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이번 글에서는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영어 37번 문제를 분석합니다. 이 문제는 슈만의 명언을 통해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의 개념을 탐구하고, 연주자의 태도가 음악의 본질적 전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합니다.
문제를 풀기 위해 제시문과 단락의 논리적 연결성을 파악하며,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순서를 찾아낼 것입니다. 본 분석은 문장별 어법과 논리적 전개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며, 순서배열 문제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어법 해설이 문제 풀이 및 전체 지문의 이해를 위해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7.
Robert Schumann once said, “The laws of morals are those of art.” What the great man is saying here is that there is good music and bad music.
(A) It’s the same with performances: a bad performance isn’t necessarily the result of incompetence. Some of the worst performances occur when the performers, no matter how accomplished, are thinking more of themselves than of the music they’re playing.
(B) The greatest music, even if it’s tragic in nature, takes us to a world higher than ours; somehow the beauty uplifts us. Bad music, on the other hand, degrades us.
(C) These doubtful characters aren’t really listening to what the composer is saying — they’re just showing off, hoping that they’ll have a great ‘success’ with the public. The performer’s basic task is to t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usic, and then to communicate it honestly to others.
*incompetence 무능 **degrade 격하시키다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37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Robert Schumann once said, “The laws of morals are those of art.” What the great man is saying here is that there is good music and bad music.
주요 단어 정리
- moral: 도덕, 윤리 (동의어: ethics, principles / 반의어: immorality, vice)
- art: 예술
- great man: 위대한 사람, 훌륭한 인물
- good music and bad music: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
- say: 말하다, 표현하다 (동의어: state, express / 반의어: conceal, withhol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obert Schumann once said,/ “<The laws/ of morals>/ <are those/ of art>.
- ”로베르트 슈만은 한때 말했습니다,/ “도덕의 법칙들이/ <그것들(규칙들)입디다/ 예술의>”라고/.
- [What the great man is saying/ here]/ is [that there is(→are) <good music and bad music>].
- [그 위대한 사람이 말하는 것은/ 여기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이>].
어법 설명
- 직설법에서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직설법 문장의 주어는 “The law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are”.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the great man is saying/ here]”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 위대한 사람이 여기서 말하는 것“의 의미.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s [that there is(→are) <good music and bad music>]"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보어절에서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보어절의 주어는 “<good music and bad music>”으로 한 개념으로 볼 수 없는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으로 복수입니다. 따라서, “is”를 “are”로 변경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핵심 내용
- 슈만은 예술도 도덕과 마찬가지로 옳고 그름의 기준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이 존재함을 명시합니다.
단락 (A)
It’s the same with performances: a bad performance isn’t necessarily the result of incompetence. Some of the worst performances occur when the performers, no matter how accomplished, are thinking more of themselves than of the music they’re playing.
주요 단어 정리
- be the same with~: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 performance: 공연, 연주 (동의어: presentation, execution / 반의어: inaction, nonperformance)
- necessarily: 반드시, 필연적으로
- result: 결과
- no matter how~: 아무리 ~할지라도
- incompetence: 무능, 부족함 (동의어: inability, ineptitude / 반의어: competence, proficiency)
- accomplished: 뛰어난, 숙련된 (동의어: skilled, proficient / 반의어: inexperienced, unskilled)
- think of~: ~에 대해 생각하다
- music they’re playing: 그들이 연주하는 음악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s the same/ with performances/:/ a bad performance <isn’t necessarily the result/ of incompetence>.
- 그것은 동일합니다/ 공연들에 대해서도/ 즉/ 나쁜 공연은 <반드시 그 결과는 아닙니다/ 무능의>.
- <Some/ of the worst performances>/ occur/ [when the performers,/ [no matter how accomplished],/ are thinking/ more/ of themselves/ [than/ [of the music/ (which or that) they’re playing]]].
- <일부는/ 최악의 공연들 중>/ 발생합니다/ [연주자들이,/ [아무리 (그 연주자들이) 뛰어나다 할지라도],/ 생각하고 있을 때/ 더 많이/ 자신에 대해/ [[음악에 대해서 보다/ 그들이 연주하고 있는]]].
어법 설명
- 두 번째 문장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부분/분수 뜻의 명사+복수명사”는 복수 취급합니다. 두 번째 문장의 주어는 “<Some/ of the worst performance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occur”.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e performers,/ [no matter how accomplished],/ are thinking/~]”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삽입절
- “[no matter how accomplished]”는 “[no matter how they are accomplished]”의 종속절에서 주어 “they(=the performers)”가 생략되고 동사 “are”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분사구문입니다. “아무리 (그 연주자들이) 뛰어나다 할지라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그러면서 “when 절”의 주어 “the performers”와 “when 절”의 동사 “are thinking” 사이에 삽입된 형태.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music/ (which or that) they’re playing”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music”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들이 연주하고 있는 음악”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핵심 내용 & 순서 추론 1
- 나쁜 연주는 연주자의 무능 때문이 아닐 수도 있으며, 자신을 과도하게 의식하는 태도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순서를 추론하기 위해서는 “It”의 내용을 찾아야 합니다.
단락 (B)
The greatest music, even if it’s tragic in nature, takes us to a world higher than ours; somehow the beauty uplifts us. Bad music, on the other hand, degrades us.
주요 단어 정리
- the greatest music: 최고의 음악
- tragic: 비극적인
- in nature: 본질적으로
- take A to B: A를 B로 데려가다
- uplift: 고양하다, 기운을 북돋다 (동의어: elevate, inspire / 반의어: depress, lower)
- bad music: 나쁜 음악
- degrade: 격하시키다, 저하시키다 (동의어: diminish, devalue / 반의어: enhance, improv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greatest music,/ [even if it’s tragic/ in nature],/ takes/ us/ [to a world/ (which or that is) higher/ than ours].
- 최고의 음악은,/ [설령 그것이 본질적으로/ 비극적일지라도],/ 우리를 데려갑니다/ [세상으로/ 더 높은 우리의 세상보다].
- Somehow/ the beauty uplifts/ us./ Bad music,/ on the other hand,/ degrades/ us.
- 어떻게든/ 그 아름다움은 고양합니다/ 우리를./ 반면 나쁜 음악은,/ 격하시킵니다/ 우리를.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even if[ though / although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even if it’s tragic/ in nature]”에서 사용된 어법.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a world/ (which or that is) higher/ than ours"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 is)"는 선행사, “a world”를 수식하여, “우리의 세상보다 더 높은 세상”의 의미를 전달.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 접속부사구 "on the other hand"
- 문장 내에서 "반면에"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핵심 내용
- 좋은 음악은 우리를 고양시키지만, 나쁜 음악은 우리를 격하시키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제시문에서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의 존재”에 대해서 언급했고 단락 (B)에서 “The greatest music”과 “Bad music”을 대비하여 그 음악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제시문 다음에 단락 (B)가 위치해야 논리적으로 적절합니다. 단락 (A)는 “It”가 지시하는 내용 역시 단락 (B)의 내용으로 봐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단락 (C)를 아직 독해하지 않았지만, 단락 (C)의 “These doubtful characters”가 단락 (A)의 “The worst performers”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B) - (A) - (C)의 어순인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단락 (C)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단락 (C)
These doubtful characters aren’t really listening to what the composer is saying — they’re just showing off, hoping that they’ll have a great ‘success’ with the public. The performer’s basic task is to t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usic, and then to communicate it honestly to others.
주요 단어 정리
- doubtful character: 의심스러운 인물
- composer: 작곡가
- show off: 과시하다 (동의어: boast, flaunt / 반의어: hide, downplay)
- success: 성공
- public: 대중 (동의어: audience, crowd / 반의어: individual, private group)
- basic task: 기본적인 임무
- meaning: 의미
- and then: 그런 다음, 그러고 나서
- communicate: 전달하다 (동의어: convey, express / 반의어: withhold, suppr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se doubtful characters/ aren’t really listening/ [to what the composer is saying]/
- 이런 의심스러운 인물들은/ 정말로 귀를 기울이고 있지 않습니다/ [그 작곡가가 말하고 있는 것에].
- — they’re just showing off,/ [hoping/ [that they’ll have/ a great ‘success’/ with the public]]./
- 다시 말해/ 그들은 단지 과시하고 있습니다,/ [바라면서/ [그들이 가지기를/ 큰 ‘성공을’/ 대중과 함께]]./
- The performer’s basic task/ is to t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usic>],/ and then/ [to communicate/ it/ honestly/ to others].
- 연주자의 기본적인 임무는/ 노력하는 것입니다/ [이해하기 위해서/ <의미를/ 그 음악의>],/ 그런 다음/ [전달하기 위해서/ 그것을/ 정직하게/ 다른 이들에게].
어법 설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the composer is saying”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 작곡가가 말하고 있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분사구문
- “[hoping/~]”은 “[while they hop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가 생략되고 동사 “hope”가 “hop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hoping/ [that~]]"에서 "that"은 현재분사, "hoping"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하기를)/~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be + (to) 부정사
- “is to try”에서 사용된 어법.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이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병렬 구조
-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usic>],/ and then/ [to communicate/ it/ honestly/ to others]”에서 사용된 용법. 그러면서 “and then”으로 연결된 병렬 구조입니다.
- 핵심 내용
- 연주자는 작곡가의 의도를 제대로 이해하고 정직하게 전달해야 하지만, 일부는 이를 무시하고 대중적 성공만을 목표로 과시하는 데 집중합니다. 단락 (B)에서 언급한 것처럼 단락 (A)의 “the performers”가 단락 (C)에서 설명되고 있습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지문은 슈만의 "예술과 도덕의 법칙"이라는 명제를 기반으로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의 본질을 탐구하며, 연주자의 태도가 음악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합니다.
- 제시문: 예술에도 도덕처럼 옳고 그름의 기준이 있으며,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이 존재함을 강조.
- 단락 (B): 좋은 음악은 우리를 고양시키고 나쁜 음악은 우리를 격하시키는 영향을 준다는 내용을 명확히 설명.
- 단락 (A): 나쁜 연주의 원인이 연주자의 무능이 아닌 태도(자기중심적 사고)에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단락 (B)와 연결.
- 단락 (C): 연주자의 태도가 곡의 본질을 전달하는 데 중요하다는 점을 설명하며, 단락 (A)와 연결.
순서 분석
- 1. 제시문과 단락 (B) 연결
- 제시문은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의 존재"를 언급하고 있으며, 단락 (B)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의 효과를 대비적으로 설명하는 단락 (B)가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 2. 단락 (B)와 단락 (A) 연결
- 단락 (A)의 시작 부분 "It’s the same with performances"에서 "It"이 가리키는 대상이 단락 (B)의 내용(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의 영향)임을 알 수 있습니다.
- 3. 단락 (A)와 단락 (C) 연결
- 단락 (A)에서 언급된 "the worst performances"가 단락 (C)의 "These doubtful characters"로 이어지며, 연주자의 태도와 음악의 전달이라는 주제를 확장합니다.
정답 도출
- 제시문 → (B) → (A) → (C)의 흐름이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번입니다.
결론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37번 지문은 "예술과 도덕의 법칙"을 바탕으로 음악의 질과 연주자의 태도에 관해 다룬 내용입니다.
제시문에서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의 존재"를 언급하며 시작해, 단락 (B)는 음악의 효과를, 단락 (A)는 연주자의 태도가 나쁜 연주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단락 (C)는 곡의 본질을 이해하고 전달해야 하는 연주자의 임무를 논의했습니다.
이를 통해 (B) → (A) → (C)의 순서가 가장 논리적임을 확인하였고, 정답은 ②번으로 도출되었습니다.
이번 분석을 통해 순서배열 문제의 핵심 전략과 논리적 연결 고리를 파악하는 방법을 익히셨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체계적인 분석과 문제 풀이를 통해 영어 독해 능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시길 응원합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분석은 영어 독해 능력을 강화하고, 문제 풀이의 자신감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