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이 글에서는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을 문장별로 철저히 분석하여 문제의 정답을 도출합니다. 이 지문은 인간이 음식에 향신료를 사용하는 독특한 특징과, 기후적 요인이 요리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룹니다. 특히, 병렬 구조와 관계대명사 사용, 분사구문 등 출제 가능성이 높은 어법 포인트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문제 해결의 근거를 제시하고, 독해와 어법의 기초를 강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주제에서 벗어난 문장 찾기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주제에서 벗어난 문장 찾기 유형에 대한 단순한 Tip은 위에서 아래로 글을 독해하며 글이 주장하거나 설명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고 문장 간의 연결을 확인하며 독해하는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We are the only species that seasons its food, deliberately altering it with the highly flavored plant parts we call herbs and spices. It’s quite possible that our taste for spices has an evolutionary root. ① Many spices have antibacterial properties — in fact, common seasonings such as garlic, onion, and oregano inhibit the growth of almost every bacterium tested. ② And the cultures that make the heaviest use of spices — think of the garlic and black pepper of Thai food, the ginger and coriander of India, the chili peppers of Mexico — come from warmer climates, where bacterial spoilage is a bigger issue. ③ The changing climate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duction and availability of spices, influencing their growth patterns and ultimately affecting global spice markets. ④ In contrast, the most lightly spiced cuisines — those of Scandinavia and northern Europe — are from cooler climates. ⑤ Our uniquely human attention to flavor, in this case the flavor of spices, turns out to have arisen as a matter of life and death.
* cuisine: 요리(법)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e are the only species that seasons its food, deliberately altering it with the highly flavored plant parts we call herbs and spices.
주요 단어 정리
- species: 종 (동의어: type, kind / 반의어: individual, unique entity)
- season: 양념을 하다 (동의어: flavor, spice / 반의어: bland, unseasoned)
- deliberately: 고의적으로 (동의어: intentionally, purposefully / 반의어: accidentally, unintentionally)
- herb: 허브 (동의어: plant, foliage)
- spice: 향신료 (동의어: condiment, flavoring / 반의어: plainn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are [the only species/ that seasons/ its food],/
- 우리가 [그 유일한 종입니다/ 양념을 하는/ 그것의 음식에],/
- [deliberately/ altering/ it/ [with the highly flavored plant parts/ (which or that) we call/ <herbs and spices>]].
- [의도적으로/ 바꾸면서/ 그것을/ [매우 향이 강한 식물 부분으로/ 우리가 부르는/ <허브와 향신료라고>]].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only species/ that seasons/ its food]”에서 “that”은 선행사, “the only species”를 수식하여, “그것의 음식을 양념하는 유일한 종”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deliberately/ altering/ it/ [with the highly flavored plant parts/ (which or that) we call/ <herbs and spices>]]”은 “[while it deliberately alters/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he species)”가 생략되고 동사 “alters”가 “alter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인간은 음식을 양념하는 유일한 종”입니다.
문장 2
It’s quite possible that our taste for spices has an evolutionary root.
주요 단어 정리
- quite possible: 꽤 가능한 (동의어: fairly likely, probable / 반의어: impossible, unlikely)
- taste for~: ~에 대한 취향 (동의어: preference, liking / 반의어: dislike, aversion)
- evolutionary root: 진화적 뿌리(근거) (동의어: adaptive origi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s quite possible/ [that <our taste/ for spices>/ has/ an evolutionary root].
- 그것은 꽤나 가능합니다/ [<우리의 취향이/ 향신료에 대한>/ 가지고 있다는 것은/ 진화적 뿌리(근거)를].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It’s quite possible/ [that <our taste/ for spices>/ has/ an evolutionary root]”에서 ”It“는 가주어, ”that 절”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hat 절(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hat 절”을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다만, 문맥적으로 좀 더 매끄럽게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서 “possible”보다는 “설득력 있는”의 의미인 “convincing”이나 “persuasive”로 변경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문장 1의 “인간은 음식을 양념하는 유일한 종”에서 문장 2의 “인간의 향신료에 대한 취향이 진화적인 근거가 있음”에 대한 논거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문장 3
① Many spices have antibacterial properties — in fact, common seasonings such as garlic, onion, and oregano inhibit the growth of almost every bacterium tested.
주요 단어 정리
- antibacterial: 항균의 (동의어: germ-killing, disinfectant / 반의어: bacterial, infected)
- seasoning: 조미료 (동의어: flavoring, spice)
- inhibit: 억제하다 (동의어: prevent, suppress / 반의어: promote, enhance)
- bacterium: 박테리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ny spices have/ antibacterial properties/
- 많은 향신료들은 가지고 있습니다/ 항균 특성을/
- —/ in fact,/ [common seasonings/ <such as garlic, onion, and oregano>]/ inhibit/ [the growth/ [of almost every bacterium/ (which is) tested]].
- 다시 말해/ 사실,/ [흔한 조미료들이/ <마늘, 양파, 및 오레가노 같은>]/ 억제합니다/ [성장을/ [거의 모든 박테리아의/ 실험된]].
어법 설명
- 두 번째 문장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두 번째 문장의 주어는 ”common seasoning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inhibit“.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almost every bacterium/ (which is) tested“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almost every bacterium“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이 경우, ”which is”는 사용 불가(선행사에 부정 형용사 every를 포함한 경우). ”시험된 거의 모든 박테리아“의 의미를 전달.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일반적인 향신료의 항균 특성”에 대한 진술로 문장 2의 내용에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문장 4
② And the cultures that make the heaviest use of spices — think of the garlic and black pepper of Thai food, the ginger and coriander of India, the chili peppers of Mexico — come from warmer climates, where bacterial spoilage is a bigger issue.
주요 단어 정리
- culture: 문화 (동의어: society, civilization)
- make the heaviest use of~: ~을 가장 심하게 이용하다
- climate: 기후 (지역)
- bacterial: 박테리아에 의한, 박테리아의
- spoilage: 부패 (동의어: decay, rot / 반의어: preservation, freshness)
- issue: 문제 (동의어: problem, concern / 반의어: solution, resolu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the cultures/ that make the heaviest use of/ spices>]/
- 그리고/ [문화들은/ 가장 심하게 이용하는/ 향신료들을]/
- — think/ [of [<the garlic and black pepper>/ of Thai food],/ [<the ginger and coriander>/ of India],/ (+and)/ [the chili peppers/ of Mexico]] —/
- 즉/ 생각해 보세요/ [[<마늘과 후추에 대해서>/ 태국 음식의],/ [<생강과 고수에 대해서> 인도의],/ (+그리고)/ [고추에 대해서/ 멕시코의]] —/
- come/ [from warmer climates,/ where bacterial spoilage is a bigger issue].
- 옵니다/ [더 더운 기후 지역들로부터,/ 거기서 박테리아에 의한 부패가 더 큰 문제인].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cultures/ that make the heaviest use of/ spices>]”에서 “that”은 선행사, “the cultures”을 수식하여, “향신료들을 가장 심하게 이용하는 문화들”의 의미를 전달.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culture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come“.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think/ [of~]”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병렬 구조의 원칙 오류
- “[<the garlic and black pepper>/ of Thai food],/ [<the ginger and coriander>/ of India],/ (+and)/ [the chili peppers/ of Mexico]”에서 명사구를 여러 개 연결하는 경우 마지막에 오는 명사구는 and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and)를 추가하는 것이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warmer climates,/ where bacterial spoilage is a bigger issue"에서 “where”는 선행사, “warmer climates”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박테리아 부패가 더 큰 문제인 더 더운 기후 지역들”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문장 3의 “향신료의 항균 특성”이 문장 4의 “더운 지방의 심한 향신료 사용”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문장 5
③ The changing climate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duction and availability of spices, influencing their growth patterns and ultimately affecting global spice markets.
주요 단어 정리
- changing climate: 변화하는 기후
- significant: 중대한, 중요한
- impact: 영향 (동의어: effect, influence / 반의어: irrelevance)
- production: 생산
- availability: 이용 가능성 (동의어: accessibility / 반의어: unavailability)
- influence: 영향을 미치다
- growth: 성장
- ultimately: 결국, 궁극적으로
- affect: 영향을 미치다
- global spice market: 글로벌 향신료 시장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hanging climate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duction and availability>/ of spices],/
- 변화하고 있는 기후가 가질(끼칠) 수 있습니다/ 중대한 영향을/ [<생산과 이용 가능성에>/ 향신료의],/
- [<influencing/ their growth patterns>/ and/ <ultimately/ affecting/ global spice markets>].
- [<영향을 미치면서/ 그것들의 성장 패턴에>/ 그리고/ <결국/ 영향을 주면서/ 글로벌 향신료 시장에>].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병렬 구조
- “[<influencing/ their growth patterns>/ and/ <ultimately/ affecting/ global spice markets>]”은 “[while it <influences/~>/ and/ <affects~>]”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he changing climate)”가 생략되고 동사 “influences”와 “affects”가 각각 “influencing”과 “affect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그러면서, 현재 분사구 “<influencing/ their growth patterns>”와 “<ultimately/ affecting/ global spice market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문장 5의 핵심 내용
- 현재까지는 “향신료의 진화적 근거”로 “항균 작용”에 대한 진술이 이루어졌으나, 문장 4에서는 “기후 변화와 향신료의 상관관계”가 진술되어 글의 흐름에서 벗어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③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6
④ In contrast, the most lightly spiced cuisines — those of Scandinavia and northern Europe — are from cooler climates.
주요 단어 정리
- in contrast: 대조적으로 (동의어: on the other hand / 반의어: similarly, likewise)
- lightly spiced: 약간 양념된 (동의어: mildly flavored / 반의어: heavily seasoned)
- cuisine: 요리
- be from~: ~에서 오다(비롯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contrast,/
- 그에 반하여,/
- [the most lightly spiced cuisines]/ — [those/ <of Scandinavia and northern Europe>] —/
- [가장 약하게 양념된 요리들은]/ 다시 말해/ [그것들인(요리들인)/ <스칸디나비아와 북유럽의>] —/
- are from cooler climates.
- 비롯되었습니다 더 추운 기후 지역들에서.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In contrast"
- 문장 내에서 "그에 반하여 / 대조적으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문장 6의 “추운 지방의 가벼운 향신료 사용”은 문장 4의 “더운 지방의 심한 향신료 사용”에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문장 7
⑤ Our uniquely human attention to flavor, in this case the flavor of spices, turns out to have arisen as a matter of life and death.
주요 단어 정리
- human: 인간다운, 인간의
- attention to~: ~에 대한 관심 (동의어: focus, concern / 반의어: neglect, disregard)
- flavor: 맛, 풍미
- turn out: 밝혀지다, 드러나다
- arise: 발생하다 (동의어: emerged, originated / 반의어: disappeared, vanish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ur uniquely human attention/ to flavor>,/ in this case/ <the flavor/ of spices>],/
- [<우리의 독특하게 인간다운 관심이/ 맛에 대한>,/ 이 경우에는/ <맛인/ 향신료들>],/
- turns out/ [to have arisen/ [as a matter/ <of life and death>]].
- 밝혀졌습니다/ [발생했던 것으로/ [문제로서/ <삶과 죽음의>]].
어법 설명
- 동격 관계
- “<Our uniquely human attention/ to flavor>”와 “<the flavor/ of spices>”는 동격 관계입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Our uniquely human attention”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turns out“.
- 완료 부정사[to have + pp]
- 주절의 시제보다 한 시제 앞선 시점에 일어난 일을 표현하며, "발생했던 것으로 밝혀지다"라는 의미 전달.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문장 7의 핵심 내용은 주제문으로 “향신료의 사용이 생사의 문제에서 출발했다는 것”을 진술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지문은 인간의 독특한 향신료 사용 습관과 환경적 요인(기후)에 따른 요리 문화의 차이를 설명합니다.
관계없는 문장
- ③번 문장은 "기후 변화가 향신료 생산과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다룹니다. 이는 주제에서 벗어나므로 관계없는 문장입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③번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정답 및 학습 포인트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의 핵심은 인간의 독특한 향신료 사용 습관과 환경적 요인에 따른 요리 문화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 있습니다. 그러나 ③번 문장은 "기후 변화가 향신료 생산과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며, 지문의 주제에서 벗어나므로 정답으로 도출됩니다.
이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학습 포인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병렬 구조의 이해, 부정 형용사를 포함하는 경우의 관계대명사의 선택적 사용 방법, 분사구문과 관계절의 활용 방식등이 그것입니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독해와 어법 실력을 동시에 강화하고, 시험 문제 풀이에 대한 자신감을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글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고, 빈칸 추론 및 연결 문제의 해법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