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아기들의 미소가 사회적 피드백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신체적 조건과 무관하게 작동한다"는 주제를 탐구합니다. 글은 선천적 청각 및 시각 장애를 가진 아기들과 시력을 가진 아기들의 사례를 비교하며, 인간의 사회적 행동이 초기 경험과 생리적 메커니즘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어법상 틀린 것을 찾는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독해력이 받쳐주는 학생들은 어법이 포함된 문장만 독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지문의 핵심 주장을 찾으면서 독해가 되지 않거나 어색한 부분을 찾는 방법입니다. 어법은 대부분의 경우, 해석 방법을 모아서 이름을 붙여 놓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대명사가 어법 문제의 대상인 경우, 이전 문장을 독해하여 대명사가 지시하는 대상을 찾아야 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The built­in capacity for smiling is proven by the remarkable observation ① that babies who are congenitally both deaf and blind, who have never seen a human face, also start to smile at around 2 months. However, smiling in blind babies eventually ② disappears if nothing is done to reinforce it. Without the right feedback, smiling dies out. But here’s a fascinating fact: blind babies will continue to smile if they are cuddled, bounced, nudged, and tickled by an adult ― anything to let ③ them know that they are not alone and that someone cares about them. This social feedback encourages the baby to continue smiling. In this way, early experience operates with our biology ④ to establish social behaviors. In fact, you don’t need the cases of blind babies to make the point. Babies with sight smile more at you when you look at them or, better still, ⑤ smiling back at them.

* congenitally: 선천적으로 ** cuddle: 껴안다 *** nudge: 팔꿈치로 쿡쿡 찌르다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built­in capacity for smiling is proven by the remarkable observation ① that babies who are congenitally both deaf and blind, who have never seen a human face, also start to smile at around 2 months.

주요 단어 정리

  • built-in: 내재된, 내장된 (동의어: innate, inherent / 반의어: external, acquired)
  • capacity: 능력, 용량 (동의어: ability, aptitude / 반의어: inability)
  • prove: 증명하다 (동의어: demonstrate, verify / 반의어: disprove, refute)
  • remarkable: 주목할 만한 (동의어: extraordinary, noteworthy / 반의어: ordinary, unremarkable)
  • congenitally: 선천적으로
  • deaf and blind: 청각과 시각을 잃은
  • start to 부정사: ~하기 시작하다
  • around: 약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built-in capacity/ for smiling>/ is proven/
  • <내재된 능력은/ 미소 짓는 것의>/ 증명되었습니다/
  • [by the remarkable observation/ that [babies/ who [are congenitally both deaf and blind],/ (+and or so)/ [have never seen/ a human face]],/ also start to smile/ at around 2 months].
  • [주목할 만한 관찰에 의해/ [아기들도/ [선천적으로 청각과 시각 장애를 잃은],/ (+그래서) [본적 없는/ 인간의 얼굴을]],/ 또한 미소짓기 시작한다는/ 약 2개월 경에>].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built-in capacity”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is proven“. 그러면서, 수동태[be+pp].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어법적 적절성 검토 1
  • "the remarkable observation/ that~"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the remarkable observation“을 설명합니다. 따라서,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babieswho~]”에서 “who”는 선행사, “babies”를 수식하여, “선천적으로 청각과 시각을 잃어서 사람 얼굴을 본 적 없는 아기들”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에서 – 2개의 동사구 병렬연결 시 접속사 누락 오류
  • [are congenitally both deaf and blind],/ (+and or so)/ [have never seen/ a human face]”에서 2개의 동사구를 comma(,)로 병렬연결하고 있으나, 모의고사가 공적인 문서이기 때문에 어법적 오류입니다. 공적인 문서는 표준 표현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and나 so를 추가해야 하나, 의미상 and가 더 적절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 to smile”은 동사 “start”의 목적어로 사용되어 “미소 짓기를 시작하다”의 의미를 전달.

문장 2

However, smiling in blind babies eventually ② disappears if nothing is done to reinforce it.

주요 단어 정리

  • eventually: 결국 (동의어: ultimately, finally / 반의어: initially, temporarily)
  • disappear: 사라지다 (동의어: vanish, fade / 반의어: appear, emerge)
  • reinforce: 강화하다 (동의어: strengthen, fortify / 반의어: weaken, undermin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 하지만,/
  • <smiling/ in blind babies>]/ eventually disappears/
  • <미소 짓기는/ 시각 장애 아기들에게서의>/ 결국 사라집니다/
  • [if nothing is done/ <to reinforce/ it>].
  • [만약 아무것도 행해지지 않는다면/ <강화하기 위해/ 그것을(미소를)>].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어법적 적절성 검토 2
  • 이 문장의 주어는 "smiling"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disappears". 따라서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is done”
  • "행해지다"의 의미로 수동태.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reinforce/ it>”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3

But here’s a fascinating fact: blind babies will continue to smile if they are cuddled, bounced, nudged, and tickled by an adult ― anything to let ③ them know that they are not alone and that someone cares about them.

주요 단어 정리

  • fascinating: 매혹적인, 흥미로운 (동의어: captivating, intriguing / 반의어: dull, boring)
  • continue to 부정사: 게속해서 ~하다
  • cuddle: 껴안다 (동의어: hug, embrace)
  • bounce: 뛰어오르다, 튕기다, 어르다
  • nudge: 팔꿈치로 찌르다 (동의어: poke, push)
  • tickle: 간질이다
  • adult: 어른, 성인
  • care about~: ~에 대해서 마음을 쓰다[관심을 가지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here’s a fascinating fact/
  • 하지만/ 여기에 매혹적인 사실이 있습니다/
  • :/ blind babies will continue to smile/
  • 다시 말해/ 시각 장애 아기들은 계속 미소를 지을 겁니다/
  • :/ [if they are cuddled, bounced, nudged, and tickled/ by an adult]/
  • :/ [그들이 껴안기고, 얼러지고, 찔리고, 간질여지면/ 어른에 의해]/
  • ―/ [anything/ <to let them know>/ [that they are not alone]/ and/ [that someone cares/ about them]].
  • 즉/ [어떤 것이든/ <그들을(그들이) 알도록(알게) 하기 위안>/ [그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그리고/ [누군가 마음을 쓰고 있다는 것을/ 그들에 대해서]].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by[with/of/to]~)] “are cruddled, bounced,.... by an adult”
  • "어른에 의해 껴안기고, 얼러지고, 찔리고, 간질려지다"의 의미로 수동태.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목적] “~할 / ~하는/ ~하기 위한”
  • anything/ <to let them know>”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를 수식.
  • 5형식 문형 "사역동사(let) + 목적어(them)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을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대명사의 수 - 어법적 적설성 검토 3
  • them이 받는 대상은 "blind babies"로 them으로 받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know[that they are not alone]and[that someone caresabout them]"에서 "that"은 동사, "know"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그러면서, “that 절”의 병렬 구조.

문장 4

In this way, early experience operates with our biology ④ to establish social behaviors.

주요 단어 정리

  • in this way: 이런 식으로
  • early experience: 초기 경험
  • operate: 작용하다, 작동하다 (동의어: function, work)
  • biology: 생물학, cf. 여기서는 생리 작용(physiologic action)의 의미
  • establish: 확립하다, 형성하다 (동의어: build, form / 반의어: dismantle, disorganize)
  • social behavior: 사회적 행동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is way,/ early experience operates/ <with our biology(→physiologic action)>/
  • 이러한 방식으로,/ 초기 경험은 작용합니다/ <우리의 생물학(생리작용)과 함께>/
  • <to establish/ social behaviors>.
  • <확립하기 위해서/ 사회적 행동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어법적 적절성 검토 4
  • <to establish/ social behaviors>"에서 사용된 어법.  "사회적 활동들을 확립하기 위해서"의 의미로 전체적인 문장에 부합됩니다. 따라서,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적절한 표현의 유지 필요성
  • 이 글을 쓰신 분은 “biology”를 “생리 작용”의 의미로 사용하였으나 “physiologic action”으로 표현을 변경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문장 5

In fact, you don’t need the cases of blind babies to make the point. Babies with sight smile more at you when you look at them or, better still, ⑤ smiling back at them.

주요 단어 정리

  • in fact: 사실상
  • make the point: 요점을 말하다, 주장하다 cf. 여기서는 “그것을 설명하다(explain it)”의 의미 
  • better still: 더욱 더 좋은 것은
  • back: 다시, 도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fact,/ you don’t need/ <the cases/ of blind babies>/ <to make the point(→to explain/ it)>./
  • 사실,/ 당신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사례들을/ 시각 장애 아기들의>/ <요점을 만들기 위해(→설명하기 위해/ 그것을)>./
  • <Babies/ with sight>/ smile/ more/ at you/
  • <아기들은/ 시력이 있는>/ 미소 짓습니다/ 더 많이/ 당신에게/
  • [when you <look/ at them>/ or,/ better still,/ <⑤ smiling (→smile)/ back/ at them>].
  • [당신이 <바라볼 때/ 그들을>/ 또는,/ 더욱 더 좋은 것은,/ <⑤ 미소 지으면서 (→미소 지을 때)/ 다시/ 그들에게].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ake the point(→to explain/ it)>”에서 사용된 용법.
  • 적절한 표현의 유지 필요성
  • 이 글을 쓰신 분은 “to make the point를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서”의 의미로 사용하였으나 to explain/ it”으로 표현을 변경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어법적 적절성 검토 5
  • "[when you <lookat them>/ or,/ better still,/ <⑤ smiling (→smile)/ back/ at them>]"에서 "when 절" 내에 두 개의 동사구 "<lookat them>"와 "<⑤ smiling (→smile)/ back/ at them>"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입니다. 따라서, “smiling”은 어법적으로 병렬 구조를 맞추기 위해 “smile”로 수정되어야 함. 또한, 동사인 “smile“이 위치해야, 의미도 통합니다. 어법은 해석되는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법적으로 부적절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아기들은 신체적 상황과 무관하게 타인의 관심과 사회적 피드백을 받을 때 더 자주 미소를 짓습니다.지문에서 시각 장애 아기들이 사회적 피드백(껴안기, 간질이기 등)을 통해 미소를 유지한다는 점과, 시력을 가진 아기들도 타인의 시선이나 반응에 따라 미소 빈도가 증가한다는 점을 들어, 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 간의 밀접한 관계를 설명합니다.

어법상 틀린 부분

  • 동사가 와야할 자리로 ⑤ ”smiling” → “⑤ ”smile”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⑤

결론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아기들의 미소가 선천적 능력과 사회적 피드백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지되고 발전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 지문은 미소라는 단순한 행동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인간 행동 발달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줍니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생리적 메커니즘", "아기 미소의 지속과 강화", "피드백과 행동 발달" 같은 키워드를 통해 더 깊이 있는 학습이 가능할 것입니다.

학생들은 어법의 적절성 검토 문제를 통해 어법적으로 틀린 부분을 찾는 방법 이외에도 대부분의 경우, 어법 문제는 독해와 관련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됩니다. 아울러, 독해력이 갖춰져 있다면 어법의 적절성 판단을 해야 하는 문장만 독해하는 습관을 통해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자연스럽게 체득하리라 기대합니다.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고리 역할을 하는 청크(chunk)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200%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