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광고의 역설: 방해가 즐거움을 더한다?"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은 광고와 같은 "방해 요소"가 우리의 즐거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합니다. 광고처럼 부정적인 경험이 긍정적인 경험 사이에 끼어들 때, 오히려 적응이 방해되어 긍정적인 경험이 새롭고 더 즐겁게 느껴질 수 있다는 논리를 전개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의미의 단위 및 문법적 연결) 분석과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 및 구조적 차이를 바탕으로 한 의미 해석,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100%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한 경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Because people tend to adapt, interrupting positive things with negative ones can actually increase enjoyment. Take commercials. Most people hate them, so ① removing them should make shows or other entertainment more enjoyable. But the opposite is true. Shows are actually ② more enjoyable when they’re broken up by annoying commercials. Because these less enjoyable moments break up adaptation to the ③ positive experience of the show. Think about eating chocolate chips. The first chip is delicious: sweet, meltinyourmouth goodness. The second chip is also pretty good. But by the fourth, fifth, or tenth chip in a row, the goodness is no longer as pleasurable. We adapt. Interspersing positive experiences with less positive ones, however, can ④ accelerate adaptation. Eating a Brussels sprout between chocolate chips or viewing commercials between parts of TV shows disrupts the process. The less positive moment makes the ⑤ following positive one new again and thus more enjoyable.
* intersperse: 흩뿌리다 ** Brussels sprout: 방울양배추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2
Because people tend to adapt, interrupting positive things with negative ones can actually increase enjoyment. Take commercials.
주요 단어 정리
- tend to 부정사: ~하는 겅향이 있다
- adapt: 적응하다 (동의어: adjust / 반의어: resist)
- interrupt: 방해하다, 중단하다 (동의어: disrupt, pause / 반의어: continue)
- positive: 긍정적인 (반의어: negative)
- increase: 증가시키다
- enjoyment: 즐거움 (동의어: pleasure, delight / 반의어: displeasure)
- take: (예를) 들다
- commercial: 상업 광고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ecause people tend to adapt],/
- [사람들이 적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 <interrupting/ positive things/ with negative ones>/ can actually increase/ enjoyment.
- <방해하는 것은/ 긍정적인 것들을/ 부정적인 것들로>/ 실제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즐거움을.
- Take/ commercials.예를 들어 봅시다/ 광고를.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interrupting/ positive things/ with negative ones>“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현재 문장에서는, ”동사+ing“가 주어로 사용되고 동사구가 ”can actually increase“로 수의 일치와 무관합니다. 그러나 항상 주어와 동사를 확인하는 습관을 가지기 바랍니다. 유사한 예로 문장 4의 ”<removing/ them>/ should make“,와 문장 10의 ”<Interspersing/ ~ can accelerate/ adaptation“, 주어로 사용된 동명사입니다. 반면 문장 7의 ”<about eating/ chocolate chips>“ 전치사 about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입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부정 대명사 ”one“
- 앞 문장에서 사용된 명사 중 불특정한 대상을 지시할 때 사용. 이 문장에서는 ”ones“은, ”pleasurethings(것들)“을 대신하여 사용됨.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Take/ commercials”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문장 3~4
Most people hate them, so ① removing them should make shows or other entertainment more enjoyable. But the opposite is true.
주요 단어 정리
- hate: 싫어하다 (동의어: dislike, detest / 반의어: love)
- remove: 제거하다 (동의어: eliminate, take away / 반의어: add)
- entertainment: 오락
- enjoyable: 즐거운
- opposite: 반대 (동의어: reverse / 반의어: similar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ost people hate/ them,/
- 대부분의 사람들은 싫어합니다/ 그것들을(상업 광고들을)/
- so/ <removing/ them>/ should make/ <shows or other entertainment>/ more enjoyable.
- 그래서/ <제거하는 것은/ 그것들을(상업 광고들을)>/ 만들어야 합니다/ <쇼(들이)나 다른 오락을>/ 더 즐겁게.
- But/ the opposite is true.
- 하지만/ 그 반대가 사실입니다.
어법 설명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shows or other entertainment) + 목적격 보어(형용사; more enjoyable)"
-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어훠의 적절성 판단 1
- 이 글이 주장하는 바로 볼 때, ”① removing“은 적절합니다.
문장 5~6
Shows are actually ② more enjoyable when they’re broken up by annoying commercials. Because these less enjoyable moments break up adaptation to the ③ positive experience of the show.
주요 단어 정리
- annoying: 짜증 나게 하는 (동의어: irritating, bothersome / 반의어: pleasant)
- break up: 끊다
- adaptation: 적응 (동의어: adjustment / 반의어: resista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hows are actually more enjoyable/
- 쇼들은 실제로 더 즐겁습니다/
- [when they’re broken up/ by annoying commercials].
- [그것들이(쇼들이) 끊길 때/ 짜증나게 하는 광고(들)에 의해서].
- [Because <these less enjoyable moments> break up/ [adaptation/ <to the positive experience/ of the show>]].
- [<이 덜 즐거운 순간들이> 끊기 때문에/ [적응을/ <긍정적인 경험에 대한/ 그 쇼의>]].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어훠의 적절성 판단 2 & 3
- 이 글이 주장하는 바로 볼 때, ”② more“와 ”③ positive“은 적절합니다. 하지만 주제는 다소 주관적입니다. "좋은 흐름이 끊기는데 그것이 더 좋을 리가 없다"는 일반적 관점에서 설득력이 약합니다. 공적인 모의고사 지문에서는 주장과 논리가 독자에게 설득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장 7~8
Think about eating chocolate chips. The first chip is delicious: sweet, meltinyourmouth goodness.
주요 단어 정리
- delicious: 맛있는 (동의어: tasty, savory / 반의어: bland)
- melt-in-your-mouth: 입안에서 녹는
- goodness: 선량함, 이로운 부분, 영양분
- melt-in-your-mouth goodness: 입안에서 살살 녹는 좋은 맛(→a good taste that melts in the mouth)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nk/ <about eating/ chocolate chips>.
- 생각해 보세요/ 초콜릿 칩을 먹는 것에 대해.
- The first chip is delicious/: <sweet,/ melt-in-your-mouth goodness(→a good taste that melts in the mouth)>.
- 첫 번째 칩은/ 맛있습니다/: <달콤하고/ 입안에서 살살 녹는 선량함인(→입안에서 살살 녹는 좋은 맛인)>.
어법 설명
- 객관적 표현의 사용 필요성
- 이 문장에서 ”melt-in-your-mouth goodness“는 ”입에서 살살 녹는 좋은 맛“의 의미로 주관적으로 사용되었으나 ”a good taste that melts in the mouth“처럼, 보다 객관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문장 9~10
Interspersing positive experiences with less positive ones, however, can ④ accelerate adaptation. Eating a Brussels sprout between chocolate chips or viewing commercials between parts of TV shows disrupts the process.
주요 단어 정리
- intersperse: 흩뿌리다, 섞다 (동의어: mix, scatter / 반의어: group)
- accelerate: 가속화하다 (동의어: speed up, hasten / 반의어: slow down)
- disrupt: 방해하다 (동의어: interrupt, disturb / 반의어: facilit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terspersing/ positive experiences/ with less positive ones>,/ however,/ can accelerate/ adaptation.
- <섞는 것은/ 긍정적인 경험(들)을/ 덜 긍정적인 경험(들)과>,/ 그러나,/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적응을.
- [[Eating/ a Brussels sprout/ between chocolate chips]/ or/ [viewing/ commercials/ <between parts/ of TV shows>]]/ disrupts/ the process.
- [[먹는 것은/ 방울양배추를/ 초콜릿 칩(들) 사이에]/ 또는/ [보는 것은/ 광고들을/ <부분들 사이에/ TV 쇼들의>]]/ 방해합니다/ 그 (적응) 과정을.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Interspersing/ positive experiences/ with less positive ones>“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현재 문장에서는, ”동사+ing“가 주어로 사용되고 동사구가 ”can accelerate“로 수의 일치와 무관하나, 항상 주어와 동사를 확인하는 습관을 갖기를 바랍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주어가 ”A or B“의 형태인 경우, 동사에 가까운 B에 수의 일치를 합니다. ”B(viewing~)“인, 동명사로 단수 취급하기에, 동사도 단수 동사인 ”disrupts“를 사용.
- 어훠의 적절성 판단 4
- 이 글이 주장하는 바로 볼 때, ”④ accelerate“는 문맥상 적합하지 않습니다. 문맥상 ‘Accelerate'는 긍정적 의미로 사용되지만, 글의 주요 논지는 부정적인 경험이 긍정적인 경험 사이에서 '적응을 방해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disrupt"로 수정해야 문맥에 부합합니다.
문장 11~12
The less positive moment makes the ⑤ following positive one new again and thus more enjoyable.
주요 단어 정리
- following: 다음의 (동의어: subsequent, next / 반의어: previou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less positive moment makes/ the following positive one/ [<new/ again>/ and thus/ <more enjoyable>].
- 덜 긍정적인 순간이 만듭니다/ 다음의 긍정적인 순간을/ [<새롭게/ 다시>/ 그리고 그렇게 해서/ <더 즐겁게>].
어법 설명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
- “makes/ the following positive one/ [<new/ again>/ and thus/ <more enjoyable>]”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부정 대명사 ”one“
- 앞 문장에서 사용된 명사 중 불특정한 대상을 지시할 때 사용. 이 문장에서는 ”one“은, ”moment(순간)“을 대신하여 사용됨.
- 어휘의 적절성 판단 5
- 이 글이 주장하는 바로 볼 때, ”⑤ following“는 적절합니다.
- 주관적 주장임의 확인
- 문장 10의 마지막에 나오는 "the process"를 더 정확히 표현하면 "the adaptation process to positive experiences"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마치 긴 영화 중간에 광고가 삽입되어 흐름이 끊기면 몰입이 방해되는 경우와 유사합니다. 이 글은 오히려 "흐름의 끊김"이 "재미를 증가시킨다"는 주장을 펼칩니다. 이는 일반적인 독자의 사고방식과 충돌하는 "주관적이고 납득하기 어려운 주장"에 해당합니다. 모의고사 지문으로는 부적합한 주제일 수 있습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글의 핵심은 부정적인 경험이 긍정적인 경험 사이에 섞여 있을 때, 긍정적인 경험이 더욱 새롭고 즐겁게 느껴진다는 점입니다.
문맥상 부적절한 표현
- 이 글의 주장을 근거로 볼 때, ④ accelerate: 문맥상 “적응을 가속화한다”가 아니라, “적응을 방해한다”는 의미가 필요하므로 disrupt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정답 제시
따라서, 정답은 ④ accelerate(→disrupt) 입니다.
결론
"광고를 싫어하나요? 광고가 재미를 더할 수도 있습니다!"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은 "방해"가 긍정적인 경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음을 제안합니다. 부정적인 경험이 긍정적인 경험 사이에 들어감으로써 적응 과정이 끊기고, 다음 긍정적인 경험이 더욱 즐겁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이 전달하는 메시지와 논리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적응의 방해와 즐거움의 상관관계", "광고의 심리적 효과", "긍정과 부정 경험의 교차" 같은 핵심 키워드를 활용하면 관련 학습과 토론에 유익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