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시간의 심리적 장벽을 넘어 행동으로!"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마감 기한을 심리적으로 어떻게 재구성하고 인식하느냐에 따라 행동과 스트레스 관리가 달라질 수 있음을 탐구합니다. 연구 사례와 실질적인 예를 통해, 인간이 시간의 경계를 재정립하고 이를 행동의 촉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제목 찾기, 주제, 요지,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이나 명제를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We tend to break up time into units, such as weeks, months, and seasons; in a series of studies among farmers in India and students in North America, psychologists found that if a deadline is on the other side of a “break” ― such as in the New Year ― we’re more likely to see it as remote, and, as a result, be less ready to jump into action. What you need to do in that situation is find another way to think about the timeframe. For example, if it’s November and the deadline is in January, it’s better to tell yourself you have to get it done “this winter” rather than “next year.” The best approach is to view deadlines as a challenge that you have to meet within a period that’s imminent. That way the stress is more manageable, and you have a better chance of starting ― and therefore finishing ― in good time. * imminent: 임박한
① Delayed Deadlines: No Hurries, No Worries
② How Stress Affects Your Perception of Time
③ Why Do We Manage Our Tasks Worse in Winter?
④ Trick Your Mind to Get Your Work Done in Time
⑤ The Sooner You Start, The More Errors You Make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e tend to break up time into units, such as weeks, months, and seasons; in a series of studies among farmers in India and students in North America, psychologists found that if a deadline is on the other side of a “break” ― such as in the New Year ― we’re more likely to see it as remote, and, as a result, be less ready to jump into action.
주요 단어 정리
- tend to 부정사: ~하는 경향이 있다 (동의어: be inclined to, be likely to / 반의어: be unlikely to)
- break up A into B: A를 B로 나누다 (동의어: divide, split / 반의어: combine, merge)
- unit: 단위 (동의어: segment, part / 반의어: whole)
- a series of~: 일련의~
- psychologist: 심리학자
- deadline: 마감일
- on the other side of~: ~의 반대편
- break: 단절, 휴식
- be mor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더 높다
- see A as B: A를 B로 보다[여기다/생각하다]
- remote: 먼, 멀리 떨어진 (동의어: distant, far-off / 반의어: close, near)
- as a result 결과적으로
- be ready to 부정사: ~할 준비가 되다
- jump into action: 행동에 나서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tend to break up/ time/ [into units,/ <such as weeks, months, and seasons>/
- 우리는 나누는 경향이 있습니다/ 시간을/ [단위로,/ <주, 달, 계절과 같은>;/
- ;/ in a series of studies/
- ;/ [일련의 연구에서/
- <among farmers/ in India>/ and/ <(among) students/ in North America>,/
- <인도의 농부들 사이에서>/ 그리고/ <학생들 사이에서/ 북미의>],/
- psychologists found/ [that/ [if a deadline is/ [<on the other side/ of a “break”>/ ― such as in the New Year ―]],/ we[’re more likely to see/ it/ as remote],/ and,/ as a result,/ [(are more likely to) be less ready/ to jump into action]].
- 심리학자들은 발견했습니다/ [[만약 마감일이 있다면/ [<반대편에/ “단절”의>/ ― 새해와 같은 ―]],/ 우리는 [여길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그것을/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그리고,/ 결과적으로,/ [덜 준비될 가능성이 더 높다(준비될 가능성이 더 낮다)는 것을/ 행동에 나설]].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found/ [that/~]"에서 "that"은 동사, "foun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절의 삽입 시 사소한 오류
- 영어에서는 구나 절을 삽입하는 경우, 삽입하고자 하는 “구나 절”의 앞뒤로 “comma(,)”로 분리해야 하나 그 규칙이 지켜지지 않음. 따라서 다음과 같이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that,/ [if a deadline is/ [<on the other side/ of a “break”>/ ― such as in the New Year ―]],/ we[’re more likely to see/ it/ as remote],/ and,/ as a result,/ [(are more likely to) be less ready/ to jump into action]].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렬 연결
- [’re more likely to see/ it/ as remote]와 [(are more likely to) be less ready/ to jump into action]이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제목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이나 명제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너무 뻘리 결론이 도출된 경우 반의 접속사 및 접속부사 있는지 확인)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시간을 단위로 나누는 성향 → 새해와 같은 먼 개념의 단위인 경우, 멀다고 느껴서, 덜 준비될 가능성이 높다.』입니다. 이 글 저자의 주장에 해당하지 않고 실험에서 밝혀진 사실이므로 한 문장 더 읽도록 합니다.
문장 2
What you need to do in that situation is find another way to think about the timeframe.
주요 단어 정리
- what ~: ~하는 것
- need to 부정사: ~해야 하다, ~할 필요가 있다
- situation: 상황 (동의어: circumstance, condition / 반의어: resolution, solution)
- be (to) 부정사: ~하는 것이다
- timeframe: 시간의 틀, 기간 (동의어: schedule, time limi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t you need to do/ in that situation]/ is find/ [another way/ <to think/ about the timeframe>].
- [당신이 해야 할 것은(일은)/ 그 상황에서]/ 찾는 것입니다/ [다른 방법을/ <생각할/ 시간 틀에 대해>].
어법 설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you need to do/ in that situation]”에서 “사용된 문법으로, ”그러한 상황에서 당신이 해야 하는 것[일]“의 의미.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 그럼에도 공적인 문서에서는 “be + to 부정사“의 표준 표현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목적] “~할 / ~하는/ ~하기 위한”
- “[another way/ <to think/ about the timefram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를 수식.
- 제목 찾기 Tip에 따른 제목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은 『시간이 멀다 느껴져 준비가 덜 된 가능성이 있은 상황에서 시간에 대해서 다시 생각할 방법을 찾아라』입니다. 이는 이 글을 쓴 사람의 주장에 해당하지만, 구체적 방법이 진술되어 있지 않기에 한 문장 더 읽도록 합니다.
문장 3
For example, if it’s November and the deadline is in January, it’s better to tell yourself you have to get it done “this winter” rather than “next year.”
주요 단어 정리
- for example: 예를 들어
- rather than ~: ~(라기)보다는
- get A done: A를 끝내다 (동의어: complete, finish / 반의어: abandon, neglec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예를 들어,/
- [if [it’s November]/ and/ [the deadline is/ in January]],/
- [만약 [지금이 11월이라면]/ 그리고/ [마감일이 있다면/ 1월에]],/
- it’s better/ [to tell/ yourself/ [(that) you have to get it done/ “this winter”/ rather than “next year”]].
- 그것이 더 낫습니다/ [말하는 것이/ 스스로에게/ [당신이 그것을 끝내야 한다고/ “이번 겨울”에/ “내년”보다는]].
- 제목 찾기 Tip에 따른 제목찾기 2
- 문장 3의 핵심 내용은 『마감이 멀다 느끼면 요구되는 일이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고 스스로에게 말하라.』입니다. 이는 이 글을 쓴 사람의 구체적 주장에 해당하기에, 예문을 확인하면, “④ Trick Your Mind to Get Your Work Done in Time(제 시간에 당신의 일이 완료되도록 당신 생각을 속여라.)”가 가장 적절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but으로 두 개의 문장의 병렬 연결
- [it’s November]와 [the deadline is/ in January]이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s better/ [to tell/ yourself/~]”에서 ”it“는 가주어, ”to tell”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tell/ yourself/ [(that) you have to get it done/ “this winter”/ rather than “next year”]"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tell"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5형식 문형 “get + 목적어 + 목적격 보어[과거분사]”
- "get it done"에서 사용된 어법. 5형식 문형에서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수동일 때 목적격 보어로 “과거분사”가 오며, "그것을 끝내다"의 의미를 형성.
문장 4
The best approach is to view deadlines as a challenge that you have to meet within a period that’s imminent.
주요 단어 정리
- approach: 접근법 (동의어: method, strategy)
- challenge: 도전 과제 (동의어: task, obstacle / 반의어: ease, simplicity)
- have to 부정사: ~해야만 하다
- meet: 충족시키다
- period: 기간
- imminent: 임박한 (동의어: upcoming, near / 반의어: distant, remo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best approach is to view/ deadlines/ [as a challenge/ that you have to meet/ [within a period/ that’s imminent]].
- 최고의 접근법은 보는 것입니다/ 마감일을/ [도전 과제로/ 당신이 충족시켜야 하는/ [기간 내에서/ 임박한]].
어법 설명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a challenge/ that you have to meet/~”에서 “that”은 “선행사, “a challenge”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당신이 충족시켜야 하는 도전 과제”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period/ that’s imminent”에서 “a period/ that’s imminent”은 선행사, “a period”를 수식하여, “임박한 기간”의 의미를 전달. 이 경우, “that’s”는 생략 가능하기에, 그냥 명사구인 “within an imminent period”로도 표현이 가능함.
문장 5
That way the stress is more manageable, and you have a better chance of starting ― and therefore finishing ― in good time.
주요 단어 정리
- (in) that way: 그런 식으로
- manageable: 관리할 수 있는, 관리가 가능한 (동의어: controllable, feasible / 반의어: unmanageable, impossible)
- of ~ing: ~하는, ~할
- and therefore: 그래서
- in good time: 제때에, 적절한 시간 내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at way/ the stress is more manageable,/
- 그런 식으로/ 스트레스는 더 관리 가능합니다,/
- and/
- 그리고/
- you have/ [a better chance/ <of starting/ ― and therefore/ (of) finishing> ―/ <in good time>].
- 당신은 갖게 됩니다/ [더 나은 기회를/ <시작할/ ― 그래서/ 끝낼> ―/ <적절한 시간 내에>].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and therefore로 두 개의 동명사구 병치
- <of starting/ ― and therefore/ (of) finishing>에서 “of starting”과 “(of) finishing”이 and therefore로 병렬 연결된 구조. 의미는 아래 참조.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시작하여 마치는 것과 관련된 더 나은 기회”를 의역하여 “시작하고 끝내는 더 나은 기회”로 번역이 되는 것입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시간 관리의 심리적 경계를 재구성하고 마감일을 도전 과제로 보는 것이 행동을 촉진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근거 문장
- "What you need to do in that situation is find another way to think about the timeframe."
- "For example, if it’s November and the deadline is in January, it’s better to tell yourself you have to get it done “this winter” rather than “next year.”"
- "The best approach is to view deadlines as a challenge that you have to meet within a period that’s imminent."
- "That way the stress is more manageable, and you have a better chance of starting ― and therefore finishing ― in good time."
정답 제시
- 가장 적절한 제목은 ④ “Trick Your Mind to Get Your Work Done in Time”입니다.
결론
"시간 관리의 열쇠: 마감 기한을 기회로 바꿔라!"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마감 기한을 단순한 제한이 아닌 도전 과제로 바라보는 인식 전환이 행동 촉진에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시간 관리의 심리적 기술을 배우고, 마감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필요한 전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행동과 스트레스 관리", "마감 기한의 재해석", "시간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같은 핵심 키워드를 활용하면 관련 학습과 토론에 유익할 것입니다.
이 지문 유형의 풀이를 통해 학생들은 제목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제목을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