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6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6번 문제는 뇌의 에너지 효율성과 제한된 정보 처리 능력이 우리의 인지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내용입니다. 뇌가 모든 정보를 처리하지 않고, 최소한의 정보를 활용해 효율적으로 작동하려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며, 이를 마술사와 교통사고 사례로 구체화합니다.

순서 배열 문제에 대한 Tip을 드리자면, 각 단락 간의 논리적 관계뿐만 아니라 각 단락 내에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어휘를 바꿔서 표현하지만, 반복되는 표현에 유의하면서 순서를 파악해 나가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장 배열 순서를 논리적으로 찾아내어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6.

Brains are expensive in terms of energy. Twenty percent of the calories we consume are used to power the brain. 

(A) By directing your attention, they perform tricks with their hands in full view. Their actions should give away the game, but they can rest assured that your brain processes only small bits of the visual scene.

(B) So brains try to operate in the most energy­efficient way possible, and that means processing only the minimum amount of information from our senses that we need to navigate the world. Neuroscientists weren’t the first to discover that fixing your gaze on something is no guarantee of seeing it. Magicians figured this out long ago.

(C) This all helps to explain the prevalence of traffic accidents in which drivers hit pedestrians in plain view, or collide with cars directly in front of them. In many of these cases, the eyes are pointed in the right direction, but the brain isn’t seeing what’s really out there. 

* prevalence: 널리 행하여짐 ** pedestrian: 보행자 *** collide: 충돌하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6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Brains are expensive in terms of energy. Twenty percent of the calories we consume are used to power the brain.

주요 단어 정리

  • expensive: 비용이 많이 드는 (동의어: costly, demanding / 반의어: cheap, affordable)
  • in terms of~: ~의 측면에서
  • calorie: 칼로리 (동의어: unit of energy)
  • power: 동력을 공급하다 (동의어: energize, fue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rains are expensive/ <in terms/ of energy>.
  • 뇌는 비용이 많이 듭니다/ <측면에서/ 에너지의>.
  • [Twenty percent/ [of the calories/ (which or that) we consume]]/ are used/ <to power/ the brain>.
  • [20%가/ [칼로리들의/ 우리가 섭취하는]]/ 사용됩니다/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뇌에>.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부분/분수 뜻의 명사+of+복수명사”는 복수 취급을 합니다. 두 번째 문장의 주어는, ”Twenty percent”로 복수이기에,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의 형태로, ”are used“.
  • 수동태[be + pp] “are used”
  • "사용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calories/ (which or that) we consume”에서 “선행사, “the calorie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조. “우리가 소비하는 칼로리”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power/ the brain>”에서 사용된 용법.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
  • 순서 배열 문제(문장 삽입 포함)는 접속부사(구), 접속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와 지시 대명사, 반복되는 의미 등에 특히 유의하여 문장의 흐름을 파악해야 합니다. 제시문의 경우, 뇌의 에너지 소모 측면에서 (부피 대비) 과잉 소비의 내용으로 시작합니다. 

단락 (A)

By directing your attention, they perform tricks with their hands in full view. Their actions should give away the game, but they can rest assured that your brain processes only small bits of the visual scene.

주요 단어 정리

  • direct: (주의를) 돌리다 (동의어: focus, aim / 반의어: distract)
  • attention: 주의, 주목, 관심
  • perform tricks: 속임수를 부리다, 재주[묘기]를 부리다
  • in full view: 완전히 보이는 곳에서
  • give away: 드러내다, 폭로하다 (동의어: reveal, expose / 반의어: conceal, hide)
  • rest assured: 안심하다 (동의어: feel confident, be assured)
  • process: 처리하다
  • small bits: 작은 부분
  • visual scene: 시각 장면, 여기서는 문맥상 시각 정보(→visual inform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y directing/ your attention>,/ they perform/ tricks/ with their hands/ in full view.
  • <돌림으로써/ 당신의 주의를>,/ 그들은 수행합니다/ 속임수를(속임수를 부립니다)/ 그들의 손으로/ 완전히 보이는 곳에서.
  • Their actions should give away/ the game,/ but/ they can rest assured/ [that your brain processes/ <only small bits/ of the visual scene(→visual information)>.
  • 그들의 행동이 드러낼 것입니다/ 그 게임을(속임수를),/ 그러나/ 그들은 안심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뇌가 처리한다는 것을/ <단지 작은 부분들만/ 시각 장면(→시각 정보)의>.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directing/ your attention“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돌리는 것에 의해서“를 ”돌림으로써“로 의역한 것.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should + 동사 원형
  • "should give away"는 "당연히 ~해야 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can rest assured/ [that your brain processes/~]"에서 "that "은 동사구, "can rest assure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에 따른 과정 1
  • 제시문 어법 설명에서 말한 바와 같이 단락, (A)에서, 인칭 대명사 “they”가 등장합니다. 이 “they”가 지시하는 내용을 찾아야 합니다. 

단락 (B)

So brains try to operate in the most energy-efficient way possible, and that means processing only the minimum amount of information from our senses that we need to navigate the world. Neuroscientists weren’t the first to discover that fixing your gaze on something is no guarantee of seeing it. Magicians figured this out long ago.

주요 단어 정리

  • operate: 작동하다
  • energy-efficient: 에너지 효율적인
  • possible: 가능한
  • process: 처리하다 (동의어: handle, manage / 반의어: ignore, neglect)
  • minimum: 최소의 (동의어: least, smallest / 반의어: maximum)
  • amount: 양
  • sense: 감각
  • need: 필요로 하다
  • navigate: 다루다, 항해하다, 방향을 찾다
  • neuroscientist: 신경과학자
  • fix one’s gaze: 시선을 고정하다
  • guarantee: 보장 (동의어: assurance, promise / 반의어: doubt, uncertainty)
  • magician: 마술사
  • figure A out: A를 알아내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 brains try/ to operate/ [in the most energy-efficient way/ (that is) possible].
  • 그래서/ 뇌는 노력합니다/ 작동하기 위해서/ [가장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으로/ 가능한].
  • and/
  • 그리고/
  • that means/ [processing/ [only the minimum amount/ [of information/ [from our senses/ that we need/ <to navigate/ the world>]]]].
  • 그것은 의미합니다/ [처리한다는 것을/ [최소한의 양만을/ [정보의/ [우리의 감각들로부터 온]/ 우리가 필요로 하는/ <항해하기 위해서/ 세상을>]]]].
  • Neuroscientists weren’t/ [the first/ [to discover/ [that <fixing/ your gaze/ on something>/ is no [guarantee/ <of seeing/ it>]]]].
  • 신경과학자들이 아니었습니다/ [그 첫 번째가/ [발견한/ [<고정하는 것이/ 당신의 시선을/ 무언가에>/ 아니란 것을/ [보장이/ <보는 것의/ 그것을>]]]].
  • Magicians figured this out/ long ago.
  • 마술사들은 이것을 알아냈습니다/ 오래전에.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operate/ [in the most energy-efficient way/~]”와 “<to navigate/ the world>”에서 사용된 용법.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the most energy-efficient way/ (that is) possible”에서 “(that is)는 선행사, “the most energy-efficient way”를 수식하여, “가능한 가장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의 의미를 전달. 다만, 어법적으로 문제는 없으나 “the most possible energy-efficient way”로 단순하게 표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our senses/ that we need/~”에서 “선행사, ”that”은 선행사, “our sense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세상을 항해하기 위하여 우리가 필요로 하는 우리의 감각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한)/ ~하기 위한”
  • the first/ [to discover/~]”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first”를 수식.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discover[that <fixing/ your gaze/ on something>/ is no [guarantee/ <of seeing/ it>]]"에서 "that"은 동사, "discover"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동명사 주어 & 수의 일치
  • <fixing/ your gaze/ on something>/ is no [guarantee/ <of seeing/ it>]”에서 “fixing”은 주어로 사용된 동명사로 “고정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며 단수 취급하여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가 사용되었습니다. “seeing” 역시 동명사로 “보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에 따른 과정 2
  • 제시문에서 나온 내용인 “뇌의 에너지 소모 측면에서 (부피 대비) 과잉 소비”와 접속사, “So(그래서)“가 뒤에 이어지는, ”뇌가 에너지 효율적이 되기 위한 전략“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므로 제시문 뒤에 (B)가 와야 하고, 단락, (A)에서 등장한 ”they“가 바로 단락, (B) 후반부에 등장하는, ”magicians“임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B) - (A)의 어순이 적절하므로 (C)로 이어진다고 ②번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단락 (C)

This all helps to explain the prevalence of traffic accidents in which drivers hit pedestrians in plain view, or collide with cars directly in front of them. In many of these cases, the eyes are pointed in the right direction, but the brain isn’t seeing what’s really out there.

주요 단어 정리

  • explain: 설명하다
  • prevalence: 만연함, 널리 퍼짐, 유행 (동의어: frequency, commonness / 반의어: rarity)
  • traffic accident: 교통사고
  • pedestrian: 보행자
  • in plain view: 똑똑히 보이는
  • collide: 충돌하다 (동의어: crash, hit / 반의어: avoid)
  • directly: 바로
  • in front of~: ~앞에서
  • point: 향하다, 향하게 되다
  • in the right direction: 올바른 방향으로
  • out there: 거기 밖에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all helps/ [to explain/ [the prevalence/ [of traffic accidents/ in which/ drivers <hit/ pedestrians/ in plain view>,/ or/ <collide/ with cars/ directly/ in front of them>]]].
  • 이 모든 것이 돕습니다/ [설명하는 것을/ [만연함을/ [교통사고의/ 그 안에서/ 운전자들이/ <치는 보행자들을/ 똑똑히 보이는 곳에서>,/ 또는/ <충돌하는/ 자동차들과/ 바로/ 그들 앞에 있는>]]].
  • <In many/ of these cases>],/ the eyes are pointed(→point)/ in the right direction,/ but/ the brain isn’t seeing/ [what’s/ really/ out there].
  • <많은 수에서/ 이 경우들 중>,/ 눈은 향하게 됩니다/ 올바른 방향으로,/ 그러나/ 뇌는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무엇이 있는지/ 진짜로/ 거기 밖에서].

어법 설명

  • help+ (to) 부정사
  • helps[to explain/~]“에서 사용된 어법. 3형식 동사 help는 to 부정사나 원형 부정사(동사원형)을 목적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to) 부정사는 ”~하는 것“으로 명사처럼 해석합니다.
  • 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 관계부사] + 완전한 문장
  • "traffic accidents/ in whichdrivers <hit/ pedestrians/ in plain view>,/ or/ <collidewith cars/ directly/ in front of them>"에서 “in which”는 선행사, “traffic accidents”를 수식하는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병렬 구조 – and로 두 개의 동사구 병치
  • <hit/ pedestrians/ in plain view>와 <collidewith cars/ directly/ in front of them>를 or로 병렬 연결된 구조.
  • 수동태[be+pp] “are pointed” - 어법적 오류
  • 동사 “point”는 “향하다/향하게 되다”의 의미를 전달하는 자동사로, “point“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at’s/ really/ out ther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다만, 단락, (B)에서 이미 언급된 “that means[processing[only the minimum amount/ [of information/ [from our senses/ that we need/ <to navigate/ the world>]]]]” 내용으로 보면 문맥상, “all/ that happens/ out there”의 의미가 더 적절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주제

  • 이 지문은 뇌의 에너지 효율성과 제한된 정보 처리 능력이 우리의 인지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합니다. 특히, 마술사가 이를 활용한 사례와 교통사고와 같은 일상적 예를 통해 뇌가 모든 정보를 처리하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문제 풀이 과정

  • 제시문: 뇌의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사실을 제시하며 논의의 배경을 설정.
  • (B): 뇌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최소한의 정보만 처리한다는 점을 설명하며, 마술사가 이를 활용해 사람들을 속일 수 있음을 예로 듦.
  • (A): 마술사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뇌가 제한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을 설명.
  • (C): 이 원리를 기반으로 교통사고와 같은 실제 사례를 통해 시각 정보 처리의 한계를 설명.

문단 배치 근거

  • 제시문에서 뇌의 에너지 소모를 언급하며 (B)로 자연스럽게 연결.
  • (B)에서 뇌의 에너지 효율성과 정보 처리 한계를 설명하며, 이를 활용한 마술사의 사례로 (A)와 연결.
  • 마지막으로, 이 원리가 현실에서 교통사고로 나타난다는 구체적 사례로 (C)가 이어집니다.

정답 제시

  • ② (B) - (A) - (C)

결론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6번 지문은 뇌가 에너지 효율성을 위해 최소한의 정보만 처리하며, 이를 통해 발생하는 인지적 한계를 설명합니다. 마술사의 사례는 이를 이해하기 쉽게 보여주며, 교통사고 사례는 우리의 일상적 행동에서도 이러한 원리가 작동함을 증명합니다.

본 분석을 통해 학생들은 논리적으로 단락과 단락 사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파악하는 동시에 지문 내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및 반복되는 의미를 통해 정확한 글의 순서를 파악하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 수식적 차이를 기반으로 하여 제공하는 의미 해석”, “생략된 모든 부분을 부활시켜 진행되는 상세한 어법(분법) 설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법과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