described" - 어법적 적절성 검토 1
  • ", which can be describedas “natural”/ to human beings"에서 " can be described"는 "묘사될 수 있는(있다)"의 의미로 수동태이며 어법상 적절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appears to have had”에서 사용된 용법. 직역하면 “가졌던 것처럼 보인다”로 해석됩니다.
  • 완료 부정사[to have + pp]
  • 주절의 시제보다 한 시제 앞선 일을 표현할 때 쓰이며, 주절의 시제가 현재 시제이므로 “(과거에) ~했다는 것”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할 정도로 / ~할 만큼”
  • "<to recommend/ it>"에서 사용된 용법. “그것을 추천할 정도로”의 의미를 전달. 이렇게 해석할 경우, 앞의 much보다는 “many advantages(많은 수의 장점들을)”로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했음. 또는 "much"를 수식하는 "~할/~하는/~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그것을추천할 많은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그렇다해도 표현의 변경 필요성은 동일합니다.

문장 2

Examination of human remains from early hunter­gatherer societies ② has suggested that our ancestors enjoyed abundant food, obtainable without excessive effort, and suffered very few diseases.

주요 단어 정리

  • examination: 조사, 검토 (동의어: inspection, analysis)
  • remains: 유적, 유해 (동의어: relics, remnants)
  • suggest: 제안하다, 암시하다
  • abundant: 풍부한 (동의어: plentiful, ample)
  • excessive: 과도한 (동의어: undue, extreme)
  • effort: 노력
  • suffer: ~을 겪다
  • few: 거의 ~않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xamination/ <of human remains/ from early hunter-gatherer societies>]/ has suggested/
  • [조사가/ <인간의 유적에 대한/ 초기 수렵-채집 사회들로부터 온>]/ 암시해 왔습니다/
  • [that our ancestors [enjoyed/ [abundant food,/ (which or that was) obtainable/ without excessive effort]],/ and/ [suffered/ very few diseases]].
  • [우리의 조상들이 [누렸다는 것을/ [풍부한 음식을,/ 얻을 수 있는/ 과도한 노력 없이]],/ 그리고/ [거의 겪지 않았다는 것을/ 질병을]].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어법적 적절성 검토 2
  • 이 문장의 주어는 ”Examination”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동사구, ”has suggested“. 따라서,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현재 완료시제 ”has suggested“
  • 과거의 조사 결과가 현재까지 영향을 미쳐왔다는 계속적 의미의 현재 완료시제.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 "has suggested[that our ancestors [enjoyed/~]]"에서 "that"은 동사수, "has suggeste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enjoyed[abundant food,/ (which or that was) obtainable/ without excessive effort]]와 [suffered/ very few diseases]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부정의 의미의 few
  • “(수적으로) 거의 ~않는”의 의미로 한국어는 명사를 부정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부정의 의미를 동사로 옮겨 해석. 

문장 3

If this is true, it is not clear why so many humans settled in permanent villages and developed agriculture, growing crops and domesticating animals: cultivating fields was hard work, and it was in farming villages ③ what epidemic diseases first took root.

주요 단어 정리

  • permanent: 영구적인 (동의어: lasting, enduring / 반의어: temporary)
  • settle: 정착하다 (동의어: reside, inhabit / 반의어: wander)
  • domesticate: 가축으로 길들이다
  • epidemic: 전염병 (동의어: outbreak, pandemic)
  • take root: 뿌리내리다 (동의어: establish)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this is true],/
  •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 it is not clear/ [why so many humans <settled/ in permanent villages>/ and/ <developed/ agriculture>],/
  • 그것은 분명하지 않습니다/ [왜 그렇게 많은 수의 사람들이 <정착했는지는/ 영구적인 마을들 내에>/ 그리고/ <발전시켰는지는/ 농업을>],
  • [growing/ crops/ and/ domesticating/ animals]/
  • [<키우면서/ 작물들을>/ 그리고/ <길들이면서/ 동물들을>]/
  • * :/ <cultivating/ fields>/ was hard work,/ and/ it was in farming villages/ ③ [what(→that) epidemic diseases first took root].
  • 즉/ <경작하는 것은/ 밭을>/ 힘든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농촌 마을에서였습니다/ ③ [전염병이 처음으로 뿌리를 내렸던 것은].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It(가주어) ~ 간접의문문(진주어) 용법
  • it is not clear/ [why so many humans <settledin permanent villages>/ and/ <developed/ agriculture>]”에서 ”it“는 가주어, 간접의문문인, ”why so many humans <settledin permanent villages>/ and/ <developed/ agriculture>”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간접의문문에서 <settledin permanent villages>와 <developed/ agriculture>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분사구문
  • → “[growing/ crops/ anddomesticating/ animals]”은 [while they grew/ crops/ and/ domesticated/ animals]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so many humans)가 생략되고 동사 “grew”와 “domesticated”가 각각 “growing”과 “domesticat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 "<cultivating/ fields>/ was hard work“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주어로 사용된 경우, 단수 취급하고, 따라서, 동사도 단수인 ”was“가 사용되었음에 유의.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It + be 동사+ 강조어 + that 절“ - 강조 구문 - 어법적 적절성 검토 3
  • it was in farming villages/ ③ [what(→that) epidemic diseases first took root]”는 강조 용법으로, “in farming villages”를 강조하여 “전염병들이 처음으로 뿌리를 내렸던 것은 농촌 마을에서였습니다”의 의미를 전달. 따라서, “what”은 “that으로 변경되어야 적절함.

문장 4

Whatever its immediate effect on the lives of humans, the development of settlements and agriculture ④ undoubtedly led to a high increase in population density.

주요 단어 정리

  • immediate: 즉각적인, 직접적인 (동의어: instant, direct / 반의어: delayed)* density:
  • effect: 효과
  • settlement: 정착지
  • undoubtedly: 의심의 여지 없이 (동의어: certainly, unquestionably / 반의어: doubtfully)
  • lead to~: ~로 이어지다
  • high increase: 높은 증가
  • population: 인구
  • density: 밀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tever its immediate effect/ <on the lives/ of humans>],/
  • [그것의 즉각적인 효과가 무엇이든/ <삶에 대한/ 인간의>],/
  • [the development/ <of settlements and agriculture>]/ undoubtedly led/ <to a high increase/ in population density>.
  • [발전은/ <정착지들과 농업의>]/ 의심할 여지 없이 이어졌습니다/ <높은 증가로/ 인구 밀도의>.

어법 설명

  • 복합 관계부사절 “Whatever~”
  • "~가 무엇이든 간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부사의 일반적 위치 - 어법적 적절성 검토 4
  • 부사는 일반적으로 꾸며주는 말 앞에 위치합니다. 부사처럼 해석되면서 형용사가 와야 할 곳은 2형식 문형과 5형식 기본문형입니다. 이 두 가지외 부사처럼 해석되면 부사가 오면 됩니다. 따라서,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문장 5

This period, known as the New Stone Age, was a major turning point in human development, ⑤ opening the way to the growth of the first towns and cities, and eventually leading to settled “civilizations.”

주요 단어 정리

  • period: 시대
  • turning point: 전환점
  • eventually: 결국 (동의어: ultimately, fin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period,/ (which is) known/ as the New Stone Age],/
  • [이 시기는,/ 알려진/ 신석기 시대로],/
  • was a major turning point/ in human development,/
  • 주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인간 발전에서,/
  • [opening/ [the way/ <to the growth/ of the first towns and cities>]],/ and/ [eventually leading/ to settled “civilizations.”]
  • [열면서/ [길을/ <성장으로 가는/ 최초의 마을들과 도시들의>]],/ 그리고/ [결국 이어지면서/ 정착된 “문명들”로].

어법 설명

  •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is period,/ (which is) knownas the New Stone Age]“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 ”“를 설명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구조와 의미상 동일합니다.
  • 분사구문 - 어법적 적절성 검토 5
  • [opening[the way/ <to the growth/ of the first towns and cities>]],/ and[eventually leadingto settled “civilizations.”]”은 [while it opened/ [the way/ <to the growth/ of the first towns and cities>]/ and/ led/ to settled “civilizations.]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his period)가 생략되고 동사 “opened”와 “led”가 각각 “opening”과 “lead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따라서, 의미상, 어법상 적절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지문의 핵심 주장은 농업과 정착 생활로의 전환이 인간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점입니다. 이는 경제적, 사회적 전환의 시작을 나타내며, 농업 사회의 발달이 인구 증가와 문명의 형성으로 이어졌음을 강조합니다. 또한, 초기 정착 생활이 전염병의 확산과 같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했음을 보여줍니다.

어법상 틀린 부분

이미 문장 분석 시 설명한 내용을 다시 한번 참고하십시오. 

  • “It + be 동사+ 강조어 + that 절“ - 강조 구문
  • it was in farming villages/ ③ [what(→that) epidemic diseases first took root]”는 강조 용법으로, “in farming villages”를 강조하여 “전염병들이 처음으로 뿌리를 내렸던 것은 농촌 마을에서였습니다”의 의미를 전달. 따라서, “what”은 “that”으로 변경되어야 적절함.

정답 제시

따라서, 정답은 ③번

결론

"작은 행동, 큰 영향!"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인간의 삶의 전환점을 조명하며, 농업과 정착 생활의 발달이 문명의 시작으로 이어졌음을 설명합니다. 또한, 이러한 발전이 새로운 도전을 가져왔음을 강조하며, 초기 농업 사회가 현대 문명의 기초를 형성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어법적 오류를 통해 관계대명사와 강조 구문, 분사구문의 활용을 학습하고, 문장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 이 지문의 학습 포인트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출제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어법 문제 해결 능력을 효과적으로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농업의 시작과 문명의 형성”, “정착 생활과 전염병”, “문법적 통찰을 통한 독해력 강화” 같은 키워드를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부디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이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립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