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은 소비와 투자 간의 차이를 비교하며, 투자 결정이 경제적 효과를 가져오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특히, 제시문에서 텔레비전 구매라는 단순 소비의 예를 시작으로, 투자와 관련된 사례로 확장되며, 결과적으로 대학 등록금의 경제적 가치를 강조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 "주어진 돈이 소비로 사용될 때와 투자로 사용될 때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순서 배열 문제에 대한 Tip을 드리자면, 각 단락 간의 논리적 관계뿐만 아니라 각 단락 내에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어휘를 바꿔서 표현하지만, 반복되는 표현에 유의하면서 순서를 파악해 나가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장 배열 순서를 논리적으로 찾아내어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7.
Buying a television is current consumption. It makes us happy today but does nothing to make us richer tomorrow. Yes, money spent on a television keeps workers employed at the television factory.
(A)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these scenarios is that a college education makes a young person more productive for the rest of his or her life; a sports car does not. Thus, college tuition is an investment; buying a sports car is consumption.
(B) But if the same money were invested, it would create jobs somewhere else, say for scientists in a laboratory or workers on a construction site, while also making us richer in the long run.
(C) Think about college as an example. Sending students to college creates jobs for professors. Using the same money to buy fancy sports cars for high school graduates would create jobs for auto workers. [3점]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Buying a television is current consumption. It makes us happy today but does nothing to make us richer tomorrow. Yes, money spent on a television keeps workers employed at the television factory.
주요 단어 정리
- current consumption: 현재의 소비
- do nothing: 아무것도 하지 않다
- keep: 유지하다
- employed: 고용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ying/ a television>/ is current consumption.
- <구매하는 것은/ 텔레비전을>/ 현재의 소비입니다.
- It [makes/ us/ happy/ today]/ but/ [does/ nothing/ <to make/ us/ richer/ tomorrow>].
- 그것은/ [만듭니다/ 우리를/ 행복하게/ 오늘]/ 하지만/ [하지 않습니다/ 아무것도/ <만들기 위해서/ 우리를/ 더 부유하게/ 내일>].
- Yes,/ [money/ (which or that is) spent/ on a television]/ keeps/ workers/ employed/ at the television factory].
- 물론,/ [텔레비전에 사용된] 돈은/ 유지합니다/ 노동자들을/ 고용된 상태로/ <텔레비전 공장에서>.
어법 설명
- 동명사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Buying”으로 동명사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의 형태로, ”is“.
- 병렬 구조 – but으로 두 개의 동사구 병치
- [makes/ us/ happy/ today]와 [does/ nothing/ <to make/ us/ richer/ tomorrow>]를 but으로 병렬 연결된 구조.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us) + 목적격 보어(형용사; happy)"
-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ake/ us/ richer/ tomorrow>”에서 사용된 용법.
-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money/ (which or that is) spent/ on a television]“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 구조상 선행사, ”money“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것과 동일합니다.
- 동명사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두 번째 문장의 주어는 ”money”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의 형태로, ”keeps“.
- 5형식 기본 문형 "keep + 목적어(workers) + 목적격 보어(형용사; employed)"
- 목적격 보어로 ”~된/~되는/~되어진“의 의미의 과거분사가 보어로 온 경우로 ”작업자들을 고용되도록 유지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
- 순서 배열 문제(문장 삽입 포함)는 접속부사(구), 접속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와 지시 대명사, 반복되는 의미 등에 특히 유의하여 문장의 흐름을 파악해야 합니다. 내용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각 단락의 첫 부분을 읽고 연관성을 따져봐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시문은 ”TV 구매가 개인에게는 미래의 부유함과는 상관없고 즉각적인 행복에만 관련이 있고, TV 공장 근로자에겐 고용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단락 (A)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these scenarios is that a college education makes a young person more productive for the rest of his or her life; a sports car does not. Thus, college tuition is an investment; buying a sports car is consumption.
주요 단어 정리
- crucial: 결정적인
- scenario: 상황, 시나리오
- productive: 생산적인
- tuition: 수업료
- investment: 투자
- consumption: 소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these scenarios>/ is [that <a college education>/ makes/ a young person/ more productive/ [for the rest/ <of his or her life>]]/
- <결정적인 차이는/ 이러한 시나리오들 사이의>/ [<대학 교육이>/ 만든다는 겁니다/ 한 젊은이를/ 더 생산적으로/ [그 나머지(남은 기간) 동안/ <그의 또는 그녀의 삶의>]]/
- ;/ a sports car does not (make/ a young person/ more productive)>.
- 그러나/ 스포츠카는/ 그렇지(한 젊은이를 더 생산적으로 만들지) 않습니다.
- Thus,/ college tuition is an investment/
- 따라서,/ 대학 등록금은 투자입니다/
- ;/ <buying/ a sports car>/ is consumption.
- 그리고/ <구매하는 것은/ 스포츠카를>/ 소비입니다.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첫 문장의 주어는 ”The crucial difference”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의 형태로, ”is“.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s [that <a college education>/ makes/~]"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5형식 기본 문형 "makes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makes/ a young person/ more productive”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문장부호의 오용
- 단락 (A)에서 semi-colon(;)이 문맥상 but과 and를 대체한 것으로 보입니다. 문장부호는 엄밀하게 문장 성분을 부연 설명할 때 쓰이며, 특히 모의고사 같은 공적인 문서에서는 접속사로 대체헤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문맥에 맞는 접속사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에 따른 과정 1
- 제시문 어법 설명에서 말한 바와 같이 단락, (A)에서, 지시 형용사로 수식을 받는 ‘these scenarios“의 의미를 파악해야 합니다. (A) 단락의 두 번째 문장에서 언급된 내용으로 대학을 다니는 젊은 사람의 얘기가 (A)앞에 언급되어야 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합니다. (A)에서는 개인의 입장에서의 ”투자와 소비 사이의 차이에 대한 설명“입니다.
단락 (B)
But if the same money were invested, it would create jobs somewhere else, say for scientists in a laboratory or workers on a construction site, while also making us richer in the long run.
주요 단어 정리
- invest: 투자하다
- say: 이를테면
- create jobs: 일자리를 창출하다
- somewhere else: 다른 어딘가에서
- laboratory: 실험실
- construction site: 건설 현장
- in the long run: 장기적으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if <the same money>/ were invested],/
- 그러나/ [만약 <같은 돈이>/ 투자된다면],/
- it would create/ jobs/ somewhere else,/
- 그것은 창출할 것입니다/ 일자리를/ 다른 어딘가에서,/
- [say/ <for scientists/ (who or that are) in a laboratory>/ or/ <workers/ (who or that are) on a construction site>],/
- [이를테면/ <과학자들을 위해/ 연구소에 있는>/ 혹은/ <노동자들을 위해/ 건설 현장에 있는>],/
- [while also making/ us/ richer/ in the long run].
- [또한 만들면서/ 우리를/ 더 부유하게/ 장기적으로].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
- "[if <the same money>/ were invested],/ it would create/~."에서 사용된 어법. ”현재 사실의 반대나 현재에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에 대한 가정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표준 문형은 ”If+주어+과거형 동사[be 동사는 인칭에 상관없이 were]+~, 주어+would[should / could / might]+동사원형+~“입니다.
- 삽입구 "say“
- 예시를 나타내는 삽입구로 사용됨.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for scientists/ (who or that are) in a laboratory>/ or/ <workers/ (who or that are) on a construction site>에서 “(who or that are)”는 각각의 선행사, “scientists”와 “workers”를 수식하여, “실험실에 있는 과학자들”와 “건설 현장에 있는 작업자들”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while also making/ us/ richer/ in the long run]”은 [while it also makes/ us/ richer/ in the long run]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he same money)가 생략되고 동사 makes가 mak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에 따른 과정 2
- 단락, (B)에서 등장한 “the same money”는 문맥상 제시문에서 TV를 구입하는데 사용된 돈을 의미하여 제시문 뒤에 (B)가 와야 합니다.
단락 (C)
Think about college as an example. Sending students to college creates jobs for professors. Using the same money to buy fancy sports cars for high school graduates would create jobs for auto workers.
주요 단어 정리
- example: 예시
- fancy: 화려한
- graduate: 졸업생
- auto worker: 자동차 노동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nk/ about college/ as an example.
- 생각해 보십시오/ 대학에 대해서/ 하나의 예로써.
- <Sending/ students/ to college>/ creates/ <jobs/ for professors>.
- <보내는 것은/ 학생들을/ 대학에>/ 창출합니다/ <일자리들을/ 교수들을 위한>.
- <Using/ the same money>/ <to buy/ fancy sports cars/ for high school graduates>/ would create/ <jobs/ for auto workers>.
- <사용하는 것은/ 같은 돈을>/ <구매하기 위해서/ 화려한 스포츠카들을/ 고등학교 졸업생들을 위해>/ 창출할 것입니다/ <일자리들을/ 자동차 노동자들을 위한>.
어법 설명
- 동명사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두 번째 문장의 주어는 ”Sending”으로 동명사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의 형태로, ”creates“. cf. 세 번째 문장의 ”Using“도 동명사 주어이긴 하나, 동사구가, ”조동사+동사원형“의 형태로 수의 일치의 필요가 없습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buy/ fancy sports cars/ for high school graduates>”에서 사용된 용법.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에 따른 과정 3
- 단락, (A)에서 등장했던 “these scenarios”가 (C)에서 각각 언급된 “동일한 돈이 다른 곳에 투자되는 경우”와 “학생을 대학에 보내는 경우”나 “졸업생들을 위해 스포츠카를 사는 경우”이고 나머지 (A) 단락의 내용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시문 - (B) - (C) - (A)의 어순으로 와야 적절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글은 소비와 투자 간의 차이를 설명하며, 투자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강조합니다.
단락 간 연결성
- (B) 제시문에서 "텔레비전 구매"의 소비적 특성을 소개한 뒤, (B)에서 투자로 이어지는 논리가 가장 적절합니다.
- (C) (B)에서 제시된 투자와 소비를 구체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사례를 제공하며, 대학 등록금과 스포츠카 구매를 대조합니다.
- (A) 마지막으로 대학 등록금이 생산성을 높이는 투자라는 결론으로 논리가 완성됩니다.
정답 제시
- ② (B) - (C) - (A)
결론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은 소비와 투자 간의 본질적 차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경제적 의사 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제시문에서 출발한 텔레비전 구매의 사례는 (B) 단락에서 투자와의 대조로 이어지고, (C) 단락에서는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며, (A) 단락에서 소비와 투자 간의 결정적 차이를 논리적으로 마무리합니다.
본 분석을 통해 학생들은 논리적으로 단락과 단락 사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파악하는 동시에 지문 내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및 반복되는 의미를 통해 정확한 글의 순서를 파악하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글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고, 문장 순서 배열 문제의 해법을 논리적으로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