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인간 정신의 진화와 생존 경쟁: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 분석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인간의 정신이 어떻게 진화했는지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제공합니다. 특히, 적대적 부족 간의 갈등과 경쟁이 인간 뇌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주제를 다룹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3.

How did the human mind evolve? One possibility is that _____________________ caused our brains to evolve the way they did. A human tribe that could out­think its enemies, even slightly, possessed a vital advantage. The ability of your tribe to imagine and predict where and when a hostile enemy tribe might strike, and plan accordingly, gives your tribe a significant military advantage. The human mind became a weapon in the struggle for survival, a weapon far more decisive than any before it. And this mental advantage was applied, over and over, within each succeeding generation. The tribe that could out­think its opponents was more likely to succeed in battle and would then pass on the genes responsible for this mental advantage to its offspring. You and I are the descendants of the winners. [3점]

① physical power to easily hunt prey 

② individual responsibility in one’s inner circle

③ instinctive tendency to avoid natural disasters 

④ superiority in the number of one’s descendants

⑤ competition and conflicts with other human tribes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How did the human mind evolve?

주요 단어 정리

  • human mind: 인간의 정신
  • evolve: 진화하다 (동의어: develop, adapt / 반의어: stagn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 did the human mind evolve?
  • 어떻게/ 인간의 정신이 진화했는가?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2

One possibility is that _____________________ caused our brains to evolve the way they did.

주요 단어 정리

  • possibility: 가능성 (동의어: chance, likelihood / 반의어: certainty)
  • cause A to B: A가 B하게 하다
  • evolve the way they did: 그것들이 진화했던 방식으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e possibility is [that _____________________/ caused/ our brains/ [to evolve/ [the way/ (how) they did]]].
  • 한 가지 가능성은/ [_____________________가/ 유발했다는 것이다/ 우리의 뇌를/ 진화하도록/ [그 방식으로/ 그것들이(뇌들이) 했던(진화했던)]].

어법 설명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One possibility is [tha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5형식 문형 "caused + 목적어(our brains)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동사 “cause”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the way/ (how) they did]"에서 “(how)”는 선행사, “the way”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그것들이(뇌들이) 했던(진화했던) 방식으로”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또한, the way how~의 경우, 선행사인 “the way”나 “관계부사“ ”how“중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생략해야 함도 기억하십시오.
  • 대동사 did
  • [the way/ (how) they did]”에서 did는 의미상 “evolved”의 의미를 전달하므로 다른 동사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문맥상 판단하는 부분으로 비교적 자주 출제됩니다.
  • 빈칸의 추론
  • 문장 2를 통해 찾아야 할 내용“인간의 뇌가 현재의 방식으로 진화하도록 했던 이유”임을 알 수 있고, 문장 3에서 “다른 부족보다 더 뛰어나게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그 원인임”을 암시하며, 문장 4에서 “적과의 전투에서 인간의 정신적 능력의 무기로서의 역할”을, 문장 5에서 “인간의 정신이 생존을 위한 투쟁에서 무기가 되었음”을 진술하고 있어 “다른 부족(사람)들과의 전쟁”의 의미가 가장 적절합니다. 보기 중 이에 가장 적합한 것“⑤ competition and conflicts with other human tribes(다른 인간 부족들과의 경쟁과 갈등)”뿐입니다.

문장 3

A human tribe that could out­think its enemies, even slightly, possessed a vital advantage.

주요 단어 정리

  • tribe: 부족 (동의어: clan, group)
  • out-think: 더 뛰어나게 생각하다
  • even slightly: 조금이라도, 심지어 약간
  • possess: 가지고 있다, 소유하다
  • vital advantage: 중요한 이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human tribe/ that could out-think/ its enemies,/ even slightly],/
  • [한 인간 부족은/ 더 뛰어나게 생각할 수 있는/ 그것의 적보다,/ 조금이라도],/
  • possessed/ a vital advantage.
  • 소유했다(가지고 있었다)/ 한 가지 중요한 이점을.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human tribethat could out-think/ its enemies,/ even slightly]”에서 “that”은 선행사, “A human tribe”을 수식하여, “조금이라도 그것의 적들보다 더 뛰어나게 생각할 수 있는 한 인간 부족”의 의미를 전달.

문장 4

The ability of your tribe to imagine and predict where and when a hostile enemy tribe might strike, and plan accordingly, gives your tribe a significant military advantage.

주요 단어 정리

  • ability: 능력
  • imagine: 상상하다 (동의어: envision, conceptualize)
  • predict: 예측하다 (동의어: forecast, anticipate)
  • hostile: 적대적인 (동의어: antagonistic, unfriendly / 반의어: friendly)
  • strike: 치다, 때리다, 공격하다
  • accordingly: 그에 따라서
  • significant military advantage: 중요한 군사적 이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ability/ of your tribe>/ [to imagine and predict/ [where and when/ a hostile enemy tribe/ might strike]],/ and/ [(to) plan/ accordingly]],/
  • [<그 능력은/ 당신의 부족의>/ [상상하고 예측하는/ [어디서 그리고 언제/ 적대적 부족이 공격할지를]],/ 그리고/ [계획하는/ 그에 따라]],/
  • gives/ your tribe/ a significant military advantage.
  • 제공한다/ 당신의 부족에게/ 중요한 군사적 이점을.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ability"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동사, ”gives“.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목적] “~할 / ~하는/ ~하기 위한”
  • [<The abilityof your tribe>/ [to imagine and predict[where and whena hostile enemy tribemight strike]],/ and/ [(to) plan/ accordingly]]”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나온 명사구 “<The ability/ of your tribe>”를 수식. to 부정사가 and로 연결된 병렬 구조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ere and whena hostile enemy tribemight strik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문맥상 이상한 점
  • 문장 3까지는 “A human tribe”로 표현되었다가, 문장 4에서 갑작스럽게 “your tribe”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문장 7에서는 “The tribe”로 표현하여 부족의 의미가 달라져 연결이 자연스럽지 못함. 문장 4에서 “your tribe”의 표현을 “the tribe”로 변경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즉, “[<The abilityof the tribe>/ [to imagine and predict[where and whena hostile enemy tribemight strike]],/ and/ [(to) plan/ accordingly]],/ gives/ the tribe/ a significant military advantage.”로 변경한다면 더 자연스럽게 연결됨.

문장 5

The human mind became a weapon in the struggle for survival, a weapon far more decisive than any before it.

주요 단어 정리

  • weapon: 무기 (동의어: armament, tool)
  • struggle for survival: 생존을 위한 투쟁
  • decisive: 결정적인 (동의어: crucial, conclusive / 반의어: insignifica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human mind became/ [a weapon/ <in the struggle/ for survival>],/ [a weapon/ far more decisive/ than any/ before it].
  • 인간의 정신은 되었다/ [하나의 무기가/ <투쟁에서/ 생존을 위한>],/ [하나의 무기인/ 훨씬 더 결정적인/ 어떤 것(무기)보다/ 그것(그 무기/정신) 이전의].

어법 설명

  • 동격의 명사구 구조
  • [a weapon/ <in the struggle/ for survival>]과 “[a weapon/ far more decisive/ than any/ before it]"는 동격 관계를 이룹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
  •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이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문장 6

And this mental advantage was applied, over and over, within each succeeding generation.

주요 단어 정리

  • mental advantage: 정신적 이점
  • apply: 적용하다 (동의어: implement, utilize)
  • over and over: 계속해서
  • succeeding generation: 후속 세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this mental advantage was applied,/ <over and over>,/ within each succeeding generation.
  • 그리고/ 이 정신적 이점은 적용되었다,/ <계속해서>,/ 각각의 후속 세대 내에서.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was applied”
  • "적용되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문장 7

The tribe that could out­think its opponents was more likely to succeed in battle and would then pass on the genes responsible for this mental advantage to its offspring.

주요 단어 정리

  • out-think opponents: 적보다 깊이 생각[사고]하다
  • be mor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더 높다[있다]
  • succeed: 성공하다
  • battle: 싸움, 전쟁
  • pass on: 물려주다
  • gene: 유전자
  • offspring: 자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tribe/ that could out-think/ its opponents]/
  • [그 부족은/ 깊이 사고할 수 있었던/ 그것의 적보다]/
  • [was more likely to succeed/ in battle]/
  • [더 성공할 가능성이 컸다/ 전투에서]/
  • and/
  • 그리고/
  • [would then pass on/ [the genes/ (which or that are) responsible/ for this mental advantage]/ to its offspring].
  • [그런 다음/ 유전자를 물려줄 것이었다/ [그 유전자들을/ 책임이 있는/ 이 정신적 이점에]/ [그것의(그 부족의) 자손들에게].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tribe”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동사구, ”was more likely to succeed“.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tribethat could out-think/ its opponents]”에서 “that”은 선행사, “The tribe”를 수식하여, “그것의(그 부족의) 적보다 깊이 사고할 수 있었던 그 부족”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was more likely to succeedin battle]와 [would then pass on[the genes/ (which or that are) responsible/ for this mental advantage]to its offspring]이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the genes/ (which or that are) responsible/ for this mental advantage]”에서 선행사, “the gene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 생략된 구조로, “이 정신적 이점에 대해 책임이 있는 유전자들”의 의미를 전달.

문장 8

You and I are the descendants of the winners.

주요 단어 정리

  • descendants: 후손 (동의어: progeny, heirs / 반의어: ancestors)
  • winners: 승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and I/ <are the descendants/ of the winners>.
  • 당신과 내가/ <그 후손이다/ 그 승자들의>.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글은 인간의 정신이 생존 경쟁과 적대적 부족 간의 갈등 속에서 진화했음을 설명합니다. 적대적 환경에서 상대를 능가하는 사고력은 생존에 결정적이었고, 이는 유전적으로 후대에 전달되었습니다.

근거 문장 제시

  • “A human tribe that could out-think its enemies, even slightly, possessed a vital advantage.”
  • "The ability of your tribe to imagine and predict where and when a hostile enemy tribe might strike, and plan accordingly, gives your tribe a significant military advantage."
  • “The human mind became a weapon in the struggle for survival, a weapon far more decisive than any before it..”

정답 도출

  • 문맥상 “적대적 부족 간의 경쟁과 갈등”이 인간 정신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내용이 반복적으로 강조됩니다. 따라서 ⑤ competition and conflicts with other human tribes가 가장 적합합니다.

결론

경쟁과 갈등이 빚어낸 인간 정신의 진화: 문제 풀이의 핵심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생존 경쟁과 적대적 부족 간의 갈등이 인간 정신의 진화에 미친 영향을 과학적 사례를 통해 설명합니다. 적대적 환경에서의 사고력 우위는 생존과 번영의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이는 후대에 유전적으로 전달되었습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과학적 개념의 논리적 전개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우주에서의 과거 관찰", "빛의 이동 속도", "시간 지연의 물리학" 같은 핵심 키워드를 활용하여 과학적 사고와 영어 독해력을 동시에 강화하세요!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