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도덕적 해이와 정부 구제: 의사 결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정부 구제와 도덕적 해이(moral hazard)라는 개념이 기업의 의사 결정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탐구합니다. 예를 들어, 신용 위기(credit crisis) 동안 정부가 어려움에 처한 은행을 구제했을 때, 결과적으로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을 증가시켰습니다. 본문은 조건절(if), 수동태(be + pp), 분사구문(encouraging) 등 다양한 문법 요소를 활용해 논리적으로 전개되며, 이 분석은 학생들이 도덕적 해이의 복잡성과 정부 정책의 장단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의미의 덩어리 & 문법적 연결 고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 차이를 기반으로 한 의미 해석,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100%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If a firm is going to be saved by the government, it might be easier to concentrate on lobbying the government for more money rather than taking the harder decision of restructuring the company to be able to be profitable and viable in the long term. This is an example of something known as moral hazard ― when government support alters the decisions firms take. For example, if governments rescue banks who get into difficulty, as they did during the credit crisis of 2007-08, this could encourage banks to take greater risks in the future because they know there is a possibility that governments will intervene if they lose money. Although the government rescue may be well intended, it can negatively affect the behavior of banks, encouraging risky and poor decision making. 

* viable: 성장할 수 있는

① 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촉진한다. 

② 현명한 소비자들은 윤리적 기업의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③ 정부와 기업은 협력으로 사회적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 

④ 정부의 구제는 기업의 의사 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⑤ 합리적 의사 결정은 다양한 대안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이루어진다.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If a firm is going to be saved by the government, it might be easier to concentrate on lobbying the government for more money rather than taking the harder decision of restructuring the company to be able to be profitable and viable in the long term.

주요 단어 정리

  • firm: 기업 (동의어: company, business / 반의어: individual)
  • save: 구제하다, 구하다 (동의어: rescue, support / 반의어: abandon, neglect)
  • lobby: 로비하다, 압력을 가하다 (동의어: influence, persuade)
  • restructuring: 구조조정 하는 것
  • profitable: 수익성이 있는 (동의어: lucrative, gainful / 반의어: unprofitable, loss-making)
  • viable: 생존 가능한, 성장할 수 있는 (동의어: feasible, sustainable / 반의어: unviable, impractic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a firm is going to be saved/ by the government],/
  • [만약 기업이/ 구제될 예정이라면/ 정부에 의해],/
  • it might be easier/ [to concentrate/ <on lobbying/ the government>/ for more money]/
  • 그것이 더 쉬울지도 모릅니다/ [집중하는 것이/ <로비하는 것에/ 정부를 대상으로>/ 더 많은 돈을 위해],
  • [rather than taking/ [the harder decision/ <of restructuring/ the company>]/ [<to be able to be profitable and viable>/ in the long term]].
  • [택하기보다는/ [더 어려운 결정을/ <구조조정을 하는 것이라는/ 그 기업을>]/ [수익성과 성장 가능하게 되기 위해서/ 장기적으로]].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be saved”
  • "구제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might be easier/ [to concentrate/~]”에서 ”it“는 가주어, ”to concentrate~”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하기/~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taking[the harder decision/~]“과 ”restructuring/ the company“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be able to be profitable and viable>”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2

This is an example of something known as moral hazard ― when government support alters the decisions firms take.

주요 단어 정리

  • example: 예, 사례 (동의어: instance, illustration)
  • moral hazard: 도덕적 해이
  • support: 지원 (동의어: assistance, aid / 반의어: neglect, abandonment)
  • alter: 바꾸다, 변경하다 (동의어: change, modify / 반의어: maintain, preserv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an example/ [of something/ (which is) known/ as moral hazard]]/
  • 이것은 [예입니다/ [무언가의/ 알려진/ 도덕적 해이로]],/
  • [when government support alters/ [the decisions/ (which or that) firms take]].
  • ― [정부의 지원이 바꿀 때/ [결정들을/ 기업들이 택하는]].

어법 설명

  •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something/ (which is) knownas moral hazard“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 ”something“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경우와 동일. 이 경우, ”that“은 사용 불가.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decisions/ (which or that) firms take]”에서 “선행사, “the decision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조. “기업들이 택하는 결정을”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문장 3

For example, if governments rescue banks who get into difficulty, as they did during the credit crisis of 2007-08, this could encourage banks to take greater risks in the future because they know there is a possibility that governments will intervene if they lose money.

주요 단어 정리

  • rescue: 구조하다, 구제하다 (동의어: save, assist / 반의어: abandon, harm)
  • credit crisis: 신용 위기
  • encourage: 장려하다, 부추기다 (동의어: motivate, prompt / 반의어: discourage, dissuade)
  • intervene: 개입하다 (동의어: mediate, intercede / 반의어: ignore, neglec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if governments rescue/ [banks/ who get/ into difficulty]],/
  • [만약 정부가 구제한다면/ [은행들을/ 처한/ 어려움에]],/
  • [as they did/ <during the credit crisis/ of 2007-08>],/
  • [그들이 그랬던 것처럼/ [2007-08년 신용 위기 동안]],/
  • this could encourage/ banks/ <to take/ greater risks/ in the future>/
  • 이것은/ 부추길 수 있습니다/ 은행들이/ [더 큰 위험을 감수하도록/ 미래에],/
  • [because they know/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governments will intervene]]]/ [if they lose/ money].
  • [그들이 알고 있기 때문에/ [있다는 것을/ [가능성이/ 정부가 개입할 것이라는]]]/ [만약 그들이 잃으면/ 돈을].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governments rescue/~]”와 “[if they lose/ money]”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banks/ who getinto difficulty]”에서 “who”는 선행사, “banks”를 수식하여, “어려움에 처한 은행들”의 의미를 전달. 다만, 이 글이 설명문인데 굳이 사물 선행사인 banks를 의인화할 필요가 있었을까? 생각하는 독자들을 위해 덧붙이자면, 사물로 보기 보다는 의사결정을 내린 사람의 측면에서 사용한 것이라고 봅니다.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대동사 did
  • [as they did/ <during the credit crisis/ of 2007-08>]"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같이/~만큼”의 의미를 전달. 대동사 “did“는, ”rescued“의 의미를 대신했기 때문에, ”were”나 “would”같이 be 동사나 조동사는 올 수 없음.
  • 5형식 문형 "encourag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could encourage/ banks/ <to take/ greater risks/ in the future>"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encourage”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know[(that) there is/~]"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know"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a possibility/ that governments will intervene]"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a possibility“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문장 4

Although the government rescue may be well intended, it can negatively affect the behavior of banks, encouraging risky and poor decision making.

주요 단어 정리

  • well intended: 선의의 의도를 가진
  • affect: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influence, impact / 반의어: ignore, avoid)
  • behavior: 행동 (동의어: conduct, actions / 반의어: inaction, passivity)
  • encourage: 장려하다
  • risky: 위험한 (동의어: dangerous, hazardous / 반의어: safe, secure)
  • poor: 형편없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though the government rescue/ may be well intended],/
  • [비록 정부의 구제가/ 선의의 의도를 가질지라도],
  • it can negatively affect/ <the behavior/ of banks>,/
  • 그것은/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행동에/ 은행들의>,/
  • [encouraging/ <risky and poor decision making>].
  • [장려하면서/ <위험하고 형편없는 의사 결정을>].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although[ though / even if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encouraging/ <risky and poor decision making>]”은 [while it encourages/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he government rescue)가 생략되고 동사 encourageencourag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선의의 정부 구제도 기업의 의사결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 Moral Hazard

근거 문장

  • This is an example of something known as moral hazard ― when government support alters the decisions firms take.

정답 제시

  • ④ 정부의 구제는 기업의 의사 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론

"구제의 한계와 책임의 균형: 도덕적 해이를 극복하는 방법"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정부의 구제가 기업의 책임 있는 의사 결정을 약화시킬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도덕적 해이(moral hazard)라는 개념은 기업들이 정부의 개입을 예상하며 구조조정(restructuring) 대신 로비(lobbying)와 같은 쉬운 방법에 집중하는 문제를 부각시킵니다. 또한, 본문에 사용된 주격 관계대명사(who), 동격절(that), 부사절(when) 등의 문법 구조는 글의 설득력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정부 구제 정책의 양면성을 이해하고, 책임감 있는 정책과 기업 의사 결정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학생들은 요지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요지를 찾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