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영어 40번 문제는 생태학적 특징과 과학적 개념을 다룬 지문으로, 빈칸 추론 문제를 통해 논리적 사고력과 어휘력을 평가합니다.

지문은 블랙베리(Rubus allegheniensis)가 망가니즈(manganese)라는 금속 원소를 활용해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독특한 생존 전략을 설명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맥락에 적합한 어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지문 구조와 주요 문장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빈칸 (A)와 (B)에 적합한 어휘를 도출하고, 선택지의 적절성과 정답 도출 과정을 논리적으로 설명합니다.

이 글은 모의고사 영어 빈칸 추론 문제 풀이와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또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제 풀이의 근거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common blackberry (Rubus allegheniensis) has an amazing ability to move manganese from one layer of soil to another using its roots. This may seem like a funny talent for a plant to have, but it all becomes clear when you realize the effect it has on nearby plants. Manganese can be very harmful to plants, especially at high concentrations. Common blackberry is unaffected by damaging effects of this metal and has evolved two different ways of using manganese to its advantage. First, it redistributes manganese from deeper soil layers to shallow soil layers using its roots as a small pipe. Second, it absorbs manganese as it grows, concentrating the metal in its leaves. When the leaves drop and decay, their concentrated manganese deposits further poison the soil around the plant. For plants that are not immune to the toxic effects of manganese, this is very bad news. Essentially, the common blackberry eliminates competition by poisoning its neighbors with heavy metals. 

*manganese 망가니즈(금속원소) **deposit 축적물 

The common blackberry has an ability to ___(A)___ the amount of manganese in the surrounding upper soil, which makes the nearby soil quite ___(B)___ for other plants. 

       (A)           (B)  

① increase --- deadly 
② increase --- advantageous  
③ indicate --- nutritious  
④ reduce  --- dry  
⑤ reduce  --- warm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요약문

The common blackberry has an ability to ___(A)___ the amount of manganese in the surrounding upper soil, which makes the nearby soil quite ___(B)___ for other plants.

주요 단어 정리

  • common: 흔한, 일반적인 (동의어: ordinary, prevalent / 반의어: rare)
  • blackberry: 블랙베리(식물 이름)
  • common blackberry: 일반적인 블랙베리(식물 이름)
  • ability: 능력 (동의어: capability, skill / 반의어: inability)
  • amount: 양 (동의어: quantity, volume / 반의어: scarcity)
  • manganese: 망간(금속원소)
  • surrounding: 주변의, 둘러싸고 있는 (동의어: nearby, adjacent / 반의어: distant)
  • upper: 위쪽의 (동의어: higher, top / 반의어: lower)
  • soil: 토양
  • upper soil: 상토
  • make: 만들다, 야기하다 (동의어: cause, create / 반의어: destroy)
  • quite: 꽤, 상당히 (동의어: fairly, very / 반의어: hardly)
  • deadly: 치명적인 (동의어: fatal, lethal / 반의어: harmless, saf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ommon blackberry has/ [an ability/ [to ___(A)___/ [the amount/ <of manganese/ in the surrounding upper soil>]]]/
  • 일반적인 블랙베리는 가지고 있습니다/ [능력을/ [__(A)___하는/ [양을/ <망간의/ 주변의 상토에서의]]]/
  • , which makes/ the nearby soil/ quite ___(B)___/ for other plants.
  • 그리고 그것이 만듭니다/ 근처의 토양을/ 꽤 ___(B)___/ 다른 식물들에게.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n ability/ [to ___(A)___/ [the amount/ <of manganese/ in the surrounding upper soil>]]]”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an ability”를 수식.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which makes/ the nearby soil/ quite ___(B)___/ for other plants”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and it)”로 해석합니다. 이 때, “that”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빈칸의 추론 1
  • 일반적인 블랙 베리가 가진 능력인 “주변의 상토에 있는 망간을 양”을 “___(A)___하는” 능력을 찾아야 하며, 그것이 주변의 식물들에게 “___(B)___”한지도 찾아야 합니다. 문장 1부터 분석 후 독해하면서 빈칸에 들어갈 말의 단서를 찾도록 하겠습니다. 그런 다음, 요약문을 핵심 내용도 도출될 것입니다.

문장 1

The common blackberry (Rubus allegheniensis) has an amazing ability to move manganese from one layer of soil to another using its roots.

주요 단어 정리

  • amazing: 놀라운, 경이로운 (동의어: astonishing, incredible / 반의어: ordinary)
  • ability: 능력, 재능 (동의어: capability, skill / 반의어: inability)
  • move: 이동시키다, 옮기다 (동의어: transfer, transport / 반의어: fix, stay)
  • from A to B: A에서 B로
  • layer: 층, 겹 (동의어: stratum, level)
  • layer of soil: 통양 층
  • root: 뿌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ommon blackberry (Rubus allegheniensis)/ has/ [an amazing ability/ <to move/ manganese>/ [from <one layer/ of soil>/ to <another (layer/ of soil)>]]/
  • 일반적인 블랙베리(Rubus allegheniensis)는/ 가지고 있습니다/ [놀라운 능력을/ <이동시키는/ 망가니즈를>/ [<한 층에서/ 토양의>/ <다른 (토양) 층으로>]]/
  • [using/ its roots].
  • [사용하면서/ 그것의 뿌리들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n amazing ability/ <to move/ manganes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an amazing ability”를 수식.
  • 분사구문
  • [using/ its roots]”는 “[while it uses/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he common blackberry)”가 생략되고 동사 “uses”가 “u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한 토양층에서 다른 토양층으로 망간을 옮기는 일반적인 블랙베리의 놀라운 능력. 

문장 2

This may seem like a funny talent for a plant to have, but it all becomes clear when you realize the effect it has on nearby plants.

주요 단어 정리

  • seem like~: ~처럼 보이다 (동의어: look like~)
  • funny: 웃긴, 재미있는 / 이상한 (동의어: odd, peculiar / 반의어: serious, normal)
  • talent: 재능, 능력 (동의어: skill, gift / 반의어: incompetence)
  • realize: 깨닫다, 인식하다 (동의어: recognize, understand / 반의어: ignore)
  • effect: 효과, 영향 (동의어: impact, consequence / 반의어: cause)
  • nearby: 근처의, 인근의 (동의어: adjacent, close / 반의어: dista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may seem/ [like a funny talent/ [<for a plant>/ to have]]/,
  • 이것은 보일 수 있습니다/ [이상한 재능처럼/ [<식물이>/ 가질만한(가지기에)]]/,
  • but/ it all becomes clear/
  • 그러나 그것은 모두 분명해집니다/
  • [when you realize/ [the effect/ (which or that) it has/ on nearby plants]].
  • [당신이 깨달을 때/ [그 영향을/ 그것이 가지는(미치는)/ 근처의 식물들 상에]].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할만한) / ~하는 / ~하기 위한”
  • “a funny talent/ [<for a plant>/ to hav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a funny talent”를 수식하며, “for a plant”는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you realiz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effect/ (which or that) it hason nearby plants]”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effect”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것이 근처의 식물들 상에 가지는(미치는) 영향”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식물이 갖기에는 재미있는 재능일 수 있으나 주변 식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깨다는다면 분명해진다는 내용.

문장 3

Manganese can be very harmful to plants, especially at high concentrations.

주요 단어 정리

  • harmful: 해로운 (동의어: damaging, dangerous / 반의어: beneficial, helpful)
  • especially: 특히 (동의어: particularly, notably)
  • concentration: 농도 (동의어: density, level)
  • high concentration: 고농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nganese can be very harmful/ to plants,/ especially/ at high concentrations.
  • 망간은 매우 해로울 수 있습니다/ 식물들에게/ 특히/ 고농도에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2
  • 망간이 특히 고농도에서 식물들에게 해로울 수 있다는 내용. 요약문의 놀리적 구조와 이 문장의 핵심 내용으로부터 빈칸 (B)가 “harmful”을 대체할 수 있는 어휘인 “deardly(치명적인)”를 추론할 수 있고, “at high concentrations(고농도에서)”의 진술로부터 빈칸 (A) 역시 “increase(증가시키다)”로 추론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 후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문장 4

Common blackberry is unaffected by damaging effects of this metal and has evolved two different ways of using manganese to its advantage.

주요 단어 정리

  • unaffected: 영향을 받지 않는 (동의어: immune, untouched / 반의어: affected, vulnerable)
  • evolve: 진화하다, 발전시키다 (동의어: develop, adapt)
  • advantage: 이점, 유리함 (동의어: benefit, edge / 반의어: disadvantage)
  • to one’s advantage: ~에게 유리하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mmon blackberry [is unaffected/ <by damaging effects/ of this metal>]/ and/ [has evolved/ [two different ways/ <of using/ manganese>]/ to its advantage].
  • 일반적인 블랙베리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해로운 영향들에 의해/ 이 금속의>]/ 그리고/ [발전시켜 왔습니다/ [두 가지 다른 방버블을/ <이용하는/ 망간을>]/ 그것에게 유리하게].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is unaffected/ <by damaging effects/ of this metal>]”와 “[has evolved[two different ways/ <of using/ manganese>]to its advantag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현재완료[have(has) + pp]
  • has evolved”에서 사용된 어법.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계속의 의미를 전달하며, “발전시켜 왔다”의 의미를 전달.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two different ways/ <of using/ manganese>]”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망간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두 가지 다른 방법들”를 의역하여 “망간을 사용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들”로 번역이 되는 것입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자신에게 유리하게 망간을 이용하는 방법을 발전시켜 온 일반적인 블랙베리

문장 5

First, it redistributes manganese from deeper soil layers to shallow soil layers using its roots as a small pipe.

주요 단어 정리

  • redistribute: 재분배하다 (동의어: relocate, reallocate)
  • soil layer: 토양층
  • shallow: 얕은 (동의어: superficial / 반의어: deep)
  • pipe: 관, 파이프 (동의어: tube, condui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irst,/ it redistributes/ manganese/ from deeper soil layers/ to shallow soil layers/
  • 첫 번째로,/ 그것은 재분배합니다/ 망간을/ 더 깊은 토양층에서/ 얕은 토양층으로/
  • [using/ its roots/ as a small pipe].
  • [사용하면서/ 그것의 뿌리를/ 작은 관으로써].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using/ its roots]”는 “[while it uses/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he common blackberry)”가 생략되고 동사 “uses”가 “u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일반적인 블랙베리의 망간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이용하는 방법 1 - 뿌리를 관으로 사용하여 깊은 토양층에서 얕은 토양층으로 재분배

문장 6

Second, it absorbs manganese as it grows, concentrating the metal in its leaves.

주요 단어 정리

  • absorb: 흡수하다 (동의어: take in, soak up / 반의어: release, emit)
  • grow: 자라다, 성장하다 (동의어: develop, increase)
  • concentrate: 집중시키다, 농축하다 (동의어: focus, intensify / 반의어: dilute)
  • metal: 금속
  • leaf (복수형 leaves): 잎사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econd,/ it absorbs/ manganese/
  • 두 번째로, 그것은 흡수합니다/ 망간을.
  • [as it grows],/
  • [그것이 성장할 때],/
  • [concentrating/ the metal/ in its leaves].
  • [농축시키면서/ 그 금속을/ 그것의 잎사귀들 속에].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할 때/~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concentrating/~]”는 “[while it concentrates/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he common blackberry)”가 생략되고 동사 “concentrates”가 “concentrat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일반적인 블랙베리의 망간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이용하는 방법 2 – 성장하면서 잎사귀에 망간을 농축

문장 7

When the leaves drop and decay, their concentrated manganese deposits further poison the soil around the plant.

주요 단어 정리

  • drop: 떨어지다 (동의어: fall, descend / 반의어: rise, ascend)
  • decay: 썩다, 부패하다 (동의어: decompose, rot / 반의어: preserve)
  • deposit: 축적물 (동의어: accumulation, layer)
  • further: 한층 더, 더욱
  • poison: 독을 퍼뜨리다, 중독시키다 (동의어: contaminate, harm / 반의어: purify)
  • around: 주변에, 근처에 (동의어: near, surrounding / 반의어: far from)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e leaves drop and decay],/
  • [잎사귀가 떨어져서 썩을 때],/
  • their concentrated manganese deposits/ further poison/ <the soil/ around the plant>.
  • 그것들의(잎사귀들의) 농축된 망가니즈 축적물들이/ 더욱 독성으로 오염시킵니다/ <그 토양을/ 그 식물 주위의>.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e leaves drop and decay]”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문장 7의 핵심 내용
  • 잎에 농축된 망간이 잎이 떨어져 썩을 때 주변 토양을 더욱 오염시킴

문장 8

For plants that are not immune to the toxic effects of manganese, this is very bad news.

주요 단어 정리

  • immune (to)~: ~에 면역이 있는 (동의어: resistant, unaffected / 반의어: vulnerable, susceptible)
  • toxic: 독성이 있는 (동의어: poisonous, harmful / 반의어: harmless)
  • effect: 효과, 영향 (동의어: impact, consequence / 반의어: cause)
  • news: 소식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plants/ that are not immune/ <to the toxic effects/ of manganese>],/
  • [식물들에게는/ 면역이 없는/ <독성 효과들에/ 망간의>]/,
  • this is very bad news.
  • 이것은 매우 나쁜 소식입니다.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plants/ that are not immune/ <to the toxic effects/ of manganese>”에서 “that”은 선행사, “plants”을 수식하여, “망간의 독성 효과들에 면역이 없는 식물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망간의 독성 효과에 면역력이 없는 식물들에게는 나쁜 소식임.

문장 9

Essentially, the common blackberry eliminates competition by poisoning its neighbors with heavy metals.

주요 단어 정리

  • essentially: 본질적으로, 기본적으로 (동의어: fundamentally, basically)
  • eliminate: 제거하다 (동의어: remove, get rid of / 반의어: include, retain)
  • competition: 경쟁자 (동의어: rival, competitor / 반의어: cooperator)
  • poisoning: 독살하다, 오염시키다
  • neighbor: 이웃, 주변의 것들 (동의어: nearby plants)
  • heavy metal: 중금속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ssentially,/ the common blackberry eliminates/ competition/ <by poisoning/ its neighbors/ with heavy metals(→a heavy metal)>.
  • 본질적으로,/ 일반적인 블랙베리는 제거합니다/ 경쟁자를/ <독살함으로써/ 그것의 이웃들을(주변 식물들을)/ 중금속(들)을(→중금속을) 가지고>.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poisoning/ its neighbors/ with heavy metals(→a heavy metal)>“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중금속을 가지고 그것의 이웃들(다른 식물들)을 독살시키는 것에 의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만, ”독살시킴으로써“로 의역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문맥상 단수 명사의 변경 필요성
  • 지문 전체에서 다른 내용은 ”일반적인 블랙베리의 망간을 이용해 다른 식물들을 독살하는 것“이고 다른 금속은 언급된 적이 없으므로, ”heavy metals(중금속들)“은 ”a heavy metal(중금속)“으로 변경해야 문맥상 적절합니다. 종족대표의 표현으로 사용했다 하더라도 본문의 일관적 진술로 인한 해석상의 모호성 때문에 ”a heavy metal(중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문장 9의 핵심 내용
  • 일반적인 블랙베리가 경쟁자를 제거하는 방법 – 망간에 의한 독살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빈칸 (A) 추론: 요약문의 논리적 구조와 문장 3의 관계

  • 요약문의 구조
  • The common blackberry has an ability to (A) the amount of manganese in the surrounding upper soil, which makes the nearby soil quite (B) for other plants.
  • → 빈칸 (A)는 블랙베리가 주변 상토의 망가니즈 양을 어떻게 조정하는지를 나타냅니다.
  • 문장 3의 정보
  • Manganese can be very harmful to plants, especially at high concentrations.
  • → 망가니즈는 고농도에서 식물들에게 해롭다는 사실을 진술하고 있습니다.
  • 논리적 연결
  • 요약문과 문장 3의 정보에서 블랙베리가 주변 토양에서 망가니즈 농도를 ”증가시킨다(increase)“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
  • 이는 주변 식물들에게 독성 환경을 조성하는 블랙베리의 특성과도 부합합니다.
  • 따라서, 빈칸 (A)에 적합한 답은 "increase"입니다.

빈칸 (B) 추론: 요약문의 논리적 구조와 문장 3의 관계

  • 요약문의 구조
  • which makes the nearby soil quite (B) for other plants
  • → 빈칸 (B)는 블랙베리의 행동이 주변 토양을 다른 식물들에게 어떻게 만드는지를 설명합니다.
  • 문장 3의 정보
  • Manganese can be very harmful to plants, especially at high concentrations.
  • → 망가니즈가 **고농도에서 매우 해로움(very harmful)**을 강조합니다.
  • 논리적 연결
  • 요약문은 블랙베리의 행동으로 인해 망가니즈 농도가 높아져 주변 토양이 다른 식물들에게 치명적(deadly) 환경이 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 "deadly"는 "very harmful"과 동의어로 사용 가능하며, 문장 3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 따라서, 빈칸 (B)에 적합한 답은 "deadly"입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① increase --- deadly“가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영어 40번 문제는 과학적 주제와 생태학적 개념을 기반으로, 블랙베리의 생존 전략을 중심으로 논리를 전개합니다.

빈칸 (A)와 (B)를 추론하기 위해서는 요약문의 논리적 구조와 문장 3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이며, 망가니즈가 식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increase"**와 **"deadly"**를 정답으로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학생들이 문맥과 논리를 바탕으로 빈칸에 적합한 단어를 선택하도록 요구하며, 영어 독해의 추론 능력과 어휘력 강화를 위한 좋은 연습이 됩니다.

정답은 ① increase --- deadly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빈칸 추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문의 구조적 분석과 문맥적 단서를 활용한 논리적 사고 훈련이 필요합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및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그리고 문제의 답을 추론하는 과정까지 포함된 상세한 어법 설명은 지문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드렸기를 기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