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인간의 고통과 즐거움: 안전한 위협이라는 독특한 연결고리"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문제는 고통이 즐거움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탐구합니다. 특히, 매운 음식을 먹거나 강렬한 자극을 경험할 때 느껴지는 '안전한 위협'이라는 심리적 개념이 지문의 핵심입니다.이 글은 인간의 독특한 행동과 그 심리적 배경을 설명하며, 학생들에게 빈칸 추론과 제목 선택 문제를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키울 기회를 제공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의미 해석과 어법 설명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지문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ll humans, to an extent, seek activities that cause a degree of pain in order to experience pleasure, whether this is found in spicy food, strong massages, or stepping into a too­cold or too­hot bath. The key is that it is a ‘safe threat’. The brain perceives the stimulus to be painful but ultimately (a) non­threatening. Interestingly, this could be similar to the way humor works: a ‘safe threat’ that causes pleasure by playfully violating norms. We feel uncomfortable, but safe. In this context, where (b) survival is clearly not in danger, the desire for pain is actually the desire for a reward, not suffering or punishment. This reward­like effect comes from the feeling of mastery over the pain. The closer you look at your chilli­eating habit, the more remarkable it seems. When the active ingredient of chillies — capsaicin — touches the tongue, it stimulates exactly the same receptor that is activated when any of these tissues are burned. Knowing that our body is firing off danger signals, but that we are actually completely safe, (c) produces pleasure. All children start off hating chilli, but many learn to derive pleasure from it through repeated exposure and knowing that they will never experience any real (d) joy. Interestingly, seeking pain for the pain itself appears to be (e) uniquely human. The only way scientists have trained animals to have a preference for chilli or to self­harm is to have the pain always directly associated with a pleasurable reward.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The Secret Behind Painful Pleasures

② How ‘Safe Threat’ Changes into Real Pain

③ What Makes You Stronger, Pleasure or Pain?

④ How Does Your Body Detect Danger Signals?

⑤ Recipes to Change Picky Children’s Eating Habits

42. 밑줄 친 (a) ~ (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All humans, to an extent, seek activities that cause a degree of pain in order to experience pleasure, whether this is found in spicy food, strong massages, or stepping into a too-cold or too-hot bath.

주요 단어 정리

  • to an extent: 어느 정도까지
  • seek: 추구하다, 찾다 (동의어: search for, pursue / 반의어: avoid)
  • degree: 정도
  • a degree of~: 어느 정도의~
  • in order to 부정사: ~하기 위하여
  • pleasure: 즐거움 (동의어: enjoyment, satisfaction / 반의어: discomfort, pain)
  • spicy food: 매운 음식
  • step into~: ~에 들어가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l humans,/ to an extent,/ seek/
  • 모든 인간은,/ 어느 정도까지,/ 추구합니다/
  • [activities/ that cause/ a degree of pain]/
  • [활동들을/ 유발하는/ 어느 정도 고통을]/
  • <in order to experience/ pleasure>,/
  • <경험하기 위해서/ 즐거움을>,/
  • [whether this is found/ [in spicy food,/ strong massages,/ or/ [stepping/ <into a too-cold or too-hot bath>]]].
  • [이것이 발견되든지 간에/ [매운 음식에서,/ 강한 마사지에서,/ 혹은/ [들어가는 것에/ <너무 차거나 너무 뜨거운 욕조 속으로>]]].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ctivities/ that cause/ a degree of pain]”에서 “that”은 선행사, “activities”를 수식하여, “어느 정도의 고통을 유발하는 활동들”의 의미를 전달.
  • in order to 부정사
  • "경험하기 위해서"라는 목적의 의미를 전달.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 목적". "so as to 부정사" 등으로도 대체 가능합니다.
  • 부사절 “whether+주어+동사”
  • "[whether this is found/~]"에서 사용된 어법. "~이든지“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is found”
  • "발견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stepping/ <into a too-cold or too-hot bath>]“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문장 2

The key is that it is a ‘safe threat’.

주요 단어 정리

  • key: 핵심, 열쇠 (동의어: essence, solution)
  • safe threat: 안전한 위협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key is [that it is a ‘safe threat’].
  • 핵심은 [그것이 ‘안전한 위협’이라는 것]입니다.

어법 설명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key is [that it is a ‘safe threa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문장 3

The brain perceives the stimulus to be painful but ultimately (a) non-threatening.

주요 단어 정리

  • perceive: 인지하다, 감지하다 (동의어: sense, detect / 반의어: ignore, overlook)
  • stimulus: 자극
  • painful: 고통스러운
  • ultimately: 궁극적으로, 결국
  • non-threatening: 위협적이지 않은 (반의어: threatening, dangerou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brain perceives/ the stimulus/ <to be painful/ but/ ultimately (a) non-threatening>.
  • 뇌는 인지합니다/ 자극을/ <고통스럽다고/ 하지만/ 궁극적으로 (a) 위협적이지 않다고>.

어법 설명

  • 5형식 문형 "perceiv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동사 “perceive”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 (a)"non-threatening"은 “painful“의 댓구적 표현으로 적절합니다.

문장 4

Interestingly, this could be similar to the way humor works: a ‘safe threat’ that causes pleasure by playfully violating norms.

주요 단어 정리

  • interestingly: 흥미롭게도
  • be similar to~: ~와 유사하다
  • humor: 유머
  • work: 작동하다
  • violate: 위반하다 (동의어: breach, disobey / 반의어: adhere to, comply with)
  • norm: 규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terestingly,/ this could be similar/ [to the way/ (how) humor works]/
  • 흥미롭게도,/ 이것은 비슷할 수 있습니다/ [방식과/ 유머가 작동하는]/
  • :/ [a ‘safe threat’/ that causes/ pleasure/ <by playfully violating/ norms>].
  • 즉/ [‘안전한 위협이라는’/ 유발하는/ 즐거움을/ <장난스럽게 위반함으로써/ 규범을>].

어법 설명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the way/ (how) humor works"에서 관계부사 “how”가 생략된 구조. 관계부사 “how”는 선행사, “the way”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유머가 작동하는 방식”의 의미를 전달하고 “the way how“의 경우 선행사, ”the way“나 관계부사, ”how“중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생략해야 합니다.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safe threat’/ that causes/ pleasure/~]”에서 “that”은 선행사, “a ‘safe threat’”을 수식하여, “규범을 장난스럽게 위반함으로써 즐거움을 유발하는 안전한 위협”의 의미를 전달.

문장 5

We feel uncomfortable, but safe.

주요 단어 정리

  • uncomfortable: 불편한 (동의어: uneasy, awkward / 반의어: comfortable, relax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We feel uncomfortable,/ but/ safe.

우리는 불편하게 느끼지만,/ 그러나/ 안전하다고 느낍니다.

어법 설명

  • 2형식 감각 동사[look / sound / smell / taste / feel] + 형용사 
  •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이 되지만 주어를 보충하는 형용사가 반드시 와야 함.

문장 6

In this context, where (b) survival is clearly not in danger, the desire for pain is actually the desire for a reward, not suffering or punishment.

주요 단어 정리

  • context: 맥락 (동의어: background, circumstance)
  • survival: 생존 (동의어: endurance, existence / 반의어: extinction, demise)
  • be in danger: 위험에 처해 있다
  • desire: 욕구, 열망
  • reward: 보상 (동의어: benefit, compensation / 반의어: punishme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is context/, where (b) survival is clearly not/ in danger],/
  • [이러한 맥락에서,/ (그리고 거기서) (b) 생존이 명백히 있지 않은/ 위험 속에(위험에 처해 있지 않은)],/
  • <the desire/ for pain>/ is actually [the desire/ [<for a reward>,/ <not suffering or punishment>]].
  • <욕구는/ 고통에 대한>/ 사실 [욕구입니다/ [<보상에 대한>,/ <고통이나 벌이 아니라>]].

어법 설명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this context/, where (b) survival is clearly notin danger"에서 “, where”는 선행사, “this context”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생존이 분명히 위험에 처해 있지 않은 맥락”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 (b)"survival"은 생존의 맥락을 설명하며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7

This reward­like effect comes from the feeling of mastery over the pain.

주요 단어 정리

  • reward-like: 보상 같은
  • effect: 효과
  • come from~: ~에서 나오다
  • mastery: 숙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reward­like effect comes/ [from the feeling/ <of mastery/ over the pain>].
  • 이 보상과 같은 효과는 나옵니다/ [그 느낌으로부터/ <숙달이라는/ 소통에 대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8

The closer you look at your chilli-eating habit, the more remarkable it seems.

주요 단어 정리

  • chilli: 고추
  • remarkable: 놀라운, 주목할 만한 (동의어: extraordinary, notable / 반의어: ordinary, unremarkab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loser/ you look/ at your chilli-eating habit],/ [the more remarkable/ it seems].
  • [더 가까이/ 당신이 들여다볼수록/ 당신의 고추 먹는 습관을]/ [더 놀랍게,/ 그것은 보입니다].

어법 설명

  • The 비교급 A, the 비교급 B
  • "A하면 할수록, B하다"의 상관구문으로, 원인과 결과를 나타냅니다. 빈칸에는 "숙달로 나아갈수록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이 들어가야 합니다.

문장 9

When the active ingredient of chillies — capsaicin — touches the tongue, it stimulates exactly the same receptor that is activated when any of these tissues are burned.

주요 단어 정리

  • active ingredient: 활성 성분
  • capsaicin: 캡사이신
  • touch: ~에 닿다
  • stimulate: 자극하다
  • exactly: 정확하게
  • receptor: 감각기, 수용기
  • activate: 활성화하다
  • tissue: 피부 조직
  • be burned: 데이다, 화상을 입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e active ingredient/ of chillies>/ — capsaicin]/ — touches/ the tongue],/
  • [[<활성 성분이/ 고추(들)의>/ - 캡사이신이라는],/ - 닿을 때/ 혀에],/
  • it stimulates/ exactly/ [the same receptor/ that is activated/ [when <any/ of these tissues>/ are burned]].
  • 그것은 자극합니다/ 정확하게/ [그 동일한 감각기를/ 활성화되는/ [<어떤 곳이라도/ 피부 조직의>/ 데일 때]],/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When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When 절의 주어는 ”the active ingredient”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동사, ”touches“.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same receptor/ that is activated/~”에서 “that”은 선행사, “the same receptor”을 수식하여, “피부 조직의 어떤 곳이라도 데일 때 활성화되는 동일한 감각기”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is activated”
  • "활성화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When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When 절의 주어는 ”<anyof these tissues>”로 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 동사구, “are burned”. “부분/분수 뜻의 명사+of+복수명사”는 복수 취급

문장 10

Knowing that our body is firing off danger signals, but that we are actually completely safe, (c) produces pleasure.

주요 단어 정리

  • fire off~: ~을 내보내다
  • danger signal: 위험 신호
  • completely: 완전히
  • produce: 만들어내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Knowing/ [that our body is firing off/ danger signals],/ but/ [that we are actually completely safe]],/
  • [아는 것은/ [우리 몸이 내보내고 았다는 것을/ 위험 신호들을],/ 하지만/  [우리 실제로 완전히 안전하다는 것을]],/
  • produces/ pleasure.
  • 만들어 냅니다/ 즐거움을(쾌락을).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Knowing[that~]]“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병렬 구조
  • "Knowing[that our body is firing off/ danger signals],/ but[that we are actually completely safe]"에서 "that"은 동명사, "Knowing"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되며, 2개의 목적절이 but으로 연결된 병렬 구조.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Knowing”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동사, ”produces“.

문장 11

All children start off hating chilli, but many learn to derive pleasure from it through repeated exposure and knowing that they will never experience any real (d) joy.

주요 단어 정리

  • start off ~ing: ~하기 시작하다
  • derive: 끌어내다, 얻다 (동의어: obtain, extract / 반의어: lose, forfeit)
  • exposure: 노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l children start off hating/ chilli,/
  • 모든 아이들은 싫어하기 시작합니다/ 고추를,/
  • but/ many learn/ <to derive/ pleasure/ from it>/
  • 그러나/ 많은 아이들은 배우게 됩니다/ <얻는 것을/ 기쁨을/ 그것(고추)으로부터>/
  • through [repeated exposure]/ and/ [knowing/ [that they will never experience/ any real (d) joy]].
  • [반복적인 노출]을 통해/ 그리고/ [아는 것을 통해서/ [그들이(아이들이) 결코 경험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어떤 진정한 (d) 기쁨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to derive/ pleasure/ from it>”에서 사용된 용법. 직역하면 “그것으로부터 즐거움(기쁨/쾌락)을 얻는 것”으로 의역됩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명사구 병치
  • [repeated exposure]와 [knowing[that they will never experience/ any real (d) joy]]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start off hating/ chilli”와 “[knowing[that they will never experience/ any real (d) joy]]”에서 사용된 어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각각 ”start off“와 ”through“의 목적어 역할.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knowing[that they will never experience/ any real (d) joy]"에서 "that"은 동명사, "knowing"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 (d)"joy"는 문맥상 부적절하며, "pain(고통)"으로 수정해야 맞습니다.

문장 12

Interestingly, seeking pain for the pain itself appears to be (e) uniquely human.

주요 단어 정리

  • appear to 부정사: ~인 것처럼 보이다
  • uniquely: 독특하게 (동의어: distinctively, exceptionally)
  • human: 인간의, 인간다운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terestingly,/ [seeking/ pain/ <for the pain itself>]/ appears to be (e) uniquely human.
  • 흥미롭게도,/ [추구하는 것은/ 고통을/ <고통 자체를 위해>]/ 독특하게 인간다운 것처럼 보입니다.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seeking/ pain/ <for the pain itself>]”에서 사용된 어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seeking”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동사구, ”appears to be“.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 (e)"uniquely human"은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13

The only way scientists have trained animals to have a preference for chilli or to self-harm is to have the pain always directly associated with a pleasurable reward.

주요 단어 정리

  • train: 훈련시키다
  • preference: 선호 (동의어: liking, fondness / 반의어: aversion, dislike)
  • self-harm: 자해
  • associate A with B: A를 B와 연관짓다
  • pleasurable: 즐거운, 유쾌한 (동의어: enjoyable, satisfying / 반의어: unpleasant, disagreeab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only way/ (how) scientists have trained/ animals/ [to have/ a preference/ <for chilli or to self-harm>]]/
  • [그 유일한 방법은/ 과학자들이 훈련시켜 왔던/ 동물들을/ [가지도록/ 선호를/ <고추에 대해 또는 자해에 대해>]]/
  • is to have/ the pain/ <always/ directly/ associated/ with a pleasurable reward>.
  • 시키는 것입니다/ 그 고통을/ <항상/ 직접적으로/ 연관되도록/ 즐거운 보상과>.

어법 설명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The only way(how) scientists have trained/~]”에서 관계부사 “how”가 생략된 구조. 관계부사 “how”는 선행사, “the way”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과학자들이 동물들로 하여금 고추 자해에 대한 선호를 갖도록 훈련시켜 왔던 유일한 방법”의 의미를 전달하고 “the way how“의 경우 선행사, ”the way“나 관계부사, ”how“중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생략해야 합니다.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5형식 문형 "train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동사 “train”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 5형식 문형 "사역동사(have) + 목적어(the pain) + 목적격 보어(과거분사)"
  •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수동 관계일 때,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41번 문제 풀이

  • 제목의 핵심은 고통이 즐거움을 가져오는 "안전한 위협"이라는 개념과 인간의 독특한 행동에 관한 설명입니다. 이에 가장 잘 부합하는 내용은 “The Secret Behind Painful Pleasures(고통스런 즐거움 뒤에 있는 비밀)”의 의미가 가장 적절합니다.

42번 문제 풀이

  • (d) "joy"는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반복적 노출을 통해 "진정한 기쁨"이 아닌 "고통(pain)"을 경험하지 않는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정답 도출

  • 따라서, 41번의 정답은 ① The Secret Behind Painful Pleasures, 42번의 정답은 ④ (d) 입니다.

결론

"고통스러운 즐거움의 비밀: 인간 행동의 심리적 통찰을 얻다"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문제는 고통과 즐거움의 연결을 탐구하며, '안전한 위협'이 가져다주는 독특한 심리적 현상을 설명합니다.41번 문제의 정답인 ①번은 고통이 즐거움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가장 잘 반영하며, 42번 문제에서 (d) "joy"는 문맥상 부적절하므로 "pain"으로 수정해야 합니다.이 문제를 통해 학생들은 인간 행동의 독특성과 이를 설명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깊이 이해하며, 텍스트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 내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이 이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