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매몰비용 오류와 도박 심리의 혼용"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매몰비용의 오류(sunk cost fallacy)를 다루고 있습니다. 매물비용의 오류란 이미 실패한 또는 실패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에 시간, 노력, 돈을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이 지문은 빈칸이 지문의 맨 마지막에 위치하므로 “아래에서 위로” 독해해 올라가면서 단서를 찾으시면 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2.
If we’ve invested in something that hasn’t repaid us ― be it money in a failing venture, or time in an unhappy relationship ― we find it very difficult to walk away. This is the sunk cost fallacy. Our instinct is to continue investing money or time as we hope that our investment will prove to be worthwhile in the end. Giving up would mean acknowledging that we’ve wasted something we can’t get back, and that thought is so painful that we prefer to avoid it if we can. The problem, of course, is that if something really is a bad bet, then staying with it simply increases the amount we lose. Rather than walk away from a bad fiveyear relationship, for example, we turn it into a bad 10year relationship; rather than accept that we’ve lost a thousand dollars, we lay down another thousand and lose that too. In the end, by delaying the pain of admitting our problem, we only add to it. Sometimes we just have to ___________________.
① reduce profit ② offer rewards ③ cut our losses
④ stick to the plan ⑤ pay off our debt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If we’ve invested in something that hasn’t repaid us ― be it money in a failing venture, or time in an unhappy relationship ― we find it very difficult to walk away.
주요 단어 정리
- invest in~: ~에 투자하다
- repay: 보답하다, 갚다 (동의어: compensate, reimburse / 반의어: owe, retain)
- venture: 모험, 벤처 사업 (동의어: enterprise, project)
- walk away: 떠나다, 그만두다
- be it A or B: 그것이 A이든지 B이든지(→whether it is A or B)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we’ve invested/ [in something/ that hasn’t repaid/ us]]/
- [만약 우리가 투자했다면/ [어떤 것에/ 보답하지 않은/ 우리에게]]/
- ―/ [be it(→whether it is) <money/ in a failing venture]>/ or/ <time/ in an unhappy relationship>] /
- ―/즉/ [그것이 <돈이든/ 실패하는 사업에서의(사업에 투자된)>/ 혹은/ <시간이든/ 불행한 관계에서의(불행한 관계에 투자된)>]/
- we find/ it/ very difficult/ <to walk away>.
- 우리는 생각합니다/ 그것을/ 매우 어렵다고/ <떠나는 것을>.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현재완료 시제[have+pp] “have invested” & “hasn’t repaid”
- “have invested”는 “과거에서 현재 사이의” 결과적 상태를, “hasn’t repaid” 상태의 계속을 의미합니다.
- "Be it A or B": 공적인 문서에 부적절한 이유
- "Be it A or B"는 문학적이고 비표준적인 표현으로, 공적인 문서(예: 모의고사)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Whether it is A or B"와 같은 표준 표현이 적합하며, 이는 명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고 교육적 목적에도 부합합니다.
- 5형식 기본 문형 "find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find/ it/ very difficult"에서 사용된 어법.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It(가목적어) ~ to 부정사(진목적어) 용법
- “we find/ it/ very difficult/ <to walk away>”에서 ”it“는 가목적어, ”to walk away”는 진목적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의 의미로는, “우리는 떠나는 것을 어렵다고 생각합니다”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에서처럼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빈칸이 지문의 끝부분에 있는 경우 접근 방법
- 빈칸이 있는 문장을 먼저 해석한 다음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독해하면서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문장 2
This is the sunk cost fallacy.
주요 단어 정리
- sunk cost: 매몰 비용
- fallacy: 오류, 잘못된 믿음 (동의어: misconception, false belief / 반의어: truth)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the sunk cost fallacy.
- 이것은 매몰 비용의 오류입니다.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3
Our instinct is to continue investing money or time as we hope that our investment will prove to be worthwhile in the end.
주요 단어 정리
- instinct: 본능 (동의어: intuition, impulse)
- continue ~ing: 계속해서 ~하다
- investment: 투자
- prove to be~: ~임이 판명되다 (동의어: turn out, verify / 반의어: disprove)
- worthwhile: 가치 있는 (동의어: valuable, beneficial / 반의어: pointless, worthless)
- in the end: 결국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ur instinct is to continue/ [investing/ <money or time>]/
- 우리의 본능은 지속하는 것입니다/ [투자하는 것을/ <돈이나 시간을>]/
- [as we hope/ [that our investment will prove/ to be worthwhile/ in the end]].
- [우리가 희망하기 때문에/ [우리의 투자가 판명될 것이라고/ 가치 있는 것으로/ 결국에]].
어법 설명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할 때/~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hope/ [that our investment will prove/~]"에서 "that"은 동사, "hope"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is to continue”와 “to be worthwhile”에서 사용된 용법. 각각 “지속하는 것이다”로 해석되나 “가치 있는 것으로 (판명될 것이다)”로 해석됩니다.
문장 4
Giving up would mean acknowledging that we’ve wasted something we can’t get back, and that thought is so painful that we prefer to avoid it if we can.
주요 단어 정리
- give up: 포기하다 (동의어: quit, abandon / 반의어: persevere, continue)
- mean: 의미하다
- acknowledge: (권위나 자격을) 인정하다 (동의어: admit, accept / 반의어: deny)
- waste: 낭비하다 (동의어: squander / 반의어: save)
- get back: 되찾다
- thought: 생각, 사고
- painful: 고통스러운 (동의어: agonizing, distressing / 반의어: pleasant, comforting)
- prefer: 선호하다, 더 좋아하다
- avoid: 피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Giving up would mean/ [acknowledging(→admitting)/ [that we’ve wasted/ [something/ (that) we can’t get back]]],/
- 포기하는 것 의미할 것입니다/ [인정하는 것을/ [우리가 낭비했다는 것을/ [무언가를/ [우리가 되찾을 수 없는]]],/
- and/
- 그리고/
- that thought is so painful/ [that we prefer/ <to avoid/ it>/ [if we can (avoid/ it)]].
- 그 생각이 너무 고통스러워서/ [우리가 선호합니다/ <피하기를/ 그것을>/ [우리가 (피)할 수 있다면/ (그것을)]].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Giving up“에서는 주어로, ”acknowledging“에서는 목적어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acknowledging(→admitting)/ [that we’ve wasted/~]]"에서 "that"은 동명사, "acknowledging"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다만, 이 경우는 ”권위나 자격따위를 인정하다“의 의미인 “acknowledge”보다는 “실수나 잘못 따위에 대해 인정한다”의 의미인 “admit”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의 생략
- “[something/ (that) we can’t get back]”에서 “선행사, “something”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이 생략된 구조. “우리가 되찾을 수 없는 무언가”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so + 형용사/부사+ that + 주어 + 동사“ 용법
- ”너무 –해서 ~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prefer/ <to avoid/ it>에서 사용된 용법.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문장 5
The problem, of course, is that if something really is a bad bet, then staying with it simply increases the amount we lose.
주요 단어 정리
- bad bet: 나쁜 선택, 위험한 도박
- amount: 양, 금액
- lose: 잃다 (동의어: forfeit, misplace / 반의어: gain, acqui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problem,/ of course,/ is [that/ [if something really is a bad bet],/ then/ <staying/ with it>/ simply increases/ [the amount/ (which or that) we lose]].
- 문제는,/ 물론,/ [[만약 어떤 것이 정말로/ 나쁜 선택이라면],/ 그러면/ <남아 있는 것이/ 그것과 함께>/ 단순히 증가시킨다는 것입니다/ [양을/ 우리가 잃는]].
어법 설명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problem,/ of course,/ is [tha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구나 절을 삽입할 때 범한 사소한 오류
- "[that/ [if something really is a bad bet],/~]"에서 발생한 오류로, 영어에서는 구나 절을 삽입할 때 그 앞뒤로 comma(,)로 분리하는 것이 원칙이나 이것이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that,/ [if something really is a bad bet],/~]”로 변경해야 합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staying/ with it>“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아울러, ”staying~“이 단수 주어로 사용되어 동사도 단수 형태인, ”increases“가 왔습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amount/ (which or that) we lose]”에서 “선행사, “the amount”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조. “우리가 잃은(손실하는) 양”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빈칸의 추론
- 해설자의 경우, “위에서 아래로” 지문을 읽어 왔고 현재까지의 내용을 보면 “잘못된 투자인 줄 알지만 인정하기 싫어서 더 투자하게 되어 더 큰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 가장 빈칸에 적절한 답은 ③번 “손실을 줄이다(cut our losses)”입니다.
문장 6
Rather than walk away from a bad five-year relationship, for example, we turn it into a bad 10-year relationship; rather than accept that we’ve lost a thousand dollars, we lay down another thousand and lose that too.
주요 단어 정리
- rather than~: ~라기보다는
- turn A into B: A를 B로 바꾸다
- lay down: 투자하다, 쓰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ather than walk away/ from a bad five-year relationship],/
- [떠나기보다는/ 나쁜 5년간의 관계에서],/
- we turn/ it/ into a bad 10-year relationship/
- [우리는 그것을 바꿉니다/ ~로/ 나쁜 10년간의 관계로];/
- ;/ [rather than accept/ [that we’ve lost/ a thousand dollars]],/
- 다시 말해서/ [받아들이기보다는/ [우리가 잃었다는 것을/ 1,000달러를]],/
- we <lay down/ another thousand>/ and/ <lose/ that/ too>.
- 우리는 <투자합니다/ 또 다른 1,000달러를>/ 그리고/ <잃습니다/ 그것/ 또한>.
어법 설명
- rather than 비교의 대상
- “rather than+비교 대상“의 구조로 이 문장에서는 동사를 비교하고 있어서 ”비교 대상“으로 동사가 위치한 것입니다. 이 부분도 자주 출제되므로 무엇을 비교하는지 확실히 이해해야 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accept/ [that we’ve lost/ a thousand dollars]"에서 "that"은 동사, "accept"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lay down/ another thousand>와 <lose/ that/ too>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문장 7
In the end, by delaying the pain of admitting our problem, we only add to it.
주요 단어 정리
- in the end: 결국
- delay: 지연시키다
- admit: (실수나 잘못 따위를) 인정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e end,/ [by delaying/ [the pain/ <of admitting/ our problem>]],/
- 결국,/ [지연시킴으로써/ [고통을/ <인정하는 것의/ 우리의 문제를>]],/
- we only add/ to it.
- 우리는 단지 더할 뿐입니다/ 그것에.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delaying/ [the pain/ <of admitting/ our problem>]]“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문장 8
Sometimes we just have to _______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cut losses: 손해를 줄이다, 손절하다
- stick to the plan: 계획을 고수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metimes/ we just have to ___________________.
- 때로는/ 우리는 단지 해야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
빈칸 추론
- 문장 7에서 "우리의 문제를 지연시키는 행위가 문제를 더 키운다"는 식의 표현을 사용했으므로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 무리가 해야할 일을 보기에서 선택하면, "③ cut our losses"뿐입니다.
- 문맥상, 매몰비용의 오류(sunk cost fallacy)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손해를 줄이는 결정을 내려야 함.
- "cut our losses(손해를 줄이다)"가 가장 적합합니다.
- 다만, 문장의 마지막에 "by admitting it"정도를 삽입하면 논리적으로 더 적절할 것입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지문은 매몰비용의 오류(sunk cost fallacy)를 다루며, 손실을 인정하고 이를 줄이는 것이 더 큰 손해를 막는 길임을 강조합니다.
정답 도출 과정
- 빈칸 앞 문장에서 매몰비용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암시됨.
- "Sometimes we just have to ___________________"에서 정답으로 "cut our losses(손해를 줄이다)"가 가장 적합합니다.
정답 도출
- 따라서, "③ cut our losses"이 정답입니다.
결론
"때로는 손해를 인정해야 할 때!"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손실을 인정하지 못하는 심리적 경향이 어떻게 더 큰 손해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경고합니다. 매몰비용의 오류를 극복하려면, 때로는 “손실을 줄이고(cut our losses)” 나아가는 결정을 내려야 함을 강조합니다.문장별 분석에는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의 핵심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매몰비용", "손해의 인정", "합리적 선택" 같은 키워드는 관련 학습과 토론에 유용할 것입니다. 아울러, 지문 내 포함된 오류까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