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은 직원들에게 통제권을 부여하는 것이 직무 만족도와 생산성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연구 사례를 통해 직원의 자기 절제와 통제감이 조직 목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구하며, 통제권 부여의 긍정적 영향을 강조합니다.

특히,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을 찾는 이 문제는 지문을 이해하고 각 문장이 전반적인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을 잘 활용하여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고 기대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Simply giving employees a sense of agency ― a feeling that they are in control, that they have genuine decision­making authority ― can radically increase how much energy and focus they bring to their jobs. ① One 2010 study at a manufacturing plant in Ohio, for instance, carefully examined assembly­line workers who were empowered to make small decisions about their schedules and work environment. ② They designed their own uniforms and had authority over shifts while all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pay scales stayed the same. ③ It led to decreased efficiency because their decisions were not uniform or focused on meeting organizational goals. ④ Within two months, productivity at the plant increased by 20 percent, with workers taking shorter breaks and making fewer mistakes. ⑤ Giving employees a sense of control improved how much self­discipline they brought to their jobs.

* radically: 급격하게 ** shift: (근무) 교대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Simply giving employees a sense of agency ― a feeling that they are in control, that they have genuine decision­making authority ― can radically increase how much energy and focus they bring to their jobs.주요 단어 정리

  • sense of agency: 주체감, 주체성의 느낌
  • in control: 통제권이 있는
  • genuine: 진정한 (동의어: authentic, real / 반의어: false, fake)
  • radically: 급격하게 (동의어: significantly, drastically / 반의어: slightly, marginally)
  • increase: 증가시키다
  • focus: 집중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imply giving/ employees/ [[a sense/ of agency]/ ― [[a feeling/ that they are in control],/ and/ [(a feeling) that they have/ genuine decision-making authority]]]]
  • [단순히 제공하는 것이/ 직원들에게/ [[느낌을/ 주체성의(주체감을)]/ ― [[느낌인/ 그들이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는],/ 그리고/ [(느낌인)/ 그들이 가지고 있다는/ 진정한 의사결정 권한을]]]].
  • can radically increase/ [how much energy and focus/ they bring/ to their jobs].
  • 급격히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얼마나 많은 에너지와 집중을/ 그들이 가져오는지를/ 그들의 직무에].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Simply giving/ employees/~]“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주어로 사용되어 단수 취급하나 동사구가 조동사구로 수의 일치 문제로 출제될 가능성은 없음.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동격 구조
  • [a sense/ of agency]와 “[[a feeling/ that they are in control],/ and[(a feeling) that they have/ genuine decision-making authority]]”는 동격 관계를 이룹니다. 다만, 어법적으로 접속사 and는 추가가 필요합니다. “그들이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는 느낌이자 그들이 의사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느낌인” 정도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a feeling/ that they are in control],/ and[(a feeling) that they have/ genuine decision-making authority]"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a feeling“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문장 2

① One 2010 study at a manufacturing plant in Ohio, for instance, carefully examined assembly­line workers who were empowered to make small decisions about their schedules and work environment.

주요 단어 정리

  • manufacturing plant: 제조 공장
  • examine: 조사하다
  • assembly-line workers: 조립 라인 근로자
  • empower: 권한을 부여하다 (동의어: authorize, enable / 반의어: restrict, limit)
  • make small decisions: 작은 의사 결정을 하다
  • schedule: 일정 (동의어: timetable, calendar)
  • work environment: 작업 환경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e 2010 study/ <at a manufacturing plant/ in Ohio>],/
  • [2010년 한 연구는/ <한 제조 공장에서의/ 오하이오에 있는>],/
  • for instance,/
  • 예를 들어,]
  • carefully examined/
  • 신중히 조사했습니다/
  • [assembly-line workers/ who were empowered/ [to make/ [small decisions/ <about their schedules and work environment>]]].
  • [조립 라인 근로자들을/ 권한을 부여받았던/ [하도록/ [작은 의사결정들을/ <그들의 일정과 작업 환경에 대해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
  • 이 문장의 주어는 ”One 2010 study”, 동사는, ”examined“. 동사가 과거라서 수의 일치 문제로 출제될 가능성은 없지만 항상 주어와 동사를 구별하는 습관을 가지세요.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assembly-line workers/ who were empowered/~”에서 “who”는 선행사, “assembly-line workers”를 수식하여, “권한을 부여받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were empowered”
  • "~로 채워져 있다"의 의미로 수동태.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ake[small decisions/ <about their schedules and work environment>]]”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3

② They designed their own uniforms and had authority over shifts while all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pay scales stayed the same.

주요 단어 정리

  • uniform: 유니폼
  • authority: 권한 (동의어: power, control / 반의어: submission, subordination)
  • authority: 권한
  • shift: 근무 교대 (동의어: work schedule, rotation)
  • manufacturing process: 제조 과정
  • pay scale: 급여 규모
  • stay the same: 동일하게 유지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designed/ their own uniforms]/ and/ [had/ <authority/ over shifts>]/
  • 그들은 [디자인했습니다/ 그들 자신의 유니폼을]/ 그리고/ [가지고 있었습니다/ <권한을/ 교대 근무에 대한>].
  • [while/ <all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pay scales>/ stayed/ the same].
  • [<모든 제조 과정과 급여 체계는>/ 유지되었던 반면에/ 동일하게].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designed/ their own uniforms]와 [had/ <authority/ over shifts>]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양보의 부사절 “while + 주어 + 동사”
  • “~이긴 하지만/~인 반면에”의 의미를 전달.

문장 4

③ It led to decreased efficiency because their decisions were not uniform or focused on meeting organizational goals.

주요 단어 정리

  • lead to~: ~로 이어지다
  • decreased: 줄어든, 감소된
  • efficiency: 효율성 (동의어: productivity, effectiveness / 반의어: inefficiency, wastefulness)
  • uniform: 획일적인
  • focused on~: ~에 집중된, ~에 초점이 맞춰진
  • meet: 충족시키다
  • organizational goals: 조직의 목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led/ to decreased efficiency/
  • 것은 이어졌습니다/ 감소된 효율성으로(효율성 감소로).
  • [because their decisions were not <uniform or focused>/ <on meeting/ organizational goals]>].
  • [왜냐하면 그들의 의사결정이 >통일되지 않았거나 집중되지(초점이 맞춰지지) 않았기 때문에>/ <충족시키는 것에/ 조직의 목표를>].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on meeting/ organizational goals]>“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문장의 관련성 판단
  • ①번 문장과 ②번 문장은 ”종업원에게 권한을 부여했을 때의 긍정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는 반면에, ③은 정반대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것으로 이 문장이 주제에서 벗어난 문장입니다.

문장 5

④ Within two months, productivity at the plant increased by 20 percent, with workers taking shorter breaks and making fewer mistakes.

주요 단어 정리

  • productivity: 생산성
  • increase: 증가하다
  • take shorter breaks: 짧은 휴식을 취하다
  • make fewer mistakes: 더 적은 실수를 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ithin two months,/ <productivity/ at the plant>/ increased/ by 20 percent,/
  • 두 달 이내에,/ <생산성은/ 그 공장에서의>/ 증가했습니다/ 20%까지,/
  • [with workers/ (who or that were) <taking/ shorter breaks>/ and/ <making/ fewer mistakes>.
  • [근로자들과 함께/ [<취하고 있었던/ 더 짧은 휴식을>/ 그리고/ <하고 있었던/ 더 적은 실수들을>].

어법 설명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taking/ shorter breaks>/ and/ <making/ fewer mistakes>“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worker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그러면서 2개의 현재분사구가 and로 연결된 병렬 구조.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문장 6

⑤ Giving employees a sense of control improved how much self­discipline they brought to their jobs.

주요 단어 정리

  • a sense of control: 통제감, 통제권의 느낌(→control; 통제권)
  • self-discipline: 자기 절제 (동의어: self-control, restraint / 반의어: impulsiveness, indulgence)
  • bring to one’s job: 직무에 가져오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Giving/ employees/ <a sense/ of control>]/ improved/ [how much self-discipline/ they brought/ to their jobs].
  • [주는 것은/ 직원들에게/ <느낌을/ 통제권의>]/ 향상시켰습니다/ [얼마나 많은 자기 절제를/ 그들이 가져왔는지를/ 그들의 직무에].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Giving/ employees/ <a sense/ of control>]“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주어로 사용된 경우, 단수 취급하나, 여기서는 과거시제로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로 문제로 출제될 가능성은 업습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a sense of control
  • 문맥상 ”Ohio 공장에 있는 근로자들“에게 이미 통제권을 부여한 상황으로 ”a sense of control(통제권의 느낌)“이라는 표현보다”control(통제권“이 더 적절해 보입니다.
  • 접의문문 “의문사구(how much self-discipline) + 주어(they) + 동사구(brought)”
  •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흐름

  • 이 지문은 직원들에게 통제권을 부여하는 것이 직무 집중력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연구 사례를 통해 브레인스토밍과 직원 권한 부여의 효과를 설명하며, 직원의 자기 절제와 생산성 향상 사이의 관계를 강조합니다.

관계 없는 문장

  • 문장 3은 "통제권 부여로 인한 효율성 감소"를 설명하며, 이는 나머지 문장들이 전하는 긍정적인 결과와 배치됩니다. 따라서 문맥상 관련성이 떨어집니다.

정답 도출

따라서, 정답은 ③번 입니다

결론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은 직원 권한 부여의 중요성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논리적으로 설명하며, 통제권이 직무 수행과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③번 문장은 통제권 부여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다루며, 다른 문장들의 긍정적인 흐름과 대조됩니다.

본 분석은 지문 속 주요 단어와 어법 설명을 통해 글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도록 돕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통제권 부여의 효과", "생산성 향상"과 같은 핵심 키워드를 활용하여 문제 풀이 능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