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편향의 함정: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이어지는 선입견과 그 해결책"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41번과 42번 문제는 확증 편향이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그 결과를 설명합니다. 이 글은 전통적인 면접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며, 더 구조화된 접근법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학생들이 문제를 풀며 논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편향과 의사결정의 관계를 명확히 보여줍니다.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의미 해석과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정확한 문제 풀이 방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We have biases that support our biases! If we’re partial to one option ―perhaps because it’s more memorable, or framed to minimize loss, or seemingly consistent with a promising pattern ―we tend to search for information that will (a) justify choosing that option. On the one hand, it’s sensible to make choices that we can defend with data and a list of reasons. On the other hand, if we’re not careful, we’re (b) likely to conduct an imbalanced analysis, falling prey to a cluster of errors collectively known as “confirmation biases.”

For example, nearly all companies include classic “tell me about yourself” job interviews as part of the hiring process, and many rely on these interviews alone to evaluate applicants. But it turns out that traditional interviews are actually one of the (c) least useful tools for predicting an employee’s future success. This is because interviewers often subconsciously make up their minds about interviewees based on their first few moments of interaction and spend the rest of the interview cherry­picking evidence and phrasing their questions to (d) confirm that initial impression: “I see here you left a good position at your previous job. You must be pretty ambitious, right?” versus “You must not have been very committed, huh?” This means that interviewers can be prone to (e) noticing significant information that would clearly indicate whether this candidate was actually the best person to hire. More structured approaches, like obtaining samples of a candidate’s work or asking how he would respond to difficult hypothetical situations, are dramatically better at assessing future success, with a nearly threefold advantage over traditional interviews.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Bias Trap: How Our Preconceptions Mislead Us

② Utilize the Power of Similar Personality Types!

③ More Information Adds Up to Worse Choices

④ Why Are You Persuaded by Others’ Perspectives?

⑤ Interviews: The Fairest Judgment for All Applicants

42 밑줄 친 (a) ~ (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e have biases that support our biases!

주요 단어 정리

  • bias: 편향, 선입견 (동의어: prejudice, preconception / 반의어: fairness, impartiality)
  • support: 지지하다, 뒷받침하다 (동의어: uphold, sustain / 반의어: oppo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have/ [biases/ that support/ our biases]!
  • 우리는/ 가지고 있습니다/ [편향을/ 지지하는/ 우리의 편향을]!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biases/ that support/ our biases]”에서 “that”은 선행사, “biases”을 수식하여, “우리의 편향을 지지하는 편향”의 의미를 전달.
  • 문제 풀이 Tip
  • 이 유형의 문제는 주제를 찾는 동시에 그 주제를 기준으로 문맥에 따른 어휘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면서 풀어야합니다. 첫 문장은 "우리가 이미 편향된 생각을 가지고있을 때 그 편향된 편향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지하는) 정보를 찾으려는 또다른 편향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좀 부실하게 표현했지만, 핵심 문장에 해당됩니다. 혹시 이 내용을 담고 있는 보기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① Bias Trap: How Our Preconceptions Mislead Us(편향의 함정: 우리으 선입견이 우리를 호도하는(잘못 이끄는) 방법)"이 가장 가깝습니다. 두세 걔의 문장을 더 읽어보고 특별히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주제는 ①번으로 답을 선택합니다.

문장 2

If we’re partial to one option ―perhaps because it’s more memorable, or framed to minimize loss, or seemingly consistent with a promising pattern ―we tend to search for information that will (a) justify choosing that option.

주요 단어 정리

  • partial to~: ~을 편애하는
  • memorable: 기억하기 쉬운 (동의어: unforgettable, notable / 반의어: forgettable)
  • framed: 잘 짜여진
  • minimize: 최소화하다 (동의어: reduce, decrease / 반의어: maximize)
  • consistent: 일관된 (동의어: coherent, harmonious / 반의어: inconsistent)
  • promising: 유망한
  • tend to 부정사: ~하는 경향이 있다
  • search for~: ~을 찾다
  • justify: 정당화하다 (동의어: legitimize, rationalize / 반의어: criticize, condemn)
  • option: 선택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we’re partial/ [to one option/ ―/ perhaps/ [because it’s [[more memorable],/ or/ [framed/ <to minimize/ loss>],/ or/ [seemingly consistent/ with a promising pattern]]]]],/
  • [우리가 편애한다면/ [한 가지 선택지를/ 다시 말해/ 아마도/ [그것이 [[더 기억에 남거나]/ 혹은/ [구성되어 있거나/ <최소화하기에/ 손실을>],/ 혹은/ [겉보기에 일관적이기 때문에/ 유망한 패턴과]]]]],/
  • we tend to search/ [for information/ that will (a) justify/ <choosing/ that option>].
  • 우리는 찾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보를/ 정당화할/ <택하는 것을/ 그 선택을>].
  •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or로 세 개의 형용사구 병치
  • [more memorable],/ or[framed/ <to minimize/ loss>],/ or[seemingly consistent/ with a promising pattern]”를 or로 병렬 연결된 구조. 다만, 등위 접속사로 병렬 연결하는 경우 comma(,)로 연결하다가 마지막에 or로 연결해야 어법적으로 올바릅니다. 따라서 “[more memorable],/ or/ [framed/ <to minimize/ loss>]”에 있는 or는 제거해야 적절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하기에 / ~할 정도로 / ~할 만큼”
  • [framed/ <to minimize/ loss>]”에서 사용된 용법.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선행사 "information"을 수식하며, "그 선택을 정당화할 정보"를 의미.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nformation/ that will (a) justify/ <choosing/ that option>”에서 “that”은 선행사, “information”을 수식하여, “그 선택지를 택하는 것을 정당화할 정보”의 의미를 전달.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a)
  • “justify”는 "선택을 정당화한다"는 의미로 문맥에 적합합니다.
  • 주제 선택에 대한 확인 1
  • 이 글의 주제가 "우리가 이미 편향된 생각을 가지고있을 때 그 편향된 편향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지하는) 정보를 찾으려는 또다른 편향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였다는 것을 확인했고 이어지는 내용이 그에 대한 부연 설명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휘도 확인해야 하므로 더 읽어봅니다.

문장 3

On the one hand, it’s sensible to make choices that we can defend with data and a list of reasons.

주요 단어 정리

  • one the one hand: 한편으로는
  • sensible: 합리적인 (동의어: reasonable, rational / 반의어: irrational, unreasonable)
  • defend: 변호하다, 옹호하다 (동의어: justify, advocate / 반의어: attack, oppo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 the one hand,/ it’s sensible/ [to make/ [choices/ that we can defend/ [with <data> and <a list/ of reasons>]]].
  • 한편으로는,/ 그것이 합리적입니다/ [만드는(하는) 것이/ [선택(들)을/ 우리가 방어할 수 있는/ [<데이터>와 <목록을 가지고/ 이유의>]]].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s sensible/ [to make[choices/~]]”에서 ”it“는 가주어, ”to make~”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choices/ that we can defend[with <data> and <a list/ of reasons>]]”에서 “선행사, ”that”은 선행사, “choice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데이터와 이유(들)의 목록을 가지고 우리가 방어할 수 있는 선택(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주제 선택에 대한 확인 2
  • 앞에서 확인한 내용에서 역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일관됩니다. 따라서, 주제는 "① Bias Trap: How Our Preconceptions Mislead Us(편향의 함정: 우리으 선입견이 우리를 호도하는(잘못 이끄는) 방법)"으로 확정하고 더이상 신경쓰지 않습니다.

문장 4

On the other hand, if we’re not careful, we’re (b) likely to conduct an imbalanced analysis, falling prey to a cluster of errors collectively known as “confirmation biases.”

주요 단어 정리

  • b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높다 (동의어: be prone to~, be apt to~ / 반의어: be unlikely to~)
  • conduct: 수행하다 (동의어: perform, carry out / 반의어: neglect, ignore)
  • imbalanced: 불균형한 (동의어: unequal, lopsided / 반의어: balanced)
  • fall prey to~: ~의 희생물이 되다 (동의어: succumb to, be victimized by)
  • cluster: 무리, 집단 (동의어: group, bunch)
  • a cluster of errors: 오류의 무리, 여기서는 ‘오류의 집합체(→a combination of erro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 the other hand,/ [if we’re not careful],/ we’re (b) likely to conduct/ an imbalanced analysis,/
  • 반면에,/ [만약 우리가 신중하지 않다면],/ 우리는 (b) 수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불균형한 분석을,/
  • [falling prey/ [to a cluster(→combination) of errors/ (which or that are) collectively known/ as “confirmation biases”]].
  • [희생물이 되면서/ [한 무리의 오류의/ 총체적으로 알려진/ “확증 편향”으로]].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on the other hand"
  • 문장 내에서 "반면에"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분사구문
  • [falling prey[to a cluster(→combination) of errors/~]]”은 [while we fall prey/ to~]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we가 생략되고 동사 fallfall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확증 편향의 의미에 따른 단어 변경과 표현의 간결성 필요
  • "확증 편향"은 여러 오류가 결합하여 작용한다는 맥락에서 “모임/집단”의 의미인 “cluster”보다“combination”이 더 적절해 보이며. “총체적으로”의 의미로 사용된 “collectively” 역시 "well-known"을 복잡하게 표현한 것인지, 오류들의 집합적 속성을 강조하려는 것인지 불분명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표현을 순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a combination/ of errors>/ known/ as ”confirmation biases”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b)
  • “likely”는 "가능성이 있는"이라는 뜻으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5

For example, nearly all companies include classic “tell me about yourself” job interviews as part of the hiring process, and many rely on these interviews alone to evaluate applicants.

주요 단어 정리

  • include: 포함하다 (동의어: encompass, involve / 반의어: exclude)
  • job interview: 직무 면접
  • hiring process: 채용 과정
  • rely on~: ~에 의존하다
  • ~ alone: ~에만, ~만으로
  • evaluate: 평가하다 (동의어: assess, appraise / 반의어: neglect, ignore)
  • applicant: 지원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nearly all companies include/ <classic/ “tell me about yourself” job interviews>/ [as part/ of the hiring process],/
  • 예를 들어,/ 거의 모든 회사들이 포함시킵니다/ <고전인/ “당신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라는 직무 면접을>/ <일부로/ 채용 과정의>,/
  • and/
  • 그리고/
  • many rely/ <on these interviews alone>/ <to evaluate/ applicants>.
  • 많은 수가(회사들이) 의존합니다/ <이 면접들에만>/ <평가하기 위해/ 지원자들을>.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evaluate/ applicants>”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6

But it turns out that traditional interviews are actually one of the (c) least useful tools for predicting an employee’s future success.

주요 단어 정리

  • turn out that~: ~임이 밝혀지다 (동의어: prove, become clear / 반의어: remain unknown)
  • traditional interview: 전통적인 인터뷰
  • least useful: 가장 유용하지 않은
  • predict: 예측하다
  • employee: 직원
  • success: 성공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it turns out/ [that traditional interviews are actually [one/ of the (c) least useful tools/ <for predicting/ an employee’s future success>]].
  • 그러나/ 그것이 밝혀집니다/ [전통적인 면접들이 사실은 [하나라는 것이/ 가장 유용하지 않은 도구들 중/ <예측하기 위한/ 직원의 미래 성공을>]].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it turns out[that traditional interviews are~]”에서, ”it“은 가주어, ”that 절”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하기”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for predicting/ an employee’s future success>“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여러 의미를 가진 단어처럼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c)
  • “least useful”은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7

This is because interviewers often subconsciously make up their minds about interviewees based on their first few moments of interaction and spend the rest of the interview cherry­picking evidence and phrasing their questions to (d) confirm that initial impression: “I see here you left a good position at your previous job. You must be pretty ambitious, right?”

주요 단어 정리

  • This is because~: 이것은 ~때문입니다
  • interviewer: 면접관
  • subconsciously: 무의식적으로
  • make up one’s mind: 결심하다
  • cherry-pick: 선별하다, 편향적으로 선택하다
  • phrase questions: 질문을 하다, 질문을 만들어 내다
  • confirm: 확인하다
  • initial: 초기의, 처음의
  • impression: 인상
  • position: 직책, 지위
  • previous: 이전의
  • pretty: 아주, 매우
  • ambitious: 야망 있는, 야심 있는
  • must have+pp: ~이었음에 틀림이 없다
  • committed: 헌신적인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because interviewers [often subconsciously make up their minds/ about interviewees/ <based on their first few moments/ of interaction>]/ and/ [spend/ <the rest/ of the interview>]/ [[cherry-picking/ evidence]/ and/ [phrasing/ their questions/ <to (d) confirm/ that initial impression>]]]/
  • 이것은 [면접관들이 [종종 무의식적으로 결심하기 때문입니다/ 지원자들에 대해/ <그들의 첫 몇 순간에 근거하여/ 상호작용의>],/ 그리고/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나머지를/ 면접의>]/ [[선별하면서/ 증거를]/ 그리고/ [만들어내면서(하면서)/ 그들의 질문을/ <확인하기 위해/ 그들의 처음의 인상을>]]].
  • :/ “I see/ here/ [(that) you left/ <a good position/ at your previous job>]./ You must be pretty ambitious,/ right?”/ versus/ “You must not have been very committed,/ huh?”
  • 다시 말해서/ “저는 압니다/ 여기서(이쯤에서)/ [당신이 떠났다는 것을/ <좋은 직책을/ 이전 직장에서의>]. 당신은 아주 야망 있음에 틀림이 없군요,/ 맞나요?”/ 대/ “당신 헌식적임에 틀림이 없군요,/ 어?”처럼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and로 두 개의 동사구 병치
  • [often subconsciously make up their mindsabout interviewees/ <based on their first few moments/ of interaction>]와 [spend/ <the rest/ of the interview>]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분사구문
  • [[cherry-picking/ evidence]and[phrasing/ their questions/ <to (d) confirm/ that initial impression>]]”은 [while they cherry-pick/ ~and/ phrase/~]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interviewers)가 생략되고 동사 cherry-pickphrasecherry-pickingphra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d) confirm/ that initial impression>”에서 사용된 용법.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d)
  • “confirm”은 초기 인상을 확인하려는 행동을 묘사하며 문맥상 적합합니다. (a) ~ (d)까지 모든 어휘가 문맥상 적절했으므로 실전에서는 조금이나마 시간을 줄이기 위해 "⑤ (e)"로 정답을 선택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8

This means that interviewers can be prone to (e) noticing significant information that would clearly indicate whether this candidate was actually the best person to hire.

주요 단어 정리

  • be prone to~: ~하기 쉽다 (동의어: be susceptible to, be inclined to / 반의어: be immune to)
  • notice: 알아차리다
  • significant: 중요한
  • indicate: 나타내다
  • hire: 고용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means/ [that interviewers can be prone to (e) noticing/ [significant information/ that would clearly indicate/ [whether this candidate was actually <the best person/ to hire>]]].
  • 이것은 의미합니다/ [면접관들이 알아차리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중요한 정보를/ 명확히 나타낼/ [이 지원자가 실제로 <가장 적합한 사람인지/ 고용할 만한>]]].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is means[that interviewers can be prone to (e) noticing/~]"에서 "that"은 동사, "means"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significant information/ that would clearly indicate[whether this candidate was actually <the best person/ to hire>]]”에서 “that”은 선행사, “significant information”을 수식하여, “이 후보자가 고용할만한 가장 적합한 사람인지 분명하게 나타낼 중요한 정보”의 의미를 전달.
  • 명사절의 접속사 whether[if]
  • "[whether this candidate was actually <the best person/ to hire>]"에서 "whether"는 동사구, "would clearly indicate"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인지“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할만한)
  • “<the best person/ to hir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를 수식.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e)
  • 실전에서는 이미 답을 선택했지만, 해설자 입장에서 풀이 과정을 설명하면, “noticing”는 문맥상 "알아차리다(notice)" 대신 "간과하다(overlook)" 의미가 필요 수정하면, “overlooking”.

문장 9

More structured approaches, like obtaining samples of a candidate’s work or asking how he would respond to difficult hypothetical situations, are dramatically better at assessing future success, with a nearly threefold advantage over traditional interviews.

주요 단어 정리

  • structured: 구조화된, 체계적인 (동의어: organized, systematic / 반의어: chaotic, unstructured)
  • approach: 접근법
  • obtain: 얻다, 취득하다 (동의어: acquire, procure / 반의어: lose, relinquish)
  • candidate‘s work: 후보자의 업무
  • respond to~: ~에 반응하다
  • hypothetical: 가상의, 가정의 (동의어: speculative, theoretical / 반의어: factual, actual)
  • situation: 상황
  • assess: 평가하다 (동의어: evaluate, appraise / 반의어: neglect, ignore)
  • threefold: 세 배의
  • advantage: 우위, 이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ore structured approaches,/ like [obtaining/ <samples/ of a candidate’s work>]/ or/ [[asking/ [how he would respond/ to difficult hypothetical situations]]],/
  • [구조화된 접근법은,/ [얻는 것 같은/ <샘플(들)을/ 지원자의 업무의>]/ 또는/ [질문하는 것 같은/ [어떻게 그가 반응할지/ 어려운 가상의 상황에 대해]]],/
  • are dramatically better/ <at assessing/ future success>,/
  • 극적으로 더 낫다/ <평가하는 데 있어서/ 미래의 성공을>,/
  • <with a nearly threefold advantage/ over traditional interviews>.
  • <거의 세 배의 우위를 가지고/ 전통적인 면접들보다>.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병렬 구조
  • "[obtaining/ <samples/ of a candidate’s work>]or[[asking[how he would respondto difficult hypothetical situations]]“와 ”<at assessing/ future success>“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여러 개의 의미를 가진 단어처럼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More structured approache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의 형태로, ”are“.
  • 간접의문문[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he would respondto difficult hypothetical situations]"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에 올 때 취하는 어순.

문장 10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basing hiring decisions on reliable and valid methods rather than intuitive impressions.

주요 단어 정리

  • highlight: 강조하다 (동의어: emphasize, underscore / 반의어: downplay, ignore)
  • reliable: 신뢰할 수 있는 (동의어: trustworthy, dependable / 반의어: unreliable, doubtful)
  • valid: 타당한, 유효한 (동의어: legitimate, sound / 반의어: invalid, unsound)
  • intuition: 직관 (동의어: instinct, insight / 반의어: analysis, reasoning)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basing/ hiring decisions/ <on reliable and valid methods>]]/ [rather than intuitive impressions].
  • 이는 강조합니다/ [중요성을/ [근거를 두는 것의/ 채용 결정을/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방법에]]/ [직관적인 인상(에 의존하기)보다는].

어법 설명

  • 동명사구 "basing/ hiring decisions/~"
  • "basing hiring decisions"에서 "기반을 두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
  • 비교 표현 "rather than"
  • "직관적인 인상보다는"을 강조하며 대조를 나타냄.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41번)

  • 지문은 편향과 확증 편향이 어떻게 의사결정과정, 특히 전통적 면접에서 잘못된 판단을 유발하는지 설명합니다. 또한 더 구조화된 접근법이 효과적임을 강조합니다.
  • 41번 정답 제시
  • ① Bias Trap: How Our Preconceptions Mislead Us

어휘의 적절성: 각 선택지 검토

  • (a) justify → 문맥 적절 (선택을 정당화하다)
  • (b) likely → 문맥 적절 (확증 편향에 빠질 가능성)
  • (c) least useful → 문맥 적절 (가장 유용하지 않은 도구)
  • (d) confirm → 문맥 적절 (초기 인상을 확인하다)
  • (e) noticing → 부적절 (문맥상 "noticing" 대신 "overlooking" 필요)
  • 42번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⑤ (e)”입니다.

결론

"확증 편향: 객관적 판단의 장애물을 넘어서다"

2024년 6월 고2 모의고사 41번과 42번 지문은 확증 편향이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효과적으로 설명합니다.41번 문제의 정답인 ① Bias Trap: How Our Preconceptions Mislead Us는 편향이 의사결정을 왜곡하는 핵심 내용을 반영하며, 42번 문제의 정답인 **⑤ (e)**는 "noticing" 대신 "overlooking"이 적합함을 보여줍니다.이 지문은 학생들에게 논리적 사고의 중요성과 구조화된 판단 기준의 필요성을 상기시키며, 신뢰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합니다.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문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어법(문법) 설명이 여러분의 문제 풀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