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방해의 영향과 문법 분석: 빈칸 추론의 핵심 이해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은 갑작스러운 방해가 개인의 창작과 작업 생산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조명합니다. 문학적 사례와 실생활 사례를 통해 방해가 영감과 효율성을 저하시킨다는 점을 보여주며, 특히 중요한 역할을 맡은 전문가들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지문 초반에 "blank"가 존재하는 경우 읽어 내려가면서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찾아야 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1.

The costs of _________ are well­documented. Martin Luther King Jr. lamented them when he described “that lovely poem that didn’t get written because someone knocked on the door.” Perhaps the most famous literary example happened in 1797 when Samuel Taylor Coleridge started writing his poem Kubla Khan from a dream he had but then was visited by an unexpected guest. For Coleridge, by coincidence, the untimely visitor came at a particularly bad time. He forgot his inspiration and left the work unfinished. While there are many documented cases of sudden disruptions that have had significant consequences for professionals in critical roles such as doctors, nurses, control room operators, stock traders, and pilots, they also impact most of us in our everyday lives, slowing down work productivity and generally increasing stress levels. * lament: 슬퍼하다

① misunderstandings ② interruptions ③ inequalities 

④ regulations ⑤ arguments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costs of _________ are well­documented.

주요 단어 정리

  • costs: 비용, 손실 (동의어: losses, expenses / 반의어: gains)
  • misunderstanding: 오해
  • interruption: 방해
  • inequality: 불평등
  • regulation: 규제
  • argument: 주장, 논쟁
  • well-documented: 충분히 기록된, 잘 알려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osts/ of _________>/ are well-documented.
  • <비용은. ______의>/ 잘 기록되어 있습니다.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빈칸의 추론 Tip
  • 지문 초반에 "blank"가 있는 경우, 글을 읽어 내려가면서 "blank"에 들어갈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계속 읽도록 합니다.

문장 2

Martin Luther King Jr. lamented them when he described “that lovely poem that didn’t get written because someone knocked on the door.”

주요 단어 정리

  • lament: 슬퍼하다, 애도하다 (동의어: mourn, grieve / 반의어: celebrate)
  • describe: 묘사하다, 설명하다
  • that lovely poem: 그 아름다운 시
  • get written: 쓰이다
  • knock on the door: 문을 두드리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rtin Luther King Jr. lamented/ them/
  •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슬퍼했습니다/ 그것들을/
  • [when he described/ ["that lovely poem/ that didn’t get written]/ [because someone knocked/ on the door.“]].
  • [그가 묘사했을 때/ ["그 아름다운 시를/ 쓰이지 못했던]/ [누군가가 두드렸기 때문에/ 문을]].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at lovely poem/ that didn’t get written]”에서 “that”은 선행사, “that lovely poem”을 수식하여, “쓰이지 못했던 그 아름다운 시”의 의미를 전달.
  • 수동 구문[become[get] + pp] “didn’t get written”
  • "쓰이지 못했다"의 의미로 수동 구문.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빈칸의 추론

  • “Martin Luther King Jr.”의 사례에서 “방해받은 사실로 귀중한 것을 하지 못했다”는 의미를 전달하여 이미 보기 중 ② interruptions이 가장 답에 가깝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문장 3

Perhaps the most famous literary example happened in 1797 when Samuel Taylor Coleridge started writing his poem Kubla Khan from a dream he had but then was visited by an unexpected guest.

주요 단어 정리

  • perhaps: 아마도 (동의어: maybe, possibly)
  • literary: 문학의
  • unexpected guest: 뜻밖의 손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erhaps/
  • 아마도/
  • the most famous literary example/ happened/ in 1797/
  • 가장 유명한 문학적 사례는/ 발생했습니다/ 1797년에/
  • [when Samuel Taylor Coleridge [started/ [writing/ <his poem/ Kubla Khan>]/ [from a dream/ (which or that) he had]]/ but/ then/ [was visited/ by an unexpected guest]].
  • [사무엘 테일러 콜리지르가 [시작했을 때/ [쓰는 것을/ <그의 시/ Kubla Khan을>]/ [끔으로부터/ 그가 가졌던(꿨던)]/ 하지만/ 그 때/ [방문 받았을 때/ 뜻밖의 손님에 의해]].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but then으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started[writing/ <his poem/ Kubla Khan>][from a dream/ (which/that) he had]]와 [was visitedby an unexpected guest가 but then으로 병렬 연결된 구조.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started[writing/ <his poem/ Kubla Khan>]/~]“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a dream/ (which or that) he had에서 “선행사, “a dream”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조. “그가 가졌던(꾸었던) 꿈”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수동태[be + pp + by[with/of]~] “was visited by~”
  • "~에 의해 방문받았다(~가 방문했다)"의 의미로 수동태.
  • 빈칸의 추론
  • “Samuel Taylor Coleridge”의 사례에서도 “꿈을 소제로 한 글을 쓰는 도중 예기치 않은 방문자에 의해 방해받았다”는 의미를 전달하여 이미 보기 중 ② interruptions이 정답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문장 4

For Coleridge, by coincidence, the untimely visitor came at a particularly bad time. He forgot his inspiration and left the work unfinished.

주요 단어 정리

  • coincidence: 우연 (동의어: chance, accident / 반의어: intention)
  • by coincidence: 우연히
  • untimely: 시기상조의, 부적절한 시기의 (동의어: premature / 반의어: timely)
  • particularly: 특히
  • forget: 잊다
  • inspiration: 영감 (동의어: creativity, idea)
  • leave: 남겨두다
  • work: 작품
  • unfinished: 완료되지 않은, 미완성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Coleridge,/ by coincidence,/ the untimely visitor came/ at a particularly bad time.
  • 콜리지르에게,/ 우연히,/ 그 부적절한 시기의 방문객이 왔습니다/ 특히 좋지 않은 때에.
  • He <forgot/ his inspiration>/ and/ <left/ the work/ unfinished>.
  • 그는 <잊어버렸습니다/ 그의 영감을>/ 그리고/ <남겨두었습니다/ 그 작품을/ 미완성으로>.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forgot/ his inspiration>와 <left/ the work/ unfinished>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5형식 기본 문형 "left + 목적어(the work) + 목적격 보어(형용사; unfinished)"
  •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문장 5

While there are many documented cases of sudden disruptions that have had significant consequences for professionals in critical roles such as doctors, nurses, control room operators, stock traders, and pilots, they also impact most of us in our everyday lives, slowing down work productivity and generally increasing stress levels.

주요 단어 정리

  • documented: 문서화된
  • case: 경우, 사례
  • sudden disruption: 갑작스러운 방해 (동의어: interruption, disturbance)
  • significant consequence: 중요한 결과
  • professional: 전문가
  • critical role: 중요한 역할
  • control room operator: 통제실 운영자
  • stock trader: 주식 거래자
  • impact: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affect, influence)
  • slow down: 늦추다
  • productivity: 생산성 (동의어: efficienc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ile there are [many documented cases/ [of sudden disruptions/ that have had/ significant consequences/ [for professionals/ [in critical roles/ <such as doctors, nurses, control room operators, stock traders, and pilots>]]]]],/
  • [[많은 문서화된 사례들이 있지만/ [갑작스러운 방해들의/ 가져왔던(초래해왔던)/ 중요한 결과들을/ [전문가들에게 [중요한 역할에서/ <의사, 간호사, 통제실 운영자, 주식 거래자, 조종사 같은>]]]]],/
  • they also impact/ <most/ of us>/ in our everyday lives,/
  • 그것들은 또한 영향을 미칩니다/ <대부분에게/ 우리들(의)>/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 [slowing down/ work productivity]/ and/ [generally increasing/ stress levels].
  • [늦추면서/ 업무 생산성을/ 그리고/ 일반적으로 증가시키며/ 스트레스 수준을].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while + 주어 + 동사”
  • “~이긴 하지만/~인 반면에”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sudden disruptions/ that have had/ significant consequences”에서 “that”은 선행사, “sudden disruptions”을 수식하여, “중대한 영향을 가져왔던(미쳐왔던) 갑작스러운 방해들”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slowing down/ work productivity]and[generally increasing/ stress levels]”은 [while they slow down/~ and/generally increase~]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sudden disruptions)가 생략되고 동사 “slow down”과 “increase”가 각각 “slowing down”과 “increa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글은 갑작스러운 방해(중단)가 작업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특히 중요한 역할을 맡은 전문가들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이는 문학과 실생활 모두에서 방해 요소가 개인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근거 문장 제시

  • Perhaps the most famous literary example happened in 1797 when Samuel Taylor Coleridge started writing his poem Kubla Khan from a dream he had but then was visited by an unexpected guest.

정답 도출

  • 문맥상 빈칸에는 “방해(중단)”의 의미가 들어가야 합니다. 따라서 ② interruptions가 가장 적합합니다.

결론

"체계적 분석과 방해 극복의 중요성"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은 갑작스러운 방해가 창작과 일상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전달합니다. 특히, 방해 요소는 개인의 성과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의 중요한 업무 수행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독자들은 “체계적인 영어 분석”, “방해와 생산성”, “문법적 통찰을 통한 빈칸 추론” 같은 키워드를 통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