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은 “디지털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룹니다. 디지털 전환이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일반적인 기대와 달리, 디지털 활동이 오히려 환경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이유를 제시합니다.

순서 배열 문제에 대한 Tip을 드리자면, 각 단락 간의 논리적 관계뿐만 아니라 각 단락 내에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어휘를 바꿔서 표현하지만, 반복되는 표현에 유의하면서 순서를 파악해 나가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특히, 제시된 단락을 논리적 흐름에 맞게 배열하는 이 문제는 지문의 주제를 파악하고 각 단락 간의 연결성을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이 전체적인 글의 이해와 문제 풀이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6.

As businesses shift some core business activities to digital, such as sales, marketing, or archiving, it is assumed that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will be less negative.

(A) When we store bigger data on clouds, increased carbon emissions make our green clouds gray. The carbon footprint of an email is smaller than mail sent via a post office, but still, it causes four grams of CO2, and it can be as much as 50 grams if the attachment is big.

(B) However, digital business activities can still threaten the environment. In some cases, the harm of digital businesses can be even more hazardous. A few decades ago, offices used to have much more paper waste since all documents were paper based. 

(C) When workplaces shifted from paper to digital documents, invoices, and emails, it was a promising step to save trees. However, the cost of the Internet and electricity for the environment is neglected. A recent Wired report declared that most data centers’ energy source is fossil fuels. [3점]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된 문장

As businesses shift some core business activities to digital, such as sales, marketing, or archiving, it is assumed that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will be less negative.

주요 단어 정리

  • shift: 전환하다 (동의어: transition, move / 반의어: retain, stay)
  • core business activities: 핵심 비즈니스 활동
  • digital: 디지털
  • assume: 가정하다, 추정하다 (동의어: suppose, presume / 반의어: doubt)
  • impact: 영향
  • archiving: 문서 보관
  • negative: 부정적인 (동의어: harmful, adverse / 반의어: positive, benefici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businesses shift/ some core business activities/ to digital,/ <such as sales,/ marketing, or archiving>],/
  • [기업들이 전환함에 따라/ 일부 핵심 비즈니스 활동을/ 디지털로,/ <판매,/ 마케팅,/ 또는/ 문서 보관과 같은>],/
  • it is assumed/ [that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will be less negative].
  • 그것이 추정됩니다/ [<영향이/ 환경에 대한>/ 덜 부정적일 것이라는 것이].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할 때/~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시간의 변화에 따른 점진적 변화를 의미.
  • 수식 구조
  • 영어에서는, 수식을 받는 말과 수식을 하는 말을 떨어뜨리지 않은 대원칙이 존재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As businesses shift/ some core business activities/ to digital,/ <such as sales,/ marketing, or archiving>]는 “[As businesses shift/ [some core business activities/ <such as sales,/ marketing, or archiving>]/ to digital,/]”로 변경하여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it is assumed/ [that~]”에서 ”it“는 가주어, ”that 절”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수동태[be + pp] “is assumed”
  • "추정됩니다"의 의미로 수동태.

단락 (A)

When we store bigger data on clouds, increased carbon emissions make our green clouds gray. The carbon footprint of an email is smaller than mail sent via a post office, but still, it causes four grams of CO2, and it can be as much as 50 grams if the attachment is big.

주요 단어 정리

  • store: 저장하다 (동의어: save, keep / 반의어: delete, remove)
  • carbon emissions: 탄소 배출
  • carbon footprint: 탄소 발자국(배출량)
  • green clouds: 친환경 클라우드
  • attachment: 첨부 파일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we store/ bigger data/ on clouds],/
  • [우리가 저장할 때/ 더 큰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 increased carbon emissions/ make/ our green clouds/ gray.
  • 증가된 탄소 배출량이/ 만듭니다/ 우리의 녹색 구름을/ 회색으로.
  • <The carbon footprint/ of an email>/ is smaller/ [than mail/ (which or that is) sent/ <via a post office],/
  • <탄소 발자국(탄소 배출량)은/ 이메일의>/ 더 작습니다/ <우편물보다/ 보내진/ 우체국을 통해서],/
  • but/ still,/ it causes/ <four grams/ of CO2>,/ and/ it can be as much/ as 50 grams/
  • 하지만 여전히,/ 그것은 유발합니다/ <4그램을/ 이산화탄소의(4그램의 이산화탄소를)>,/ 그리고/ 그것이 그만큼 많을 수 있습니다/ 50그램만큼/
  • [if the attachment is big].
  • [만약 첨부 파일이 크다면].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our green clouds) + 목적격 보어(형용사; gray)"
  •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이나 gray의 부사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출제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첫 번째 주어는 ”The carbon footprint”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동사, ”is“.
  • 동등 비교 구문[as +형용사/부사 + as + 비교 대상]
  • "비교대상 만큼 (그만큼) ~한/~하게”로 해석합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단락 (B)

However, digital business activities can still threaten the environment. In some cases, the harm of digital businesses can be even more hazardous. A few decades ago, offices used to have much more paper waste since all documents were paper-based.

주요 단어 정리

  • threaten: 위협하다 (동의어: endanger, harm / 반의어: protect, safeguard)
  • hazardous: 위험한 (동의어: dangerous, harmful / 반의어: safe, secure)
  • used to 부정사: (과거의 습관적 사실 표현) ~하곤 했다
  • paper waste: 종이 폐기물
  • paper-based: 종이에 기반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digital business activities/ can still threaten/ the environment.
  • 그러나,/ 디지털 비즈니스 활동은/ 여전히 위협할 수 있습니다/ 환경을.
  • In some cases,/ <the harm/ of digital businesses>/ can be even more hazardous.
  • 어떤 경우에는,/ <피해는/ 디지털 비즈니스의>/ 훨씬 더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 A few decades ago,/ offices used to have/ much more paper waste/
  • 몇십 년 전에,/ 사무실들은 가지곤 했습니다/ 훨씬 더 많은 종이 폐기물을/
  • [since all documents were paper-based].
  • [모든 문서들이 종이에 기반했기 때문에].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
  • even more hazardous”와 “much more paper waste”에 사용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이유의 부사절 “sinc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문장 순서 파악
  • 제시된 문장에서 설명된 “디지털로의 전환”이 “digital business activities” 대체 표현된 제시된 문장에서 (B)로 연결됨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과거의 종이 사용에 대한 언급과 디지털화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간과와 그 디지털화의 에너지 소스를 기술하고 있는 (C)로 연결된 후, 실제 디지털화가 가지는 탄소 배출량의 수치적 비교를 포함해 비교를 하는 내용인 (A)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 이와 일치하는 것은 ③ (B) - (C) - (A)입니다.

단락 (C)

When workplaces shifted from paper to digital documents, invoices, and emails, it was a promising step to save trees. However, the cost of the Internet and electricity for the environment is neglected. A recent Wired report declared that most data centers’ energy source is fossil fuels.

주요 단어 정리

  • shift from A to B: A에서 B로 전환하다
  • promising: 유망한 (동의어: hopeful, optimistic / 반의어: discouraging, pessimistic)
  • neglect: 간과하다 (동의어: ignore, overlook / 반의어: acknowledge, address)
  • fossil fuels: 화석 연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workplaces shifted/ <from paper/ <to digital documents, invoices, and emails>],/[직장들이 전환했을 때/ <종이에서/ 디지털 문서, 청구서, 이메일로>],/
  • it was [a promising step(→way)/ <to save/ trees>].
  • 그것은/ [유망한 단계(→방법)이었습니다/ <구하기 위한/ 나무를>].
  • However,/ [the cost/ <of the Internet and electricity/ for the environment>]/ is neglected.
  • 그러나,/ [비용이/ <인터넷과 전기의/ 환경에 대한>]/ 간과됩니다.
  • A recent Wired report declared/ [that most data centers’ energy source is fossil fuels].
  • 최근 Wired의 보고서가 선언했습니다/ [대부분의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원천이 화석 연료임을].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표현 변경의 필요성
  • 이 단락에서 사용된 “단계, 절차”의 의미인, “step”보다는 “방법”의 의미인, “way”가 내용을 연결하기에 더 자연스럽습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목적] “~할 / ~하는/ ~하기 위한
  • [a promising step(→way)/ <to save/ trees>]”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구 “a promising step(→way)”를 수식.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단락의 두 번째 문장의 주어는 ”the cost”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동사, ”is“.
  • 수동태[be + pp] “is neglected”
  • "간과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at most data centers’ energy source is fossil fuels]"에서 "that"은 동사, "declare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순서 분석

  1. 제시된 문장: 디지털로의 전환이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 기대에 대한 가정.
  2. 단락 (B): 제시된 문장에서 설명된 “디지털로의 전환”이 “digital business activities” 표현되어 있는 제시된 문장에서 (B)로
  3. 단락 (C): 과거의 종이 사용에 대한 언급, 디지털화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간과와 그 디지털화의 에너지 소스를 기술하고 있는 (C)로
  4. 단락 (A): 클라우드 사용과 이메일이 탄소 배출에 미치는 구체적 수치를 제시한 (A)로 연결되어야 글의 흐름이 자연스럽습니다.

정답 도출

따라서, 정답은 ③번 (B) - (C) - (A)의 어순입니다.

결론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은 “디지털 전환의 환경적 영향”을 논리적으로 전개하며, 디지털화의 긍정적 기대와 현실적 문제를 비교합니다. 단락 (B)에서 디지털 활동의 환경 위협을 소개한 후, (C)에서 디지털화로 인한 에너지 비용과 그 간과된 영향을 설명하고, (A)에서 클라우드 사용과 이메일 탄소 배출에 대한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며 마무리됩니다.

본 분석을 통해 학생들은 논리적으로 단락과 단락 사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파악하는 동시에 지문 내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및 반복되는 의미를 통해 정확한 글의 순서를 파악하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어법 설명은 글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 "환경 비용", "탄소 배출"과 같은 키워드를 활용하여 독해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