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팀의 창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아이디어 생성 방법인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을 소개합니다. 브레인스토밍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이 방법은 아이디어를 개별적으로 개발하고 평가하며, 독립적인 판단과 집단 지성을 조화롭게 결합시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이 글은 브레인라이팅의 핵심 절차와 그 효과를 설명하며, 팀 내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탐구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To find the hidden potential in teams, instead of brainstorming, we’re better off shifting to a process called brainwriting. The initial steps are solo. You start by asking everyone to generate ideas separately. Next, you pool them and share them anonymously among the group. To preserve independent judgment, each member evaluates them on their own. Only then does the team come together to select and refine the most promising options. By ______________ before choosing and elaborating them, teams can surface and advance possibilities that might not get attention otherwise. This brainwriting process makes sure that all ideas are brought to the table and all voices are brought into the conversation. It is especially effective in groups that struggle to achieve collective intelligence. [3점] * anonymously: 익명으로 ** surface: 드러내다
① developing and assessing ideas individually
② presenting and discussing ideas out loud
③ assigning different roles to each member
④ coming to an agreement on these options
⑤ skipping the step of judging these options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o find the hidden potential in teams, instead of brainstorming, we’re better off shifting to a process called brainwriting.
주요 단어 정리
- hidden potential: 숨겨진 잠재력
- 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공유하는 과정
- be better off ~ing: ~하는 편이 더 낫다
- shift to ~: ~로 전환하다
- brainwriting: 브레인 라이팅 (각 개인이 먼저 아이디어를 작성하고 이를 익명으로 공유하여 협업을 이루는 과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find/ <the hidden potential/ in teams>],/
- [발견하기 위해서/ <숨겨진 잠재력을/ 팀 내의>],/
- [instead of brainstorming],/
- [브레인스토밍 대신에],/
- we’re better off shifting/ [to a process/ (which or that is) called/ brainwriting].
- 우리는 전환하는 편이 더 낫다/ [프로세스로/ 불리는/ 브레인라이팅이라고].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find/ <the hidden potential/ in teams>]”에서 사용된 용법.
-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a process/ (which or that is) called/ brainwriting“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인 ”a proces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것과 같은 구조.
문장 2
The initial steps are solo. You start by asking everyone to generate ideas separately.Next, you pool them and share them anonymously among the group.
주요 단어 정리
- initial steps: 초기 단계
- solo: 단독으로, 혼자
- generate: 생성하다 (동의어: create, produce)
- pool: 모으다 (동의어: collect, gather)
- anonymously: 익명으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initial steps are solo.
- 초기 단계는 단독입니다(단독으로 이루어집니다).
- You start/ [by asking/ everyone/ <to generate/ ideas/ separately>].
- 당신은 시작합니다/ [요청함으로써/ 모두에게/ <생성하도록/ 아이디어를/ 개별적으로>].
- Next,/ you <pool/ them>/ and/ <share/ them/ anonymously/ among the group>.
- 다음으로,/ 당신은 <모읍니다/ 그것들을>/ 그리고/ <공유합니다/ 그것들을(아이디어들을)/ 익명으로/ 그룹 가운데>.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asking/ everyone/ <to generate/ ideas/ separately>]“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전치사 ”by”의 목적어.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5형식 문형 "asking + 목적어(everyone)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동사 “ask”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pool/ them>과 <share/ them/ anonymously/ among the group>이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문장 3
To preserve independent judgment, each member evaluates them on their own.
주요 단어 정리
- preserve: 유지하다 (동의어: maintain, protect)
- independent judgment: 독립적인 판단
- evaluate: 평가하다 (동의어: assess, judge)
- on one’s own: 혼자서, 스스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preserve/ independent judgment>,/
- <유지하기 위해서/ 독립적인 판단을>,/
- each member evaluates/ them/ on their own.
- 각 구성원은 평가합니다/ 그것들을(아이디어들을)/ 스스로.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preserve/ independent judgment>”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4
Only then does the team come together to select and refine the most promising options.
주요 단어 정리
- only then: 그때서야
- come together: 함께 모이다
- select: 선택하다 (동의어: choose, pick)
- refine: 다듬다, 정제하다 (동의어: improve, polish)
- promising options: 유망한 선택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ly then/ does the team come together/
- 그때서야/ 팀이 함께 모입니다/
- <to select and refine/ the most promising options>.
- <선택하고 다듬기 위해서/ 가장 유망한 선택지들을>.
어법 설명
- 도치 구문
- "Only then"을 강조하기 위해 문장 맨 앞에 나옴으로써, 도치가 발생. 원문은 "The team comes together/ only then"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select and refine/ the most promising options>”에서 사용된 용법. 그러면서 to 부정사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문장 5
By ______________ before choosing and elaborating them, teams can surface and advance possibilities that might not get attention otherwise.
주요 단어 정리
- choosing: 선택하는 것 (동의어: selecting, picking)
- elaborate: 상세히 다루다, 발전시키다
- surface: 드러내다 (동의어: reveal, uncover)
- advance: 발전시키다 (동의어: promote, develop)
- possibilities: 가능성
- get attention: 관심을 끌다
- otherwise: 그렇지 않으면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y ______________/ [before <choosing and elaborating/ them>],/
- ______________ 함으로써/ [<선택하여 자세히 다루기 전에/ 그것들을(아이디어들을)>],
- teams can surface and advance/ [possibilities/ that might not get attention/ otherwise].
- 팀은 드러내어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가능성들을/ 관심을 끌지 못했을/ 그렇지 않으면].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before <choosing and elaborating/ them>]”은 [before they <choose and elaborate/ them>]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teams)가 생략되고 동사 “choose and elaborate”가 “choosing and elaborat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possibilities/ that might not get attention/ otherwise]”에서 “that”은 선행사, “possibilities”을 수식하여, “그렇지 않다면 관심을 끌지 못했을 가능성들”의 의미를 전달.
- 빈칸의 추론
- 문장 2에서 브레인라이팅이 개별적으로, 아이디어를 독립적으로 생성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 이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① “developing and assessing/ ideas/ individually(아이디어를 개별적으로 개발하고 평가하는 것)“뿐입니다.
문장 6
This brainwriting process makes sure that all ideas are brought to the table and all voices are brought into the conversation.
주요 단어 정리
- brainwriting process: 브레인라이팅 과정
- make sure that ~: ~을 확실히 하다
- bring to the table: 논의에 올리다
- bring into the conversation: 대화에 참여시키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brainwriting process makes sure/
- 이 브레인라이팅 과정은 확실히 합니다/
- [that all ideas are brought/ to the table]/
- [모든 아이디어들이 가져와진다는 것을/ 테이블로(논의에 올려진다는 것을)].
- and/
- 그리고/
- [that all voices are brought/ into the conversation].
- [모든 목소리가/ 가져와진다는 것을/ 대화 속으로(대화에 참여하게 된다는 것을)].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과 that 절의 병렬 구조
- "[that all ideas are brought/ to the table]"과 “[that all voices are brought/ into the conversation]”에서 "that"은 동사구, "makes sure"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수동태[be + pp] “are brought”
- "가져와진다"의 의미로 수동태. “all ideas are brought/ to the table”와 “all voices are brought/ into the conversation”에서 사용된 어법. 한국말은 수동태가 한정적이라 의역이 됨도 기억하세요.
문장 7
It is especially effective in groups that struggle to achieve collective intelligence.
주요 단어 정리
- effective: 효과적인 (동의어: efficient, productive)
- struggle to 부정사: ~하기 위해서 애쓰다
- achieve: 달성하다
-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 지성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is especially effective/ [in groups/ that struggle/ <to achieve/ collective intelligence>].
- 그것은(브레인라이팅은) 특히 효과적입니다/ [집단들 내에서/ 애쓰는/ <달성하기 위해서/ 집단 지성을>].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groups/ that struggle/ <to achieve/ collective intelligence>"에서 "that"은 선행사 "groups"를 수식하며 "집단 지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애쓰는 집단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achieve/ collective intelligence>"는 "집단 지성을 달성하기 위해서"의 의미를 전달.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글은 브레인라이팅이 브레인스토밍보다 팀의 잠재력을 효과적으로 발견하는 데 더 적합한 과정임을 강조합니다. 독립적 평가와 개별 아이디어 발전 과정이 집단 지성을 극대화한다고 설명합니다.
근거 문장 제시
- "The initial steps are solo. You start by asking everyone to generate ideas separately."
- "By ______________ before choosing and elaborating them, teams can surface and advance possibilities that might not get attention otherwise."
정답 도출
- 빈칸에 들어갈 표현은 팀이 아이디어를 개별적으로 개발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① developing and assessing ideas individually가 가장 적합합니다.
결론
"브레인라이팅: 팀 창의성의 새로운 패러다임"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브레인라이팅이 브레인스토밍보다 팀의 잠재력을 발휘하는 데 더 적합한 과정임을 논리적으로 제시합니다. 익명성을 유지한 아이디어 공유와 독립적 평가 과정은 팀 내 모든 아이디어와 목소리가 공정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또한, 이는 특히 집단 지성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팀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합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