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8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8번 문제: 농업의 시작과 인구 증가의 상관관계"
이 글은 농경 생활이 인간의 정착 및 출산 간격 변화, 그리고 인구 증가에 미친 영향을 논리적으로 탐구합니다. 수렵 채집인과 농부들의 생활 방식 차이를 대조적으로 설명하며, 농업 사회가 인구 증가를 통해 얻게 된 장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특히, 주어진 문장을 적합한 위치에 삽입하는 문제는 독자의 논리적 사고력과 지문 흐름 이해 능력을 평가합니다.
본 분석은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독해력을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8.
Farmers, on the other hand, could live in the same place year after year and did not have to worry about transporting young children long distances.
Growing crops forced people to stay in one place. Hunter-gatherers typically moved around frequently, and they had to be able to carry all their possessions with them every time they moved. ( ① ) In particular, mothers had to carry their young children. ( ② ) As a result, hunter-gatherer mothers could have only one baby every four years or so, spacing their births so that they never had to carry more than one child at a time. ( ③ ) Societies that settled down in one place were able to shorten their birth intervals from four years to about two. ( ④ ) This meant that each woman could have more children than her hunter-gatherer counterpart, which in turn resulted in rapid population growth among farming communities. ( ⑤ ) An increased population was actually an advantage to agricultural societies, because farming required large amounts of human labor. * counterpart: (대응 관계에 있는) 상대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8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주어진 문장
Farmers, on the other hand, could live in the same place year after year and did not have to worry about transporting young children long distances.
주요 단어 정리
- farmers: 농부들
- on the other hand: 반면에 (동의어: however, conversely)
- year after year: 해마다
- transport: 운반하다 (동의어: move, carry)
- long distances: 먼 거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armers,/ on the other hand,/ [could live/ in the same place/ year after year],/
- 농부들은,/ 반면에,/ 살 수 있었습니다/ 같은 곳에/ 해마다,/
- and/ [did not have to worry/ <about transporting/ young children/ long distances>].
- 그리고/ 걱정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운반하는 것에 대해/ 어린아이들을/ 먼 거리를].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on the other hand"
- 문장 내에서 "반면에"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could live/ in the same place/ year after year]와 [did not have to worry/ <about transporting/ young children/ long distances>]이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transporting/ young children/ long distances“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전치사 ”about“의 목적어.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삽입 위치 추론
- 제시된 문장에 사용된 “on the other hand(반면에)”의 의미로 추론할 때, 농부가 아닌 다른 직업군의 사람이 이리저리 옮겨 다니면서, 먼 거리를 어린아이들을 운반했다는 내용이 온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문장 1
Growing crops forced people to stay in one place.
주요 단어 정리
- grow crops: 작물을 재배하다
- force: 강요하다 (동의어: compel, oblige)
- stay in one place: 한곳에 머물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Growing/ crops>/ forced/ people/ <to stay/ in one place>.
- <재배하는 것이/ 작물을>/ 강요했습니다/ 사람들을/ <머물도록/ 한곳에>.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Growing/ crops>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주어로 사용된 경우, 단수 취급하여 수의 일치 문제로 출제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문장의 동사가 과거 시제로 출제될 가능성은 없음.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5형식 문형 "forced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동사 “force”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문장 2
Hunter-gatherers typically moved around frequently, and they had to be able to carry all their possessions with them every time they moved.
주요 단어 정리
- hunter-gatherers: 수렵 채집인
- typically: 보통, 전형적으로
- frequently: 자주, 빈번하게
- move around: 이동하다, 돌아다니다
- have to 부정사: ~해야만 하다
- be able to 부정사: ~할 수 있다
- carry: 운반하다, 나르다
- possession: 소유물 (동의어: belongings, proper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unter-gatherers typically moved around/ frequently],/
- 수렵 채집인들은 보통 이동했습니다/ 자주,/
- and/ [they had to be able to carry/ all their possessions/ with them/ [every time/ (when) they moved]].
- 그리고/ 그들은 운반할 수 있어야만 했습니다/ 그들의 모든 소유물을/ 그들과 함께/ [매먼/ 그들이 이동했을(그들이 이동할 때마다)]].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문장[주어 + 동사 + ~] 병치
- [Hunter-gatherers typically moved around/ frequently]와 [they had to be able to carry/ all their possessions/ with them/ [every time/ (when) they moved]]이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 "[every time/ (when) they moved]"에서 생략된 “when”는 선행사, “every time”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그들이 이동했던 매번(그들이 이동할 때마다)”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는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와 바꾸어 쓸 수 있으며 뒤에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 삽입 위치 추론
- 추측한 대로, 수렵-채집인의 이동에 관한 내용이 오긴 했으나 그 내용이 아직 완료된 것이 아니라 더 읽어야 합니다.
문장 3
(①) In particular, mothers had to carry their young children.
주요 단어 정리
- in particular: 특히
- carry: 운반하다 (동의어: transport, hol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particular,/ mothers had to carry/ their young children.
- 특히,/ 어머니들은 운반해야 했습니다/ 그들의 어린아이들을.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in particular"
- 문장 내에서 "특히"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정한 세부 사항을 강조하는 표현.
- 삽입 위치 추론
- 아직도 수렵-채집인의 이동에 관한 내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키워드를 이동에서 수렵-채집인으로 변경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장 4
(②) As a result, hunter-gatherer mothers could have only one baby every four years or so, spacing their births so that they never had to carry more than one child at a time.
주요 단어 정리
- as a result: 그 결과, 결과적으로
- space births: 출산 간격을 두다
- at a time: 한 번에
- every four years or so: 매 4년마다나 그 즈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a result,/ hunter-gatherer mothers could have/ only one baby/ <every four years or so],/
- 그 결과,/ 수렵 채집인 어머니들은/ 가질 수 있었습니다/ 오직 한 명의 아이만을/ <약 4년마다나 그 즈음>,/
- [spacing/ their births]/ [so that they never had to carry/ more than one child/ at a time].
- [간격을 두며/ 그들의 출산에]/ [그들이 결코 운반하지 않도록/ 한 명 이상의 아이를/ 한 번에].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As a result"
- 문장 내에서 "결과적으로/그 결과"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분사구문
- “[spacing/ their births]”은 [while they space/ their births]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hunter-gather mothers)가 생략되고 동사 space가 spac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so that + 주어 + 동사“ 용법
- ”~하도록 (하기 위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so that they never had to carry/ more than one child/ at a time]"에서 사용된 어법
- 삽입 위치 추론
- 드디어 수렵-채집인의 이동에 관한 내용이 여기에서 끝납니다. “on the other hand(반면에)”의 접속부사를 통해 문장 5의 시작 위치인 ③에 오는 것이 적절합니다.
문장 5
(③) Societies that settled down in one place were able to shorten their birth intervals from four years to about two.
주요 단어 정리
- settle down: 정착하다
- settle down: 정착하다
- shorten birth intervals: 출산 간격을 줄이다
- from A to B: A에서 B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cieties/ that settled down/ in one place]/ were able to shorten/ their birth intervals/ <from four years/ to about two (years)>].
- [사회들은/ 정착했던/ 한곳에]/ 다축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의 출산 간격을/ <4년에서/ 약 2년으로>].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Societies/ that settled down/ in one place]”에서 “that”은 선행사, “Societies”를 수식하여, “한곳에 정착했던 사회들”의 의미를 전달.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Societies”로 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 동사구, ”were able to shorten“.
문장 6
(④) This meant that each woman could have more children than her hunter-gatherer counterpart, which in turn resulted in rapid population growth among farming communities.
주요 단어 정리
- mean: 의미하다
- counterpart: 상대, 대응물
- in turn: 그 결과, 결국
- result in~: ~을 초래하다
- population growth: 인구 성장
- farming community: 농업 공동체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meant/ [that each woman could have/ more children/ than her hunter-gatherer counterpart],/
- 이것은 의미했습니다/ [각 여성들이 가질 수 있었다는 것을/ 더 많은 아이들을/ 그녀의 수렵 채집 상대보다]/
- , which/ in turn/ resulted in/ <rapid population growth/ among farming communities>].
- 그리고 그것이/ 결국/ 초래했습니다/ <빠른 인구 증가를/ 농업 공동체들 사이에서의>.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is meant/ [that~]"에서 "that"은 동사, "meant"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which/ in turn/ resulted in/ <rapid population growth/ among farming communities>]”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로 해석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결국 농업 공통체들 사이에서의 빠른 인구 성장을 초래했습니다”의 의미를 전달. 이 경우,that은 사용 불가.
문장 7
(⑤) An increased population was actually an advantage to agricultural societies, because farming required large amounts of human labor.
주요 단어 정리
- increased population: 증가한 인구
- actually: 사실, 실제로
- advantage: 이점 (동의어: benefit, merit / 반의어: disadvantage)
- agricultural societies: 농업 사회
- require: 필요로 하다 (동의어: need, demand / 반의어: provide)
- large amounts of~: 대량의~, ~의 많은 양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 increased population/ was actually an advantage/ to agricultural societies,/
- 증가한 인구는/ 사실 이점이었습니다/ 농업 사회(들)에,/
- [because farming required/ <large amounts/ of human labor>].
- [왜냐하면 농업이 필요로 했기 때문입니다/ <많은 양을/ 인간 노동의(대량의 인간 노동을>].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1. 문맥적 연결성
- 주어진 문장은 농부(farmers)가 정착 생활을 통해 얻는 이점(자유로움)을 언급하며, 수렵 채집인의 불편함(문장 2)과 대조를 이룹니다. 즉, 대조된 집단의 특성을 이해하고 접속부사(on the other hand)를 이용하면 쉽게 정답을 추론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2. 적절한 위치 판단
- 주어진 문장이 대조를 이루는 "on the other hand"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hunter-gatherers의 상황을 언급한 내용 이후인 (③)에 배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정답 도출
- 따라서, 정답은 ③번입니다.
결론
"농업과 인구 성장: 논리적 흐름의 이해"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38번 지문은 수렵 채집 사회와 농업 사회의 구조적 차이를 비교하며, 농업의 시작이 출산율 증가와 인구 성장으로 이어졌음을 논리적으로 설명합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와 청크 분석을 통해 지문 속 논리적 전환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농업 혁명", "출산율 변화", "인구 증가와 노동력"과 같은 핵심 키워드를 활용하여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이 글을 통해 영어 독해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방법을 익히셨기를 바랍니다. 더 많은 모의고사 지문 분석과 문제 풀이 비법은 다른 게시글에서 확인해 보세요!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