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9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9번: 자동화와 새로운 직업의 탄생"
이 글은 자동화와 산업 혁명이 노동 구조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사라진 일자리를 대신해 완전히 새로운 직업군을 창출했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특히, 자동화의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변화를 대조적으로 설명하며, 삽입 문장의 위치를 추론하는 문제를 통해 독자의 논리적 사고와 연결성 이해 능력을 평가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을 통해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삽입 문장의 적절한 위치를 추론하며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각 지문별 관련 상세한 어법 설명을 통해 독해력을 배가시킬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9.
Instead, automation created hundreds of millions of jobs in entirely new fields.
Imagine that seven out of ten working Americans got fired tomorrow. What would they all do? It’s hard to believe you’d have an economy at all if you gave pink slips to more than half the labor force. But that is what the industrial revolution did to the workforce of the early 19th century. Two hundred years ago, 70 percent of American workers lived on the farm. ( ① ) Today automation has eliminated all but 1 percent of their jobs, replacing them with machines. ( ② ) But the displaced workers did not sit idle. ( ③ ) Those who once farmed were now manning the factories that manufactured farm equipment, cars, and other industrial products. ( ④ ) Since then, wave upon wave of new occupations have arrived — appliance repair person, food chemist, photographer, web designer — each building on previous automation. ( ⑤ ) Today, the vast majority of us are doing jobs that no farmer from the 1800s could have imagined.
* pink slip: 해고 통지서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주어진 문장
Instead, automation created hundreds of millions of jobs in entirely new fields.
주요 단어 정리
- instead: 대신에
- automation: 자동화
- create: 창출하다 (동의어: generate, produce / 반의어: eliminate)
- hundreds of millions of~: 수억 개의~
- field: 분야 (동의어: area, domai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stead,/ automation created/ hundreds of millions of jobs/ in entirely new fields.
- 대신에,/ 자동화는 창출했습니다/ 수억 개의 일자리들을/ 완전히 새로운 분야에서.
어법 설명
- 접속부사 "instead"
- 문장 내에서 "대신에"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삽입 위치 추론 1
- “Instead”의 의미로 미루어 이 앞에는 자동화가 일자리에 관한 부정적인 영향이 언급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후에는 자동화가 만든 일자리들의 구체적인 예가 나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문장 1
Imagine that seven out of ten working Americans got fired tomorrow. What would they all do?
주요 단어 정리
- imagine: 상상하다 (동의어: visualize, envision / 반의어: ignore)
- seven out of ten: 열 중 일곱
- fired: 해고된 (동의어: dismissed, laid off / 반의어: hir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magine/ [that <seven/ out of ten working Americans>/ got fired(→would get fired)/ tomorrow]./
- 상상해 보십시오/ [<일곱 명이/ 열 명의 일하는 미국인들 중>]/ 해고된다고(→해고될 것이라고)/ 내일].
- What/ would they all do?
- 그들은 모두 무엇을 하게 될까요?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
- "Imagine/ [that <seven/ out of ten working Americans>/ got fired(→would get fired)/ tomorrow]."는 비현실적 상황을 가정하며, 가정법 과거를 사용합니다. 다만, tomorrow로 볼 떄, 의미상 “got fired” 보다는 “would get fired”가 더 적절합니다. 가정법 과거의 표준 문형은, “주어+과거형 동사[be 동사는 인칭에 상관없이 were+~, 주어+would[should / could / might]+동사원형+~”입니다.
문장 2
It’s hard to believe you’d have an economy at all if you gave pink slips to more than half the labor force.
주요 단어 정리
- hard to believe: 믿기 어려운
- at all: (긍정문) 어쨌든
- pink slip: 해고 통지서
- more than half: ~의 절반 이상
- labor force: 노동력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s hard/ [to believe/ [(that) you’d have/ an economy(→a good economic condition)/ at all]]/
- 그것은 어렵습니다/ [믿는 것은/ [당신이 가지게 될 것이라고/ 경제를(→좋은 경제 상태를)/ 어쨌든]]/
- [if you gave/ pink slips/ <to more than half/ the labor force>].
- [만약 당신이 줬다면/ 해고 통지서를/ <절반 이상의/ 노동력에>].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
- “[(that) you’d have/ an economy(→a good economic condition)/ at all]” 역시 가정법 과거로, 현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an economy”라는 모호한 표현 보다는 “a good economic condition”정도로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했습니다.
문장 3
But that is what the industrial revolution did to the workforce of the early 19th century.
주요 단어 정리
- industrial revolution: 산업 혁명
- workforce: 노동 인구 (동의어: labor force, worker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that is [what the industrial revolution did/ <to the workforce/ of the early 19th century>].
- 그러나/ 그것이 [산업 혁명이 했던 것입니다/ <노동력에게/ 19세기 초의>].
어법 설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the industrial revolution did/~]”에서 “사용된 문법으로, ”산업혁명이 19세기 초의 노동력에게 했던 것“의 의미.
문장 4
( ① ) Today automation has eliminated all but 1 percent of their jobs, replacing them with machines.
주요 단어 정리
- eliminate: 제거하다 (동의어: remove, erase / 반의어: retain, preserve)
- but: (전치사) ~을 제외하고
- replace: 대체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day/ automation has eliminated/ [all/ <but 1 percent/ of their jobs>],/
- 오늘날/ 자동화는 제거했습니다/ [전부를/ <1%를 제외하고/ 그들의 직업들 중>],/
- [replacing/ them/ with machines].
- [대체하면서/ 그것들을(직업들을)/ 기계로].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 "has eliminated"
- 과거부터 현재까지 영향을 끼친 결과를 나타냅니다.
- 분사구문
- “[replacing/ them/ with machines]”는 [while it replace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automation)이 생략되고 동사 replaced가 replac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삽입 위치 추론 2
- 역시 자동화가 직업 수를 감소시킨 부정적인 부분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부정적인 부분이 여기서 끝난다면 주어진 문장은, ( ② )에 위치해야 하겠지만, 지속된다면 더 읽어야 합니다.
문장 5
( ② ) But the displaced workers did not sit idle.
주요 단어 정리
- displaced workers: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
- sit idle: 가만히 있다, 아무 일도 하지 않다 (동의어: remain inactive / 반의어: be productiv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the displaced workers did not sit/ idle.
- 그러나/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은 있지 않았습니다/ 가만히.
어법 설명
- 삽입 위치 추론 3
- 현재에서 자동화가 진행된 후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의 이야기로 앞 문장과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따라서 더 읽어봐야 합니다. 만약 이후에 ”자동화가 만든 일자리“에 대한 내용이 언급된다면 ③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실전에서는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6
( ③ ) Those who once farmed were now manning the factories that manufactured farm equipment, cars, and other industrial products.
주요 단어 정리
- man: (기계를) 조작하다, (직무를) 맡다
- manufacture: 제조하다 (동의어: produce, fabricate / 반의어: destroy)
- equipment: 장비 (동의어: tools, apparatus)
- industrial products: 산업 제품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ose/ who once farmed]/ were now manning/ [the factories/ that manufactured/ <farm equipment, cars, and other industrial products>].
- [사람들은/ 한때 농사를 지었던]/ 이제 조작하고 있었습니다/ [공장들을/ 제조했던/ <농업 장비, 자동차, 그리고 다른 산업 제품들을>].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ose/ who once farmed]"에서 "who"는 선행사, "Those"를 수식하며, "한때 농사를 짓던 사람들"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ose"로 복수이고, 동사구도 복수 형태로, "were now manning".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factories/ that manufactured/ <farm equipment, cars, and other industrial products>]"에서 "that"은 선행사, "the factories"를 수식하며, "농업 장비, 자동차(들) 및 다른 산업 제품들을 제조했던 공장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삽입 위치 추론 4
- 주어진 문장에서 예측했던 것처럼 자동화가 만든 구체적인 일자리들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③에 주어진 문장이 삽입되어야 적절합니다. 주어진 문장은 "산업 혁명으로 인해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었다"는 내용을 전달하며, 기존 문맥과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문장 7
( ④ ) Since then, wave upon wave of new occupations have arrived — appliance repair person, food chemist, photographer, web designer — each building on previous automation.
주요 단어 정리
- since then: 그 이후로
- wave upon wave of~: (형용사구) 끊임없이 반복되는
- occupation: 직업 (동의어: job, profession / 반의어: unemployment)
- appliance repair person: 가전제품 수리공
- build on~: ~을 기반으로 발전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ince then,/ <wave upon wave of new occupations>/ have arrived/
- 그 이후로,/ <끊임없이 반복되는 새로운 직업들의>/ 도래했습니다(생겨났습니다) —/
- —/ <appliance repair person, food chemist, photographer, web designer>— /
- 즉/ [가전제품 수리공, 식품 화학자, 사진작가, 웹 디자이너가>—/
- [each building/ <on previous automation>].
- [각각이 발전하면서/ <이전의 자동화 위에(자동화를 기반으로)>].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 "have arrived"
-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사건(계속)을 나타냅니다.
- 분사구문
- “[each building/ <on previous automation>]”은 [while each buil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이 생략되고 동사 build가 build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종속절의 주어인 "each"는 문장의 주어인 “wave upon wave of new occupations“와 달라 그대로 표시한 경우.
문장 8
( ⑤ ) Today, the vast majority of us are doing jobs that no farmer from the 1800s could have imagined.
주요 단어 정리
- the vast majority of~: ~의 대다수, 대다수의~
- imagine: 상상하다 (동의어: envision, conceive / 반의어: igno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day,/ <the vast majority/ of us>/ are doing/ [jobs/ that <no farmer/ from the 1800s>/ could have imagined].
- 오늘날,/ <대다수가/ 우리들의>/ 하고 있습니다/ [직업들을/ <어떤 농부도/ 1800년대 출신의>/ 상상할 수 없었던].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jobs/ that <no farmer/ from the 1800s>/ could have imagined]”에서 “that”은 선행사, “jobs”를 수식하여, “1800년대 출신의 어떤 농부도 상상할 수 없었던 직업들”의 의미를 전달.
- 가정법 과거완료적 표현
- "could have imagined"는 "no"와 함께, "상상할 수 없었던"의 의미로 과거에 상상할 수 없었던 상황(과거 사실의 반대)을 나타냅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글은 자동화와 산업 혁명이 노동 구조를 변화시키고 새로운 직업을 창출했음을 강조합니다.
단락 간 연결성
- 주어진 문장, “Instead, automation created hundreds of millions of jobs in entirely new fields.”, 내의 접속부사 “Instead”가 키워드로 이 문장 이전에는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가 없어진다는 내용”이 와야 하고, 이 문장 이후에는 “자동화가 완전리 새로운 분야에 수억 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낸 내용”이 와야 합니다.
정답 도출
- 따라서, 정답은 ③번입니다.
결론
"자동화의 진화와 새로운 직업 창출의 의미"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39번 지문은 자동화와 산업 혁명이 노동 시장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사라진 일자리와 창출된 일자리의 대조를 통해 사회적 변화를 논리적으로 설명합니다. 삽입 문장을 적절히 배치하는 과정에서, 자동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과 새로운 기회를 연결하여 글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지문을 통해, 우리는 기술의 진화가 가져온 노동 구조의 변화와 그 이면의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었습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와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으로 한 의미 해석은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며, 상세한 어법(문법) 설명은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