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과학의 진보를 위한 다양성: 객관성과 진실성을 높이는 열쇠"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과학적 연구에서 다양한 관점과 배경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지문은 과학 공동체가 성별, 민족성,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더 큰 다양성을 추구할 때 더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또한, 과학이 다양한 집단의 사람들에 의해 수행될 때 합의에 도달하는 과정과 그 결과물의 신뢰성이 강화된다고 설명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If there is little or no diversity of views, and all scientists see, think, and question the world in a similar way, then they will not, as a community, be as objective as they maintain they are, or at least aspire to be. The solution is that there should be far greater diversity in the practice of science: in gender, ethnicity, and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Science works because it is carried out by people who pursue their curiosity about the natural world and test their and each other’s ideas from as many varied perspectives and angles as possible. When science is done by a diverse group of people, and if consensus builds up about a particular area of scientific knowledge, then we can have more confidence in its objectivity and truth. * consensus: 일치
① value of acquiring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trial and error
② necessity of various perspectives in practicing science
③ benefits of building good relationships among scientists
④ curiosity as a key factor in designing experiments
⑤ importance of specialization in scientific research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If there is little or no diversity of views, and all scientists see, think, and question the world in a similar way, then they will not, as a community, be as objective as they maintain they are, or at least aspire to be.
주요 단어 정리
- little or no: 없거나 거의 없는
- diversity: 다양성 (동의어: variety, difference / 반의어: uniformity, sameness)
- view: 견해, 관점 (동의어: opinion, perspective / 반의어: ignorance)
- question: 의문을 제기하다
- community: 공동체
- objective: 객관적인
- maintain: 유지하다, 주장하다 (동의어: assert, claim / 반의어: deny, reject)
- at least: 적어도, 최소한
- aspire to 부정사: ~을 열망하다 (동의어: aim for, strive for / 반의어: neglect, aband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there is little or no/ <diversity/ of views>],/ and/ [all scientists see, think, and question/ the world/ in a similar way]],/
- [만약 [있거나 거의 없다면/ <다양성이/ 관점의>],/ 그리고/ [모든 과학자들이 보고, 생각하고, 의문을 제기한다면/ 세상에 대해/ 비슷한 방식으로]],/
- then/ they will not,/ as a community,/ be as objective/
- 그러면/ 그들은 그만큼 객관적이지 못할 것입니다,/ 공동체로서,/
- [as they [maintain/ [(that) they <are (objective)>]],/ or/ [at least/ aspire/ <to be (objective)>]].
- [그들이 [주장하는 것만큼/ [그들이 <그렇다고(객관적이라고)>]],/ 그리고/ [<적어도/ 열망하는 것만큼/ <(객관적이) 되기를>]].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if 절” 내의 2개의 문장을 and로 병치
- [there is little or no/ <diversity/ of views>]와 [all scientists see, think, and question/ the world/ in a similar way]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동사구의 의도적 분리
- “will not,/ as a community,/ be as objective”에서 “will not be as objective”를 “as a community”로 의도적으로 분리. “will not be as objective,/ as a community,”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 이 삽입 구조는 과학 공동체의 집단적 객관성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 동등 비교 구문 “as +형용사/부사 + as + 비교 대상”
- “비교 대상만큼 그만큼 ~한/~하게”나 “비교 대상보다 그만큼 ~한/~하게”로 해석.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처럼/~같이/~만큼”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as 절” 내의 2개의 동사구을 or로 병치
- [maintain/ [(that) they <are (objective)>]]와 [at least/ aspire/ <to be (objective)>]를 or로 병렬 연결한 구조.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aspire/ <to be (objective)>”에서 사용된 용법. 해석하면 “(객관적이) 되기를 열망하다”이고 동사 “aspire”의 목적어 역할.
- 주제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너무 뻘리 결론이 도출된 경우 반의 접속사 및 접속부사 있는지 확인)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다양한 견해가 없는 경우 과학자들이 가질 수 있는 문제점 – 객관성 상실』입니다. 이 문장은 주장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바로, 보기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문장 1의 핵심 내용을 포함하는 보기는 “② necessity of various perspectives in practicing science(과학의 실행에 있어서의 다양한 견해의 필요성)”뿐입니다. 반의 접속사나 접속부사 있는지 확인했으나 없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2
The solution is that there should be far greater diversity in the practice of science: in gender, ethnicity, and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주요 단어 정리
- solution: 해결책 (동의어: answer, resolution / 반의어: problem, challenge)
- diversity: 다양성
- practice: 관행, 실천, 연습
- gender: 성별
- ethnicity: 민족성 (동의어: race, ancestry / 반의어: homogeneity)
- social and cultural: 사회문화적
- background: 배경 (동의어: context, environment / 반의어: forefront, spotligh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solution is [that there should be/ far greater diversity/ <in the practice/ of science>]/
- 해결책은/ [존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훨씬 더 큰 다양성이/ <실천에서는/ 과학의>]/
- :/ <in gender, ethnicity, and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 즉/ <성별, 민족성, 그리고 사회문화적 배경에서는>.
어법 설명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solution is [tha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성분을 설명하는 colon(:)
- 이 문장에서 colon(:)은 “즉/다시 말해서”의 의미로 “<in the practice/ of science>”를 더 자세하게 “<in gender, ethnicity, and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으로 세분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문장 3
Science works because it is carried out by people who pursue their curiosity about the natural world and test their and each other’s ideas from as many varied perspectives and angles as possible.
주요 단어 정리
- carry out: 수행하다 (동의어: perform, execute / 반의어: neglect, ignore)
- pursue: 추구하다 (동의어: strive for, seek / 반의어: avoid, shun)
- the natural world: 자연 세계
- test: 시험하다, 검증하다
- varied: 다양한
- perspective: 관점 (동의어: viewpoint, outlook / 반의어: ignorance)
- angle: 관점, 각도
- as possible: 가능한 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cience works/
- 과학은 작동합니다/
- [because it is carried out/ [by people/ who [pursue/ <their curiosity/ about the natural world>]/ and/ [test/ <their and each other’s ideas>/ <from as many varied perspectives and angles/ as possible>]]].
- [그것이(과학이) 수행되기 때문에/ [사람들에 의해/ [추구하는/ <그들의 호기심을/ 자연 세계에 대한>]/ 그리고/ [검증하는/ <그들의 그리고 서로의 아이디어들을>/ <그만큼 많은 다양한 관점과 각도에서/ 가능한 한>]]].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 [be + 과거분사] “is carried out”
- “수행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사용.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people/ who [pursue/~]”에서 “who”는 선행사, “people”을 수식하여, “자연 세계에 대한 그들의 호기심에 추구하고 가능한 한 많은 수의 다양한 관점과 각도에서 그들의 그리고 각자의 아이디어들을 검증하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but으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pursue/ <their curiosity/ about the natural world>]와 [test/ <their and each other’s ideas>/ <from as many varied perspectives and angles/ as possible>]를 and로 연결한 병렬 구조.
문장 4
When science is done by a diverse group of people, and if consensus builds up about a particular area of scientific knowledge, then we can have more confidence in its objectivity and truth.
주요 단어 정리
- be done: 수행되다. 이루어지다
- diverse: 다양한
- a diverse group of~: ~의 다양한 집단, 다양한 집단의~
- consensus: 합의 (동의어: agreement, accord / 반의어: disagreement, discord)
- build up: 형성되다, 쌓이다 (동의어: accumulate, develop / 반의어: dissipate, dissolve)
- particular area: 특정한 분야(영역)
- scientific knowledge: 과학적 지식
- confidence: 신뢰
- objectivity: 객관성 (동의어: impartiality, neutrality / 반의어: bias, prejudi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science is done/ <by a diverse group/ of people>],/
- [과학이 수행될 때/ <다양한 집단에 의해/ 사람들의(다양한 집단의 사람들에 의해)>],/
- and/
- 그리고/
- [if consensus builds up/ <about a particular area/ of scientific knowledge>],/
- [만약 합의가 형성된다면/ <특정 영역에 대해/ 과학적 지식의>],/
- then/ we can have/ more confidence/ <in its objectivity and truth>.
- 그러면/ 우리는 가질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신뢰를/ <그것의 객관성과 진실성에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과학적 실천에서 다양성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이는 성별, 민족성, 사회문화적 배경의 차이를 포함합니다.
근거 문장
- "If there is little or no diversity of views, and all scientists see, think, and question the world in a similar way, then they will not, as a community, be as objective as they maintain they are, or at least aspire to be."
- “The solution is that there should be far greater diversity in the practice of science: in gender, ethnicity, and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 “When science is done by a diverse group of people, ... we can have more confidence in its objectivity and truth.”
정답 제시
- ①, ③, ④, ⑤는 주제와 관련성이 약합니다.가장 적절한 답은 ② “necessity of various perspectives in practicing science(과학의 실행에서의 다양한 관점의 필요성)”입니다.
결론
"다양성으로 열어가는 과학적 진실"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과학 연구에서 다양성의 중요성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지문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협력하여 과학을 실천할 때, 객관성과 진실성을 높일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과학적 진보를 위한 다양성의 역할을 이해하고, 이를 자신의 학문적 또는 직업적 삶에 적용할 수 있는 통찰을 얻게 됩니다.
학생들은 주제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주제를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