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집중된 주의와 뇌의 변화: 과학적 증거를 통해 배우는 교훈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집중된 주의가 뇌의 물리적 구조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과학적 증거를 제시합니다. 동물의 뇌 구조, 바이올린 연주자의 대뇌 피질 발달, 그리고 택시 운전사의 해마 확장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집중과 반복이 뇌를 재구성한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설명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이 지문은 빈칸이 문장 초반에 있으므로 부담없이 "위에서 아래로" 독해해 내려가면서 단서를 찾으면 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2.
There’s a lot of scientific evidence demonstrating that focused attention leads to ___________________. In animals rewarded for noticing sound (to hunt or to avoid being hunted for example), we find much larger auditory centers in the brain. In animals rewarded for sharp eyesight, the visual areas are larger. Brain scans of violinists provide more evidence, showing dramatic growth and expansion in regions of the cortex that represent the left hand, which has to finger the strings precisely, often at very high speed. Other studies have shown that the hippocampus, which is vital for spatial memory, is enlarged in taxi drivers. The point is that the physical architecture of the brain changes according to where we direct our attention and what we practice doing. * cortex: (대뇌) 피질(皮質) ** hippocampus: (대뇌 측두엽의) 해마
① improved decision making ② the reshaping of the brain
③ longterm mental tiredness ④ the development of hand skills
⑤ increased levels of selfcontrol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re’s a lot of scientific evidence demonstrating that focused attention leads to _______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there is+단수 명사: 단수 명사가 있다
- a lot of~: 많은 (수의/양의)~
- scientific evidence: 과학적 증거
- demonstrate: 보여주다, 입증하다 (동의어: show, prove)
- focused attention: 집중된 주의
- lead to ~: ~로 이어지다 (동의어: result in, cau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s/ [a lot of scientific evidence/ (which or that is) demonstrating/ [that focused attention leads/ to ___________________]].
- 있습니다/ [많은 과학적 증거가/ 보여주는/ [집중된 주의가 이어진다는 것을/ ___________________로]].
어법 설명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a lot of scientific evidence/ (which or that is) demonstrating/~“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a lot of scientific evidenc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demonstrating/ [that focused attention leads/ to ___________________]"에서 "that"은 현재분사, "demonstrating"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빈칸의 추론
- “집중된 주의(력)이 어디로 이어지는지” 읽어 내려가며 찾아보도록 합니다.
문장 2
In animals rewarded for noticing sound (to hunt or to avoid being hunted for example), we find much larger auditory centers in the brain.
주요 단어 정리
- rewarded for ~: ~에 대해 보상받는
- auditory center: 청각 중심
- hunt: 사냥하다
- avoid: 피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animals/ (which or that are) rewarded/ [<for noticing/ sound>/ ([to hunt] or [to avoid/ <being hunted>])]],/
- [동물들에게서/ 보상을 받은/ [<알아채는 것에 대해/ 소리를>/ ([사냥하기 위해서] 또는 [피하기 위해서/ <사냥당하는 것을>)]]],/
- we find/ <much larger auditory centers/ in the brain>.
- 우리는 발견합니다/ [훨씬 더 큰 청각 중심을/ 뇌에서].
어법 설명
-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animals/ (which or that are) rewarded/ [<for noticing/ sound>/~]“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 ”animal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구조와 동일.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noticing/ sound“과 ”being hunted”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첫 번째는 전치사, ”for“의 목적어 역할. 두 번째는 to 부정사 ”to avoid“의 목적어 역할을 하며 수동태 동명사구로 분류됨.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hunt] or [to avoid/ <being hunted>]”에서 사용된 용법. 그러면서, 병렬 구조..
- 비교급 강조 부사
-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빈칸의 추론 단서
- 문장 3에서 ”시력에 의해 보상받는 동물들에게서 뇌(구조) 중 시각 영약이 더 커졌다는 것을 시사“하여, 문장 2에서는 ”청력에 의해 보상받는 동물들에게서 뇌(구조) 중 청각 중추가 더 커졌다는 것을 시사“하여 ”뇌의 구조가 보상 등의 자극(집중된 주의력)에 의해 재구성됨을 간접 시사“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 가장 가까운 답은 “② the reshaping of the brain(뇌의 재구성)“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문장 3
In animals rewarded for sharp eyesight, the visual areas are larger.
주요 단어 정리
- sharp eyesight: 예리한 시력
- visual area: 시각 영역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In animals/ (which or that are) rewarded/ for sharp eyesight],/
[동물들에게서/ 보상을 받은/ 예리한 시력에 대해]/
the visual areas are larger.
시각 영역이/ 더 큽니다.
어법 설명
-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animals/ (which or that are) rewarded/ for sharp eyesight“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 ”animal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구조와 동일.
- 빈칸의 추론
- 빈칸이 들어간 문장 이후, 두 번째 문장에서도 시력에 의해 보상받는 동물들에세거 뇌(구조) 중 시각 영약이 더 커졌다는 것을 시사하여. 뇌의 구조가 보상 등의 자극에 의해 재구성됨을 간접 시사한다. 따라서, 보기 중 가장 가까운 답은 “② the reshaping of the brain(뇌의 재구성)“ 임을 알 수 있다.
문장 4
Brain scans of violinists provide more evidence, showing dramatic growth and expansion in regions of the cortex that represent the left hand, which has to finger the strings precisely, often at very high speed.
주요 단어 정리
- brain scan: 뇌 스캔
- dramatic growth: 급격한 성장
- expansion: 확장
- cortex: 대뇌 피질
- finger (v.): 손가락으로 만지다, 연주하다
- have to finger: (연주를 위해 손가락으로) 짚어야 하다
- precisely: 정확하게
- at high speed: 고속으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rain scans/ of violinists>/ provide/ more evidence,/
- <뇌 스캔들은/ 바이올린 연주자들의>/ 제공합니다/ 더 많은 증거를,/
- [showing/ [dramatic growth and expansion/ [in <regions/ of the cortex>/ that represent/ [the left hand/, which has to finger/ the strings/ precisely,/ often/ at very high speed>]]]].
- [보여주면서/ [급격한 성장과 확장을/ [<영역들에서의/ 피질의>/ 나타내는/ [왼손을,/ 그리고 그것은/ 짚어야 하는/ 줄(현)들을/ 정확하게,/ 종종/ 아주 빠른 속도로]]]].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showing/~]”은 [while they show/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brain scans of violinists)가 생략되고 동사 “show”가 “show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regions/ of the cortex>/ that represent/ [the left hand/, which has to finger/ the strings/ precisely,/ often/ at very high speed>]”에서 “that”은 선행사, “<regions/ of the cortex>”를 수식하여, “현(들)을 종종 빠른 속도로 정확하게 짚어야 하는 왼손을 나타내는 피질의 영역들”의 의미를 전달.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the left hand/, which has to finger/ the strings/ precisely,/ often/ at very high speed>]”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일부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로 해석합니다. 여기서는 의미상 “[the left hand/ which has to finger/ the strings/ precisely,/ often/ at very high speed>]”처럼 제한적 용법으로 쓰는 것이 더 바람직해 보입니다.
- 빈칸의 추론
- 계속해서 사용자에 따라 뇌의 특정 영역이 변하고(재구성되고) 있음을 부연 설명하고 있습니다.
문장 5
Other studies have shown that the hippocampus, which is vital for spatial memory, is enlarged in taxi drivers.
주요 단어 정리
- hippocampus: 해마 (대뇌의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
- spatial memory: 공간 기억
- vital: 필수적인 (동의어: essential, crucial / 반의어: unnecessary)
- enlarged: 확대된, 커진 (동의어: expanded, grown / 반의어: reduc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ther studies have shown/
- 다른 연구들은/ 보여주었습니다/
- [that [the hippocampus/, which is vital/ for spatial memory],/ is enlarged/ in taxi drivers>].
- [[해마가,/ 필수적인/ 공간 기억을 위해],/ 확대된 것을/ 택시 운전사들에게서].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 “have shown”
- 과거 연구 결과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have shown/ [that~]"에서 "that"은 동사구, "have shown"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the hippocampus/, which is vital/ for spatial memory]”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일부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로 해석합니다. 여기서는 의미상 “[the hippocampus/ which is vital/ for spatial memory]”처럼 제한적 용법으로 쓰는 것이 더 바람직해 보입니다.
문장 6
The point is that the physical architecture of the brain changes according to where we direct our attention and what we practice doing.
주요 단어 정리
- physical architecture: 물리적 구조
- direct attention: 주의를 기울이다
- practice doing: ~하는 것을 연습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point is [that <the physical architecture/ of the brain>/ changes/ according to [where we direct/ our attention]/ and/ [what we practice/ doing]].
- 요점은/ [뇌의 물리적 구조가/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주의를 기울이는 위치]에 따라/ 그리고/ [무엇을 하는 것을/ 우리가 연습하느냐]에 따라].
어법 설명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point is [that <the physical architecture/ of the brain>/ changes/~]"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that <the physical architecture/ of the brain>/ changes/~]”에서 주어는 “the physical architecture(단수)”, 따라서, 동사도 “changes(단수)”.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병렬 구조
- “[where we direct/ our attention]”와 “[what we practice/ doing]”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글은 집중된 주의가 뇌의 물리적 구조에 변화를 초래한다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합니다. 동물의 뇌 구조와 특정 기술(바이올린 연주, 택시 운전)의 발달 사례를 통해 집중과 반복이 뇌의 변화를 이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근거 문장 제시
- In animals rewarded for noticing sound (to hunt or to avoid being hunted for example), we find much larger auditory centers in the brain.
- In animals rewarded for sharp eyesight, the visual areas are larger.
- Brain scans of violinists provide more evidence, showing dramatic growth and expansion in regions of the cortex that represent the left hand, which has to finger the strings precisely, often at very high speed.
정답 도출
- 집중된 주의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는 내용이 명확히 드러나므로, ② the reshaping of the brain(뇌의 재구성)이 가장 적합합니다.
결론
뇌의 재구성과 학습의 가능성: 문제 풀이를 통한 통찰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뇌가 주의와 반복 연습에 따라 물리적으로 변화한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증명합니다. 집중된 주의는 동물과 인간 모두의 뇌 구조를 재구성하며, 이는 학습과 기술 발달의 기반이 됩니다.
독자들은 “뇌의 재구성과 집중”, “문법적 통찰과 빈칸 추론”, “학습과 뇌 과학의 연결”과 같은 키워드를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고, 뇌 과학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