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금융시장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며, 빈칸 추론 문제의 정답을 찾기 위해 문장별로 치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금융시장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주요 어휘, 어법, 논리적 구조를 파악하며, 정답이 ② "earning income has been divorced from spending it"임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특히, 지문 내에서 빈칸이 마지막에 위치한 만큼,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독해하며 핵심 논리를 연결하는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Financial markets do more than take capital from the rich and lend it to everyone else. They enable each of us to smooth consumption over our lifetimes, which is a fancy way of saying that we don’t have to spend income at the same time we earn it. Shakespeare may have admonished us to be neither borrowers nor lenders; the fact is that most of us will be both at some point. If we lived in an agrarian society, we would have to eat our crops reasonably soon after the harvest or find some way to store them. Financial markets are a more sophisticated way of managing the harvest. We can spend income now that we have not yet earned ―as by borrowing for college or a home ―or we can earn income now and spend it later, as by saving for retirement. The important point is that __________________, allowing us much more flexibility in life. [3점]
* admonish: 권고하다 ** agrarian: 농업(농민)의
① we can ignore the complexity of financial markets
② earning income has been divorced from spending it
③ financial markets can regulate our impulses
④ we sell our crops as soon as we harvest them
⑤ managing working hours has become easier than ever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Financial markets do more than take capital from the rich and lend it to everyone else.
주요 단어 정리
- financial market: 금융시장
- capital: 자본 (동의어: funds, resources / 반의어: debt, liability)
- lend: 빌려주다 (동의어: loan, offer / 반의어: borrow)
- everyone else: 다른 모든 사람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inancial markets do/ more/
- 금융시장은 합니다/ 더 많은 일을/
- [than <take/ capital/ from the rich>/ and/ <lend/ it/ to everyone else>].
- [<가져오는 것보다/ 자본을/ 부자들로부터>/ 그리고/ <빌려주는 것보다/ 그것을/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어법 설명
- 비교 구문 "do more than A and B"
- 금융시장이 단순히 "A(부자로부터 자본을 가져오고)"와 "B(그 자본을 빌려주는 것)" 이상을 한다는 것을 의미.
- than+비교 대상에 비교 대상의 병렬 연결"
- <take/ capital/ from the rich>와 <lend/ it/ to everyone else>를 and로 연결한 병렬 구조.
- 빈칸이 지문 마지막에 있는 문제 유형의 접근 방법
- 첫째, 빈칸을 포함한 문장을 독해합니다. 둘째, 보기를 독해합니다. 셋째, ”위에서 아래로(두괄식)“ ”아래에서 위로(미괄식)“으로 독해하면서 빈칸에 들어갈 말을 추론해 나갑니다. 넷째, 두괄식 문장의 경우, 거의 첫 문장부터 결론을 진술하기 때문에 첫 문장을 읽고 결정적인 내용이 전개되지 않는다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해 가는 것도 유용한 방법입니다. 첫 문장은 금융시장의 역할이 예금과 대출 기능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진술했습니다. 첫 문장부터 어느 정도 의미가 있는 진술이기 때문에 읽어내려갑니다.
문장 2
They enable each of us to smooth consumption over our lifetimes, which is a fancy way of saying that we don’t have to spend income at the same time we earn it.
주요 단어 정리
- enable: 가능하게 하다 (동의어: allow, facilitate / 반의어: prevent, hinder)
- smooth: 부드럽게 하다, 안정되게 하다
- fancy way of saying~: ~을 다르게 표현한 방식
- income: 수입 (동의어: earnings, revenue / 반의어: expense, lo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enable/ <each/ of us>/ <to smooth/ consumption>/ over our lifetimes,/
- 그것들은 가능하게 합니다/ 우리 각자가/ <안정되게 하도록/ 소비를>/ 우리들 평생에 결쳐서/
- , which is [a fancy way/ [of saying/ [that we don’t have to spend/ income/ [at the same time/ (when) we earn/ it]]]].
- 그리고 그것은/ [멋진 방식입니다/ [말하는 [우리가 수입을 소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같은 시간에/ 우리가 번/ 그것을(우리가 그것을 벌자마자)]]]].
어법 설명
- 5형식 문형 "enabl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enable/ <each/ of us>/ <to smooth/ consumption>”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enable”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which is [a fancy way/ [of saying/~”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일부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로 해석합니다. 여기서는 의미상 “”처럼 제한적 용법으로 쓰는 것이 더 바람직해 보입니다.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로 쓰이는 이유
- “[of saying/~]”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시작하여 마치는 것과 관련된 더 나은 기회”를 의역하여 “시작하고 끝내는 더 나은 기회”로 번역이 되는 것입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aying/ [that we don’t have to spend/~]"에서 "that"은 동명사, "saying"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관계부사의 생략
- "[at the same time/ (when) we earn/ it]"에서 생략된, “(when)”는 시간 선행사, “the same time”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우리가 그것을 번 동일한 시간에(우리가 그것을 벌자마자)”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빈칸의 추론
- 문장 1에서 금융시장의 예금과 대출 기능 외 “평생 안정화 기능”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아직 이 내용을 포괄하는 보기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 저는 다시 “아래에서 위로” 독해합니다.
문장 3
Shakespeare may have admonished us to be neither borrowers nor lenders; the fact is that most of us will be both at some point.
주요 단어 정리
- may have+pp: ~이었을지도 모르다
- admonish: 권고하다 (동의어: advise, caution / 반의어: praise, encourage)
- neither A nor B: A도 B도 아닌
- borrower: 빌리는 사람
- lender: 빌려주는 사람
- at some point: 어느 시점에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hakespeare may have admonished/ us/ <to be neither borrowers nor lenders>/
- 셰익스피어는 권고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에게/ <빌리는 자도, 빌려주는 자도 되지 말라고>/
- ;(→but/however)/ the fact is [that <most/ of us> will be both/ at some point].
- 그러나/ 사실은/ [<대부분이/ 우리의> 둘 다가(빌리는 자와 빌려주는 자가) 될 거라는 것입니다/ 어느 시점에서].
어법 설명
- 5형식 문형 "admonish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may have admonished/ us/ <to be neither borrowers nor lenders>”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admonish”를 포함한 “충고“ 뜻의, 대부분의 동사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neither A nor B" 구조
- "A도 B도 아니다"라는 부정 표현.
- 문맥상 but의 의미로 사용된 semi-colon(;)
- 문장 부호 semi-colon(;)은 문장 성분을 부연 설명할 때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문맥상 but이나 however를 사용하는 것은 공식 문서인 모의고사에서는 부적절합니다.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s [that <most/ of us> will be both/ at some poin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문장 4
If we lived in an agrarian society, we would have to eat our crops reasonably soon after the harvest or find some way to store them.
주요 단어 정리
- agrarian society: 농업 사회
- reasonably: 적당히 (동의어: moderately, fairly / 반의어: excessively, irrationally)
- soon after~: ~하자마자
- harvest: 수확
- store: 저장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we lived/ in an agrarian society],/
- [만약 우리가 산다면/ 농업 사회에서],/
- we [would have to eat/ our crops/ reasonably/ soon after the harvest]/ or/ [(would have to) find/ [some way/ <to store/ them>]].
- 우리는 [먹어야 할 겁니다/ 우리의 작물을/ 적당히/ 수확하자마자]/ 혹은/ [찾아야 할 겁니다/ [어떤 방법을/ <저장할/ 그것들을>]].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
- [If we lived/ in an agrarian society] we [would have to eat/~]/ or/ [(would have to) find/~]"에서 사용된 용법. 현재 사실과 반대, 현재의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따라서 동사는 과거형 "lived"로 사용되었습니다. 현재 시제로 해석합니다. 표준 문형은 “If+주어+과거형 동사[be 동사는 인칭에 무관 were]+..., 주어+would[should / could / might]+동사원형+~”입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두 개의 동사구 병치
- [would have to eat/ our crops/ reasonably/ soon after the harvest]와 [(would have to) find/ [some way/ <to store/ them>]]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목적] “~할 / ~하는/ ~하기 위한”
- “[some way/ <to store/ them>]”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some way”를 수식.
문장 5
Financial markets are a more sophisticated way of managing the harvest.
주요 단어 정리
- sophisticated: 정교한, 세련된 (동의어: advanced, complex / 반의어: simple, crud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inancial markets are [a more sophisticated way/ <of managing/ the harvest>].
- 금융시장들은/ [더 정교한 방법입니다/ <관리하는/ 수확을>].
어법 설명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of managing/ the harvest>”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시작하여 마치는 것과 관련된 더 나은 기회”를 의역하여 “시작하고 끝내는 더 나은 기회”로 번역이 되는 것입니다.
문장 6
We can spend income now that we have not yet earned ― as by borrowing for college or a home ― or we can earn income now and spend it later, as by saving for retirement.
주요 단어 정리
- as by~: 예를 들어 ~에 의해서, ~으로
- borrow for~: ~을 위해 빌리다
- retirement: 은퇴 (동의어: pensionable period / 반의어: employme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can spend/ [income/ now/ that we have not yet earned]/
- 우리는 소비할 수 있습니다/ [소득을/ 지금/ 아직 벌지 않은]/
- ― [as/ by borrowing/ <for college or a home>]―/
- ― [예를 들어/ 빌림으로써/ <대학이나 집을 위해>―/
- or/ we <can earn/ income/ now>/ and/ <spend/ it/ later>,/
- 혹은/ 우리는 <벌 수 있습니다/ 소득을/ 지금>/ 그리고/ <소비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나중에>,/
- [as/ by saving/ for retirement]].
- [예를 들어/ [저축함으로써/ 은퇴를 위해]].
- 어법 설명
- 선행사와 주격 관계대명사의 의도적 분리
- “[income/ now/ that we have not yet earned]”에서 “now“가 선행사와 관계절을 의도적으로 분리하고 있어 수식 구조가 망가졌습니다. 영어의 기본 원칙 중 ”수식하는 말“과 ”수식 받는 말“은 분리할 수 없다는 원칙이 있습니다. 적절하게 다시 쓰면, ”[income/ that we have not yet earned]/ now“가 됩니다.
- as by ~ing와 by ~ing의 의미적 차이
- "as by ~ing“는 ”예를 들어, ~함으로써"이고 "by ~ing“는 ”~함으로써"입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두 개의 동사구 병치
- <can earn/ income/ now>와 <spend/ it/ later>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빈칸의 추론
- 문장 6에서는 수입(미래 수입 포함)의 즉각적인 소비나 저축의 선택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어 다시 이를 대표할 수 있는 보기가 있나 살펴보면 “② earning income has been divorced from spending it(소득을 버는 것이 소득을 지출하는 것과 분리되었다).“ 뿐입니다.
문장 7
The important point is that __________________, allowing us much more flexibility in life.
주요 단어 정리
- flexibility: 유연성 (동의어: adaptability, pliability / 반의어: rigidity, inflexibil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important point is [that __________________],/
- 중요한 점은/ [__________________라는 것이다],/
- [allowing/ us/ much more flexibility/ in life].
- [허용하면서/ 우리에게/ 훨씬 더 많은 유연성을/ 삶에서].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allowing/ us/ much more flexibility/ in life]”은 [while it allows/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earning income)가 생략되고 동사 allows가 allow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
-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금융시장은 개인의 수입과 지출을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삶의 유연성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빈칸 추론 & 근거 문장
- We can spend income now that we have not yet earned ― as by borrowing for college or a home ― or we can earn income now and spend it later, as by saving for retirement.
- 문장 6에서 "수입과 지출이 반드시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는 개념을 전달하며, 문장 7의 빈칸에 이를 요약한 표현이 들어가야 합니다.
정답 도출
- ② earning income has been divorced from spending it수입과 지출이 분리되었다는 내용이 지문의 핵심 주장과 일치합니다.
결론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금융시장이 단순히 자본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개인의 수입과 지출을 시간적으로 분리하며 삶에 유연성을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earning income has been divorced from spending it"으로, 이는 지문에서 금융시장이 현재와 미래의 소비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내용을 정확히 반영합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