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구직 성공의 열쇠: 수동성을 넘어 적극적으로 행동하라"
구직은 단순히 온라인에서 직업 공고를 검색하거나 가끔 이력서를 보내는 활동으로 끝나는 일이 아닙니다.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구직 과정에서의 태도가 단순히 수동적인 검색에서 벗어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능동적이고 전략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특히 "Leave those activities to the rest of the sheep"라는 비유적 표현은 수동적이고 비효율적인 행동을 버리고, 다른 사람들과 차별화된 태도로 행동해야 함을 지적합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문장별 분석을 통해 지문이 전달하는 핵심 메시지를 독해력 증진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글이 담고 있는 핵심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문제 풀이 전략을 익히세요.
함축적인 의미를 추론하는 것은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는 부분을 먼저 독해하고 그 부분의 지문과의 연관성을 찾아야 합니다. 대부분 비유적 표현으로 되어 있어 이해하기는 다소 어렵더라도 먼저 함축적 의미부를 반드시 읽고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독해하는 방향을 - 예를 들어,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Key가 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한국어와 영어 표현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1. 밑줄 친 Leave those activities to the rest of the sheep이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3점]
A job search is not a passive task. When you are searching, you are not browsing, nor are you “just looking”. Browsing is not an effective way to reach a goal you claim to want to reach. If you are acting with purpose, if you are serious about anything you chose to do, then you need to be direct, focused and whenever possible, clever. Everyone else searching for a job has the same goal, competing for the same jobs. You must do more than the rest of the herd. Regardless of how long it may take you to find and get the job you want, being proactive will logically get you results faster than if you rely only on browsing online job boards and emailing an occasional resume. Leave those activities to the rest of the sheep.
② Keep calm and stick to your present position.
③ Don’t be scared of the jobseeking competition.
④ Send occasional emails to your future employers.
⑤ Be more active to stand out from other jobseekers.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8
Leave those activities to the rest of the sheep.
주요 단어 정리
- leave: 남기다, 맡기다 (동의어: assign, entrust / 반의어: keep, retain)
- activity: 활동
- rest: 나머지
- sheep: 양, 수동적인 사람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Leave/ those activities/ <to the rest/ of the sheep>.
- 남겨두세요(맡기세요)/ 그러한 활동들을/ <나머지에게/ 그 양들의(수동적인 사람들의)>.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Leave/ those activities/~”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비유적 표현
- "the rest/ of the sheep"은 "수동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들"을 양의 비유로 표현.
- 문장 8의 핵심 내용 & 함축적 의미 추론 1
- 그러한 활동을 수동적인 사람들에게 남겨두라는 메시지. 함축적 의미 추론을 하기 위해서는 “those activities”의 지시 대상을 찾아야 하므로 문장 7로 이동하여 분석 후 분석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7
Regardless of how long it may take you to find and get the job you want, being proactive will logically get you results faster than if you rely only on browsing online job boards and emailing an occasional resume.
주요 단어 정리
- regardless of~: ~와 상관없이 (동의어: despite, irrespective of / 반의어: dependent on)
- take: (시간이) 걸리다
- proactive: 적극적인 (동의어: assertive, initiative / 반의어: passive, inactive)
- logically: 논리적으로, 이치에 맞게 (동의어: reasonably, rationally / 반의어: illogically, irrationally)
- get: 가져다주다
- rely on~: ~에 의존하다
- only: 오직 ~에만
- browse: 검색하다, 훑어보다
- email: 이메이을 보내다
- occasional: 가끔의
- resume: 이력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egardless of [how long/ it may take/ [[(+for) you]/ [to find and get/ [the job/ (which or that) you want]]]]],/
- [[얼마나 오래/ 그것이 걸릴지와 상관없이/ [[당신이]/ [찾고 얻는 것이/ [직업을/ 당신이 원하는]]]]],/
- <being proactive>/ will logically get/ you/ results/ faster/ [than/ [if you rely/ only/ [<on browsing/ online job boards>/ and/ <(on) emailing/ an occasional resume>]]].
- <적극적인 되는 것은>/ 논리적으로 가져다줄 것입니다/ 당신에게/ 결과들을/ 더 빠르게/ [[당신이 의존하는 경우보다/ 오직/ [<검색하는 것에만/ 온라인 직업 게시판들을>/ 그리고/ <이메일을 보내는 것에만/ 가끔의 이력서를>]]].
어법 설명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long/ it may tak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전치사구 “Regardless of”의 목적어 역할.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may take/ [[(+for) you]/ [to find and get/~]]”에서 ”it“는 가주어, ”to find and get~”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문장의 주어(it) ≠ to 부정사 행위자(you)”이므로 “for”가 추가되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job/ (which or that) you want]”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job”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당신이 원하는 직업”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eing proactive>“와 ”<on browsing/ online job boards>“ 및 ”<(on) emailing/ an occasional resume>“에서 사용된 어법. 첫 번째는 주어로, 나머지는 전치사 ”on“의 목적어 역할. 각각 ”적극적이 되는 것“, ”온라인 직업 게시판들을 검색하는 것“ 및 ”가끔의 이력서를 보내는 것(가끔씩 이력서를 보내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 rely/~]”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문장 7의 핵심 내용 & 함축적 의미 추론 2
- 원하는 직업을 얻기 위해서는 소극적인 행위를 버리고 적극적이 되라는 의미. 문장 8과 문장 7의 논리적 관계로부터, 문장 8에서 “the sheep”으로 표현된 “수동적인(소극적인) 사람들”이 표현되었다면, 문장 7에서는 비교급의 사용으로 “<being proactive(적극적이 되는 것>”의 대조적 의미로 “<browsing/ online job boards(온라인 직업 게시판을 검색하는 것)>”과 “<emailing/ an occasional resume(가끔의 이력서를 보내는 것)>”을 “수동적이(소극적이) 되는 것 내지 행위”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즉, “those activities”가 의미하는 바가 “<browsing/ online job boards>/ and/ <emailing/ an occasional resume>”로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Leave/ these activities/ <to the rest of sheep”은 “이러한 소극적 행위들을 수동적인 사람들에게 맡기라”는 내용이므로, 보기를 확인하면, “⑤ Be more active to stand out from other jobseekers(다른 구직자들로부터 두드러지기 위해서 적극적이 되세요).”이 가장 가깝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부터 분석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1
A job search is not a passive task.
주요 단어 정리
- job search: 구직 (동의어: job hunting, employment seeking / 반의어: job neglect, unemployment)
- passive: 수동적인 (동의어: inactive, indifferent / 반의어: active, proactive)
- task: 과제, 일 (동의어: duty, assignment / 반의어: neglect, avoida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job search is not a passive task.
- 구직은 수동적인 일이 아닙니다.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구직 ≠ 수동적인 일, 바꿔 생각하면, ”구직 = 적극적인 일“이라는 주장입니다. 이미 답을 찾았기에, 이 문장에서도 ⑤번이 정답임을 시사합니다.
문장 2
When you are searching, you are not browsing, nor are you “just looking”.
주요 단어 정리
- search: 찾다, 검색하다 (동의어: look for, seek / 반의어: ignore, neglect)
- browse: 훑어보다, 검색하다 (동의어: skim, scan / 반의어: focus, concentrate)
- not A nor B: A도 B도 아니다 (동의어: neither A nor B / 반의어: either A or B)
- just looking: 그냥 보는 것, 단순히 둘러보는 것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you are searching/ (+for a job)],/
- [당신이 찾고 있을 때/ (+직업을)],/
- you are not browsing,/ nor are you “just looking”.
- 당신은 검색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훑어보는 것"도 아닙니다.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you are searching/ (+for a job)]”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의미의 보완 필요성
- 문장 1(구직)과 문장 2의 논리적 관계로 볼 때, “[[When you are searching/ (+for a job)]”처럼 when 절에 “for a job”을 추가하는 것이 문맥상 적절합니다.
- neither A nor B의 변형 not A nor B
- “not A nor B“ 용법은 ”neither A not B(A도 B도 아닌)“ 용법의 변형 형태로, 어법에서 가르치는 것은 ”neither A not B“ 용법입니다. 따라서, 현대 영어에서 ”not A nor B“가 통용되고 있다 하더라도, 표준 표현인 ”neither A not B“로 표현하는 것이 공적인 문서인 모의고사에서 취할 태도입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구직은 단지 검색하는 것도 훑어보는 것도 아니다.“ 이미 문장 8과 문장 7을 독해하면서 구직 행위가 적극적 행위임을 이미 알고 있기에, 표현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문장 2에서 제시된 'browsing'과 'just looking'은 문장 8에서 'those activities'로 암시적으로 연결되며, 이후 문장(문장 7, 8)을 통해 그 의미가 구체화됩니다. 시험 지문은 수험생의 분석적 사고를 유도하기 위해 함축적인 표현과 논리적 연결을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문장 3
Browsing is not an effective way to reach a goal you claim to want to reach.
주요 단어 정리
- effective: 효과적인 (동의어: efficient, productive / 반의어: ineffective, useless)
- reach: 도달하다, 이르다 (동의어: achieve, attain / 반의어: fail, miss)
- goal: 목표 (동의어: aim, objective / 반의어: distraction, purposelessness)
- claim: 주장하다, 요구하다 (동의어: assert, insist / 반의어: deny, reject)
- claim to 부정사: ~한다고 주장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rowsing is not [an effective way/ [to reach/ [a goal/ (which or that) you claim/ <to want/ to reach>]]].
- 검색하는 것은 [효과적인 방법이 아닙니다/ [도달하기 위한/ [목표에/ 당신이 주장하는/ <원한다고/ 도달하기를>(당신이 도달하기을 원한다고 주장하는)]]].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n effective way/ [to reach/ [a goal/~]]”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an effective way”를 수식하여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의 의미를 전달.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a goal/ (which or that) you claim/ <to want/ to reach>]”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a goal”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당신이 도달하기를 원한다고 주장하는 목표”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claim/ <to want/ to reach>”에서 사용된 용법. “to want”는 “claim”의 목적어로 “원한다는 것을(원한다고) 주장하는”을, “to reach”는 “to want”의 목적어로 “도달하기를 원한다고”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이미 문장 7로부터 “Browsing”은 “Browsing/ online job boards”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문장 3은 이후 문장(문장 7, 8)과의 논리적 연결을 통해 명확히 이해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초반부에서는 다소 완전하지 않은 표현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문장 4
If you are acting with purpose, if you are serious about anything you chose to do, then you need to be direct, focused and whenever possible, clever.
주요 단어 정리
- act: 행동하다 (동의어: perform, operate / 반의어: hesitate, neglect)
- purpose: 목적, 의도 (동의어: intention, aim / 반의어: aimlessness, randomness)
- serious: 진지한 (동의어: earnest, sincere / 반의어: casual, indifferent)
- choose to 부정사: ~하기로 선택하다
- direct: 직접적인, 명확한 (동의어: straightforward, explicit / 반의어: indirect, vague)
- focused: 집중된 (동의어: attentive, concentrated / 반의어: distracted, unfocused)
- clever: 영리한 (동의어: smart, intelligent / 반의어: foolish, dull)
- whenever possible: 가능하다면 언제든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you are acting/ with purpose],/ (+and)/ [if you are serious/ [about anything/ (that) you chose to do]],/
- [만약 당신이 행동한다면/ 목적을 가지고],/ (+그리고)/ [만약 당신이 진지하다면/ [어떤 것에 대해서든지/ 당신이 하기로 선택한]],/
- then/ you need to be [direct, focused and, [whenever possible], clever].
- 그렇다면/ 당신은 [직접적이고, 집중하고, [가능하다면 언제든지], 영리해져야 합니다].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병렬 구조 – and 추가 필요
- “[If you are acting/ with purpose]”와 “[if you are serious/ [about anything/ (that) you chose to do]]”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조건의 부사절이 병렬 연결된 구조이므로, 의미상, 형태상 “and”를 추가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의 생략
- “anything/ (that) you chose to do”에서 생략된 ”(that)”은 선행사, “anything”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당신이 하기로 선택한 어떤 것 (이라도)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에 부정 대명사 ”~thing“을 포함하는 경우로 which는 사용하지 못합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목적격 관계 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병렬 연결 – 세 개의 형용사를 and로 병렬 연결
- ”[direct, focused and, [whenever possible], clever]“에서 사용된 어법. ”[whenever possible(가능하다면 언제든지)]“가 형용사 사이에 삽입된 경우로, 앞뒤로 comma(,)로 분리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이미 주제가 ”구직할 때 적극적이 되라.“는 내용을 알고 있기에, 문장 4에 사용된 형용사 ”[direct, focused and, [whenever possible], clever]“들은 "direct(직접적인)”과 “focused(집중된)”은 적극적인 태도와 강하게 연결되며, “clever(영리한)”는 문제 해결과 창의적인 접근법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문장 5
Everyone else searching for a job has the same goal, competing for the same jobs.
주요 단어 정리
- everyone else: 다른 모든 사람들
- compete: 경쟁하다 (동의어: contend, vie / 반의어: cooperate, collabor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ryone else/ (that is) searching/ for a job]/ has/ the same goal,/
- [다른 모든 사람들이/ 찾고 있는/ 직업을(구직 중인)]/ 가지고 있습니다/ 같은 목표를,/
- [competing/ for the same jobs].
- [경쟁하면서/ 같은 직업에 대해].
어법 설명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Everyone else/ (that is) searching/ for a job]“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Everyone els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that i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직업을 찾고 있는(구직 중인) 다른 모든 사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Everyone else"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다수 형태인, "has".
- 분사구문
- “[competing/ for the same jobs]”은 “[while he or she competes/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he or she(=Everyone else)”가 생략되고 동사 “competes”가 “compet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모든 사람이 구직을 위해 경쟁함을 진술합니다.
문장 6
You must do more than the rest of the herd.
주요 단어 정리
- must+동사원형: ~해야 한다 (동의어: have to, should / 반의어: may, can)
- herd: 무리, 떼 (동의어: group, flock / 반의어: individu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must do/ more/ <than the rest/ of the herd>.
- 당신은 해야 합니다/ 더 많은 것을/ <그 나머지보다/ 무리의>.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문장 5와 연계하여, 직업을 구하기 위해 다른 구직자 보다 더 많은 것을 해야 함을 진술합니다. 여기서 “the herd”는 문맥상 “those/ who are searching/ for jobs(직업을 찾고 있는 사람들)” 정도의 의미하고 문장 8과 연계하면 "the sheep"과 같은 의미입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및 분석 요약
-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구직 과정에서 수동적이고 비효율적인 태도를 버리고, 목표 지향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문장 8의 "Leave those activities to the rest of the sheep"은 수동적이고 비효율적인 행동을 "양"이라는 비유를 통해 경계하며, 능동적으로 두드러지기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문장 7과 8의 논리적 관계를 통해, "those activities"는 문장 7에서 언급된 "browsing online job boards"와 "emailing an occasional resume"와 같은 소극적인 행위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곧 "수동적인 태도를 버리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라"는 지문의 핵심 메시지와 연결됩니다.
보기 검토 및 정답 선택
- ① Try to understand other job-seekers’ feelings.
- 다른 구직자들의 감정을 이해하라는 내용은 전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② Keep calm and stick to your present position.
- 현재 직책을 유지하라는 내용 또한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 ③ Don’t be scared of the job-seeking competition.
- 경쟁을 두려워하지 말라는 메시지는 문장 전체에서 간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으나, 지문의 핵심 메시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습니다.
- ④ Send occasional emails to your future employers.
- "occasionally emailing resumes"는 문장 7에서 비효율적인 행동으로 지적되며, 이를 다른 사람들에게 맡기라는 내용이 지문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었습니다.
- ⑤ Be more active to stand out from other job-seekers.
- 문장 6에서 "You must do more than the rest of the herd"와 문장 8의 "Leave those activities to the rest of the sheep"는 "다른 구직자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⑤번 “Be more active to stand out from other job-seekers.”가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능동적 태도로 구직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구직 과정에서의 태도를 재고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수동적이고 비효율적인 행동을 지양하고 능동적인 전략을 활용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지문의 마지막 문장에서 언급된 "Leave those activities to the rest of the sheep"는 단순히 온라인 검색이나 가끔 이력서를 보내는 소극적 행위를 다른 사람들에게 맡기고, 더 적극적이고 전략적으로 행동하라는 뜻입니다. 이는 시험에서 제시된 정답 보기 ⑤번, "Be more active to stand out from other job-seekers"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구직뿐 아니라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수동성을 넘어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접근이 필수적입니다. 이 지문을 통해 수험생들이 시험 독해력뿐 아니라 실질적인 문제 해결력까지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또한, 시험 대비뿐만 아니라, 영어 독해 실력을 키울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