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영어 지문(36번 문제)은 9세기 말 산업 건축의 문제점과 새로운 건축적 태도의 등장을 다루며, 단락 간의 논리적 흐름을 바탕으로 적절한 순서를 찾는 독해 문제입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지문에 포함된 문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논리적 연결을 명확히 파악하여 정답 도출 과정을 제시합니다. 특히, "these approaches"와 "past styles"의 연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논리적 혼란을 짚어내며, 문맥상 필요한 수정 사항을 제안합니다.
이 콘텐츠는 주요 어휘와 어법 설명, 문제 해결 방법론을 포함하고 있어, 독해력 향상과 문제 풀이 스킬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본 분석에는 실전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론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가급적 끝까지 해설 내용을 정독하시어 단락 하나를 읽지 않고도 정답을 추론하는 과정을 반복 학습하셔서 꼭 독자만의 방법으로 만드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이 전체적인 글의 이해와 문제 풀이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6.
Towar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 new architectural attitude emerged. Industrial architecture, the argument went, was ugly and inhuman; past styles had more to do with pretension than what people needed in their homes.
(A) But they supplied people’s needs perfectly and, at their best, had a beauty that came from the craftsman’s skill and the rootedness of the house in its locality.
(B) Instead of these approaches, why not look at the way ordinary country builders worked in the past? They developed their craft skills over generations, demonstrating mastery of both tools and materials.
(C) Those materials were local, and used with simplicity — houses built this way had plain wooden floors and whitewashed walls inside.
*pretension 허세, 가식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Towar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 new architectural attitude emerged. Industrial architecture, the argument went, was ugly and inhuman; past styles had more to do with pretension than what people needed in their homes.
주요 단어 정리
- toward the end of~: ~의 말 즈음에, ~ 말쯤 (동의어: near the end of / 반의어: at the beginning of)
- architectural attitude: 건축적 태도
- emerge: 나타나다, 등장하다 (동의어: arise, appear / 반의어: disappear, vanish)
- argument: 논쟁
- go: 지속되다
- industrial architecture: 산업 건축
- ugly: 못생긴, 추한 (동의어: unattractive, unpleasant / 반의어: beautiful, appealing)
- inhuman: 비인간적인 (동의어: cruel, mechanical / 반의어: humane, human)
- have to do with~: ~와 관련이 있다
- pretension: 허세, 가식 (동의어: affectation, ostentation / 반의어: humility, modes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war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 new architectural attitude emerged.
- <말 즈음에/ 19세기의>,/ 새로운 건축적 태도가 등장했습니다.
- Industrial architecture,/ [the argument went(→while the argument went)],/ was <ugly and inhuman>/
- 산업 건축은,/ [논쟁이 지속되었다(→논쟁이 지속되었지만)],/ <추하고 비인간적이> 되었습니다.
- ;/ past styles had more to do/ with pretension/ [than what people needed/ in their homes].
- 다시 말해/ 과거의 스타일들이 더 많은 관련이 있었습니다/ 허세와/ [사람들이 집(들)에서 필요로 했던 것보다].
어법 설명
- 문장의 삽입 & 불완전한 표현의 보완 필요성
- “Industrial architecture,/ [the argument went(→while the argument went)],/ was <ugly and inhuman>”에서 “the argument went”가 삽입된 구조. 문맥상, 의미상 양보의 부사절, “while the argument went”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아니면 두 개의 문장을 “and”로 병렬 연결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The argument went/ and/ industrial architecture was <ugly and inhuman>(논쟁이 지속되었고 산업 건축은 추하고 비인간적이 되었습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people needed/ in their homes”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들의 집(들)에서 필요로 했던 것“의 의미.
- 핵심 내용
- 19세기 말, 산업 건축은 비인간적이고 못생겼다는 비판 속에 새로운 건축적 태도가 등장했습니다. 과거의 스타일은 허세에 더 치중했으며,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실제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단락 (A)
But they supplied people’s needs perfectly and, at their best, had a beauty that came from the craftsman’s skill and the rootedness of the house in its locality.
주요 단어 정리
- supply: 제공하다, 충족시키다 (동의어: provide, fulfill / 반의어: withhold, deny)
- perfectly: 완벽하게 (동의어: completely, flawlessly / 반의어: inadequately, partially)
- at one‘s best: ~의 최상의 상태에서
- come from~: ~에서 (나)오다
- craftsman’s skill: 장인의 기술
- rootedness: 뿌리 깊음, 정착성
- locality: 지역, 지방 (동의어: region, area / 반의어: universality, general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they [supplied/ people’s needs/ perfectly]/ and,/ at their best,/ [had/ [a beauty/ that came/ from the craftsman’s skill] and [<the rootedness/ of the house>/ in its locality]].
- 하지만 그것들은 [제공했습니다/ 사람들의 필요들을/ 완벽하게]/ 그리고,/ 최상의 상태에서는,/ [가지고 있었습니다/ [아름다움을/ 나왔던/ 장인의 기술로부터]/ 그리고/ [<뿌리 깊음을/ 그 집의>/ 그것의(그 집의) 지역에서의]].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1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supplied/ people’s needs/ perfectly]”와 “[had/ [a beauty/ that came/ from the craftsman’s skill] and [<the rootedness/ of the house>/ in its locality]]”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병렬 구조 2 – 두 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동사 “had”의 목적어로, “[a beauty/ that came/ from the craftsman’s skill]”와 “[<the rootedness/ of the house>/ in its locality]”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beauty/ that came/ from the craftsman’s skill]”에서 “that”은 선행사, “a beauty”를 수식하여, “장인의 기술로부터 나오는 아름다움”의 의미를 전달.
- 핵심 내용 & 순서 추론 1
- 과거의 건축 스타일은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켰고, 장인의 기술과 지역성과 같은 특성에서 비롯된 독특한 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제시문의 “Industrial architecture,/ [the argument went(→while the argument went)],/ was <ugly and inhuman>”으로부터 이 단락의 주어인 “They”는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시문과 직접적 관련이 없으며, “They”의 지시대상을 찾아야 합니다.
단락 (B)
Instead of these approaches, why not look at the way ordinary country builders worked in the past? They developed their craft skills over generations, demonstrating mastery of both tools and materials.
주요 단어 정리
- instead of~: ~대신에 (동의어: rather than, in place of / 반의어: along with, as well as)
- approach: 접근법, 방식 (동의어: method, strategy / 반의어: avoidance, disregard)
- ordinary: 평범한, 일반적인 (동의어: regular, typical / 반의어: extraordinary, unique)
- country builder: 시골 건축가
- develop: 발전시키다 (동의어: cultivate, enhance / 반의어: neglect, deteriorate)
- craft skill: 공예 기술
- generation: 세대
- mastery: 숙달, 통달 (동의어: expertise, proficiency / 반의어: incompetence, ignorance)
- both A and B: A와 B 둘 다
- material: 재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stead of these approaches>,/ why not look at/ [the way/ (how) ordinary country builders worked/ in the past]?
- <이러한 접근 방식들 대신에>,/ 왜 보지 않나요(보세요)/ [그 방식을/ 평범한 시골 건축가들이 일했던/ 과거에]?
- They developed/ their craft skills/ over generations,/
- 그들은 발전시켰습니다/ 그들의 공예 기술들을/ 여러 세대에 걸쳐서,/
- [demonstrating/ [mastery/ <of both tools and materials>]].
- [보여주면서/ [숙달을/ <공구들과 재료들 둘 다의>]].
어법 설명
- 관계부사 how의 생략
- ”[the way/ (how) ordinary country builders worked/ in the past]“에서 사용된 어법. 방법의 선행사, ”the way”와 관계부사 “how”의 경우,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생략해야 합니다. 내신에서 비교적 자주 출제되는 사항이니 기억하세요.
- 분사구문
- “[demonstrating/~]”은 “[while they demonstrate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가 생략되고 동사 “demonstrated”가 “demonstrat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핵심 내용 & 순서 추론 2
- 기존 접근 방식 대신, 과거 시골 건축가들의 작업 방식을 고려하자는 제안이 이루어집니다. 그들은 세대에 걸쳐 도구와 재료에 대한 숙련된 기술을 발전시켰습니다. 단락 (B)의 “<Instead of these approaches>”를 제시문의 “a new architectural attitude”의 대체 표현으로 보는 경우, “<Instead of this approach>”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제시문의 “these approaches"를 'past styles"로는 보는 경우, 의미상 서로 다른 개념을 지칭하기 때문에, "these approaches"가 제시문의 "past styles"를 지칭한다고 연결 짓는 것은 적절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단락 (C)를 읽고 제시문의 “a new architectural attitude”를 대체할 표현이 없는 경우, 제시문은 단락 (B)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단락 (C)
Those materials were local, and used with simplicity — houses built this way had plain wooden floors and whitewashed walls inside.
주요 단어 정리
- material: 재료, 자재 (동의어: substance, element / 반의어: product, outcome)
- local: 지역(산)의, 현지의 (동의어: regional, native / 반의어: global, universal)
- simplicity: 단순함, 간소함 (동의어: plainness, minimalism / 반의어: complexity, intricacy)
- with simplicity: 소박하게, 단순하게
- plain: 소박한, 간단한 (동의어: simple, unadorned / 반의어: ornate, elaborate)
- wooden floor: 나무 바닥
- whitewashed wall: 회반죽으로 칠한 벽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ose materials were local,/ and/ (were) used/ with simplicity/
- 그 재료들은 지역산 이었습니다,/ 그리고/ 사용되었습니다/ 소박하게/
- —/ [houses/ (which or that were) built/ this way]/ had/ [<plain wooden floors>/ and/ <whitewashed walls/ inside>].
- 다시 말해/ [집들은/ 지어졌던/ 이런 식으로]/ 가지고 있었습니다/ [<단순한 나무 바닥들을>/ 그리고/ <회반죽으로 칠한 벽을/ 내부에>].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were) used”에서 사용된 어법. "사용되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 “~된(되었던)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houses/ (which or that were) built/ this way]“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house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e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이런 식으로 지어졌던 집들“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2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plain wooden floors>"와 "<whitewashed walls/ inside>"는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입니다.
- 핵심 내용 & 순서 추론 3
- 지역에서 나온 재료가 단순하게 사용되었으며, 이런 방식으로 지어진 집들은 소박한 나무 바닥과 회반죽 벽을 특징으로 했습니다. 단락 (B) 마지막 부분의 ”materials“가 단락 (C)의 ”Those materials“을 의미하며, 단락 (C)의 ”houses“가 단락 (A)의 주어인 ”they“를 가르킴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단락간 논리적 연결 측면에서도, 단락 (B)에서는 과거 시골 건축가들의 방식을 제안하며, 단락 (C)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이후 단락 (A)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충족된 필요와 아름다움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B) - (C) - (A)의 어순이 적절합니다. 다만, 문맥상 제시문의 ”a new architectural attitude“가 단락 (B)의 ”these approaches“로 연결되는 논리적 결함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단락 (B)의 ”these approaches“는 ”this approach“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지문은 19세기 말 등장한 새로운 건축적 태도를 중심으로, 산업 건축의 문제점과 과거 시골 건축가들의 방식을 활용한 대안적 접근법을 설명합니다. 각 단락은 새로운 건축 태도에 대한 비판과 대안, 그리고 그 대안을 실현한 방식의 구체적 사례를 순차적으로 제시합니다.
순서 분석
- 제시문
- 19세기 말, 기존의 산업 건축이 비인간적이고 허세에 치중되었다는 비판 속에서 새로운 건축적 태도가 등장했음을 소개합니다.
- 단락 (B)
- 제시문의 "a new architectural attitude"와 연결되는 내용으로, 과거 시골 건축가들의 방식을 대안으로 제안합니다. 그들은 세대에 걸쳐 도구와 재료를 활용하는 기술을 숙달했습니다.
- 단락 (C)
- 단락 (B)에서 제안된 방식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현되었는지 설명합니다. 시골 건축가들은 지역 재료를 단순하게 사용하여 소박한 나무 바닥과 회반죽 벽이 있는 집을 지었습니다.
- 단락 (A)
- 단락 (C)에서 설명된 건축 방식이 어떻게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장인의 기술과 지역적 특성에서 비롯된 독특한 아름다움을 가졌는지를 강조합니다.
연결 논리와 문제점 보완
- 단락 (B)의 "these approaches"는 제시문의 "a new architectural attitude"와 연결되어야 하지만, "approach"라는 단어가 "styles"와 혼용될 경우, 의미상 오해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these approaches"를 "this approach"로 변경하는 것이 문맥상 적절합니다.
- 단락 (C)의 "Those materials"는 단락 (B) 마지막의 "materials"와 연결되며, 단락 (A)의 "they"는 단락 (C)의 "houses"를 가리킵니다.
정답 도출
-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B) - (C) - (A)이며, 정답은 ③번입니다.
결론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은 단락 간의 논리적 흐름을 이해하고, 대안적 건축 방식이 어떻게 발전되었는지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분석 결과, 올바른 순서는 ”(B) - (C) - (A)“로, 제시문의 새로운 건축적 태도가 단락 (B)의 "this approach"로 구체화되고, 단락 (C)와 (A)를 통해 그 대안의 구체적 사례와 성과가 설명됩니다.
다만, "these approaches"가 제시문의 "past styles"와 연결되지 않는 점에서 논리적 결함이 있었으며, 이를 "this approach"로 수정하는 것이 적절했습니다.
이 분석을 통해 학생들은 독해 문제에서 문맥과 흐름을 파악하는 방법과 더불어, 논리적 연결성을 검토하는 중요성을 배울 수 있습니다. SEO 최적화된 이 콘텐츠는 모의고사 및 수능 준비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