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이해와 사랑으로 불행을 극복하는 길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영어 41번과 42번 지문은 "머리에서 마음으로의 여정"을 주제로, 인간 내면의 부정적 감정을 극복하고 타인과 자신을 이해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글은 조급함, 좌절, 분노가 머리 속에 자리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를 줄이고 사랑과 이해로 나아갈 때 불행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청크 해석과 어법 설명을 통해 문제 풀이에 필요한 단서를 찾아냅니다.

이번 유형의 문제 해결 Tip은 “위에서 아래로” 독해를 하면서 글의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찾고 그 내용에서 벗어나는 어휘를 찾음과 동시에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통해 글에 가장 어울리는 제목을 찾는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 및 어법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Tip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독해력에 기반을 둔 단서 찾기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The longest journey we will make is the eighteen inches between our head and heart. If we take this journey, it can shorten our (a) misery in the world. Impatience, judgment, frustration, and anger reside in our heads. When we live in that place too long, it makes us (b) unhappy. But when we take the journey from our heads to our hearts, something shifts (c) inside. What if we were able to love everything that gets in our way? What if we tried loving the shopper who unknowingly steps in front of us in line, the driver who cuts us off in traffic, the swimmer who splashes us with water during a belly dive, or the reader who pens a bad online review of our writing?  

 Every person who makes us miserable is (d) like us — a human being, most likely doing the best they can, deeply loved by their parents, a child, or a friend. And how many times have we unknowingly stepped in front of someone in line? Cut someone off in traffic? Splashed someone in a pool? Or made a negative statement about something we’ve read? It helps to (e) deny that a piece of us resides in every person we meet.

*reside: (어떤 장소에) 있다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① Why It Is So Difficult to Forgive Others 

② Even Acts of Kindness Can Hurt Somebody 

③ Time Is the Best Healer for a Broken Heart 

④ Celebrate the Happy Moments in Your Everyday Life 

⑤ Understand Others to Save Yourself from Unhappiness 

42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longest journey we will make is the eighteen inches between our head and heart.

주요 단어 정리

  • longest: 가장 긴 (동의어: farthest / 반의어: shortest)
  • journey: 여행, 여정 (동의어: trip, voyage)
  • make: 만들다, 수행하다 (동의어: undertake, perform)
  • eighteen inches: 18인치 (길이 단위, 약 45.72cm)
  • head and heart: 머리와 마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longest journey/ (that) we will make]/ [is the eighteen inches/ <between our head and heart>].
  • [가장 긴 여정은/ 우리가 만들(할)]/ [18인치(의 길이)입니다/ <우리의 머리와 마음 사이의>].

어법 설명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의 생략
  • [The longest journey(that) we will make]”에서 생략된 ”(that)”은 선행사, “The longest journey”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우리가 만들(할) 가장 긴 여정”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에 최상급 및 서수를 포함하는 경우로 which는 사용하지 못합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longest journey"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비유적 표현
  • 물리적 거리(18인치)를 감정적/정신적 거리로 표현하여 은유적 의미를 전달.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우리가 할 가장 긴 여정 = 심장과 머리 사이의 18인치의 거리

문장 2

If we take this journey, it can shorten our (a) misery in the world.

주요 단어 정리

  • take: (길, 여정을) 걷다, 택하다 (동의어: choose, embark on)
  • shorten: 줄이다, 단축하다 (동의어: reduce, lessen / 반의어: lengthen)
  • misery: 고통, 불행 (동의어: suffering, unhappiness / 반의어: happiness, jo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we take/ this journey],/
  • [만약 우리가 한다면/ 이 여정을],/
  • it can shorten(→reduce or decrease)/ <our (a) misery/ in the world>.
  • 그것은 줄일 수 있습니다/ <우리의 고통/ 세상에 있는>.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we take/~]”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격에 맞는 어휘로의 변경 필요성
  • shorten”은 사전적으로 “줄이다”의 의미지만, 이는 “길이, 시간, 기간”등을 줄인다는 의미로, 양적인 의미로 “줄이다“의 의미를 사용해야 하는 “misery”에는 “reduce”나 “decrease”가 더 nuance 상 더 적절합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a)
  • 현재까지의 정보로는 "misery"가 적합한 어휘인지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문장 3부터 분석 후 독해를 이어나가며 그 근거를 찾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문장 2의 핵심 내용도 “misery”가 올바른 어휘인지 확인 후 적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문장 3

Impatience, judgment, frustration, and anger reside in our heads.

주요 단어 정리

  • impatience: 조급함 (동의어: restlessness / 반의어: patience)
  • judgment: 판단, 비판 (동의어: criticism, evaluation / 반의어: acceptance)
  • frustration: 좌절 (동의어: disappointment, irritation)
  • anger: 분노 (동의어: rage, fury / 반의어: calmness)
  • reside: (어떤 장소에) 있다, 거주하다 (동의어: dwell, exis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mpatience, judgment, frustration, and anger>/ reside/ in our heads.
  • <조급함, 판단, 좌절, 및 분노는>/ 있습니다/ 우리의 머리(들) 속에.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주어로 사용된 네 개의 명사를 and로 연결
  • “<Impatience, judgment, frustration, and anger>”에서 사용된 어법. 네 개의 명사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문장 2의 “misery”에 해당하는 “Impatience, judgment, frustration, and anger”이 머릿속에 있다는 내용. 문장 2의 “misery”가 줄기 위해서는 머리에서 가슴으로의 여정이 그걸 줄일 수 있다는 진술이 나와야 비로소 완전히 해소될 것입니다. 따라서, 이후의 문장도 분석 후 설명을 이러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4

When we live in that place too long, it makes us (b) unhappy.

주요 단어 정리

  • live in~: ~에 살다, ~에 머물다 (동의어: stay in, dwell in)
  • too long: 너무 오래
  • make: ~하게 만들다 (동의어: cause, render)
  • unhappy: 불행한, 슬픈 (동의어: miserable, sorrowful / 반의어: happy, joyfu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we live/ in that place/ too long],/
  • [우리가 살(머물) 때/ 그곳에서(머리에서)/ 너무 오래],/
  • it makes/ us/ (b) unhappy.
  • 그것은 만듭니다/ 우리를/ 불행하게.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we liv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makes/ us/ (b) unhappy”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unhappily)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b)
  • 머리 속에 “misery”의 내용으로 볼 수 있는 “Impatience, judgment, frustration, and anger”가 있다고 문장 2에서 진술했으므로, "unhappy"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머릿속에 오래 거주하면 우리가 불행해진다는 의미

문장 5

But when we take the journey from our heads to our hearts, something shifts (c) inside.

주요 단어 정리

  • take the journey: 여정을 떠나다
  • shift: 변화하다, 이동하다 (동의어: change, move)
  • inside: 내부에서, 안에서 (동의어: internally / 반의어: extern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when we take/ the journey/ <from our heads/ to our hearts>],/
  • 그러나/ [우리가 여정을 떠날 때/ <우리의 머리(들)로부터/ 우리의 마음(들)으로>],/
  • something shifts/ (c) inside.
  • 무언가 변화합니다/ 내부에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we tak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어휘의 적절성 판단 (c)
  • "inside"는 "머리에서 마음으로 이동할 때의 내면에서 변화"를 나타내며 문맥에 적합.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마음으로의 여정을 떠나면, 내부에서 변화가 일어난다는 의미.

문장 6

What if we were able to love everything that gets in our way?

주요 단어 정리

  • What if~: ~하면 어떨까? (~하면 어떨지 상상해보다)
  • be able to 부정사: ~할 수 있다 (동의어: can, manage to)
  • love: 사랑하다, 좋아하다 (동의어: care for, cherish)
  • everything: 모든 것 (동의어: all, anything)
  • get in one’s way: ~의 길을 막다, 방해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t if we were able to love/ [everything/ that gets in our way]]?
  • [우리가 사랑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모든 것을/ 우리의 길을 막는]]?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거 표현
  • "[What if we were able to love/~]"에서 “were able to love”는 현재 상황의 반대를 가정하며, "~할 수 있다면"을 의미.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everything/ that gets in our way]”에서 “that”은 선행사, “everything”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우리의 길을 막는 모든 것”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에 부정 대명사(~thing, ~one, ~body)를 포함하는 경우로, 이 경우, which는 사용하지 못합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우리를 방해하는 모든 것을 사랑한다면 어떨지 반문.

문장 7

What if we tried loving the shopper who unknowingly steps in front of us in line, the driver who cuts us off in traffic, the swimmer who splashes us with water during a belly dive, or the reader who pens a bad online review of our writing?

주요 단어 정리

  • try + ~ing: ~하는 것을 시도해보다
  • shopper: 쇼핑객 (동의어: buyer, customer)
  • unknowingly: 무심코, 자신도 모르게 (동의어: unintentionally / 반의어: intentionally)
  • step in line: 줄에서 끼어들다
  • cut off: 가로막다, 차단하다 (동의어: interrupt, block)
  • in traffic: 운행 중에
  • splash: 물을 튀기다 (동의어: spray, sprinkle)
  • belly dive: 배치기 다이빙
  • pen: (글을) 쓰다 (동의어: write, compose)
  • online review: 온라인 리뷰(댓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t if we tried/ [loving/ [the shopper/ who unknowingly steps/ in front of us/ in line],/ [the driver/ who cuts us off/ in traffic],/ [the swimmer/ who splashes/ us/ with water/ during a belly dive],/ or/ [the reader/ who pens/ a bad online review/ of our writing]]?
  • 우리가 시도해본다면 어떨까요/ [사랑하는 것을/ [쇼핑객을/ 줄에서 무심코 끼어드는/ 우리 앞에/ 줄에서],/ [운전자를/ 우리를 가로막는/ 운행 중에],/ [수영하는 사람을/ 물을 튀기는/ 배치기 다이빙을 하는 동안],/ 혹은/ [독자를/ 쓰는/ 안 좋은 온라인 댓글을/ 우리의 글에 대해]]?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
  • "What if we tried[loving/~]"은 현재 상황과 반대되는 것을 가정하여 "~하는 것을 시도해 보는 건 어떨까요?"라는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관계절의 병렬 연결
  • [the shopper/ who unknowingly stepsin front of us/ in line]”, “[the driver/ who cuts us offin traffic]”, “[the swimmer/ who splashes/ us/ with water/ during a belly dive]” 및 “[the reader/ who pens/ a bad online review/ of our writing]”에서 “who”는 각각의 선행사, “the shopper”, “the driver”, “the swimmer”, 및 “[the reader”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해석은 의미 해석 참고. 또한 네 개의 관계절이 or로 병렬 연결된 구조.
  • 문장 7의 핵심 내용, 어휘의 적절성 검토 (a) & 제목 추론
  • 명시적으로 “머리에서 마음으로의 여정”이 “비참함에서 사랑”으로 진술되지는 않았지만, 문장 7까지의 진술 내용으로 보아 “마음이 의미하는 바는 사랑, 이해”의 의미로 이해됩니다. 따라서 “(a) misery in the world”의 “misery”는 문맥상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misery"는 지나치게 극단적인 표현으로, 지문 전체 맥락과 다소 부조화를 이룹니다. "unpleasantness" 또는 "discomfort"가 지문의 톤과 메시지에 더 잘 어울립니다. 문장 7까지의 내용으로 볼 때, “머리에서 마음으로의 여정”은 “misery에서 love”로의 여정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염두에 두고 보기를 확인하면, “⑤ Understand Others to Save Yourself from Unhappiness(불행함으로 당신을 구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라)”가 가장 가깝습니다. 다만, 문장 7까지는 love라는 어휘를 사용했으므로, 이후 진술에서 논조가 “undrstanding”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문장 8

Every person who makes us miserable is (d) like us — a human being, most likely doing the best they can, deeply loved by their parents, a child, or a friend.

주요 단어 정리

  • miserable: 비참한, 불행한 (동의어: unhappy, wretched / 반의어: happy, content)
  • like~: ~와 같은, ~처럼 (동의어: similar to / 반의어: different from)
  • human being: 인간, 사람
  • most likely: 아마도 (동의어: probably)
  • do the best one can: 사람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다
  • deeply: 깊이 (동의어: profoundly, great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ry person/ who makes/ us/ miserable]/ is (d) like us/
  • [모든 사람은/ 만드는/ 우리를/ 비참하게]/ 우리와 비슷합니다/
  • —/ [a human being,/ [(who or that is) most likely doing/ [the best/ (that) they(→he or she) can]],/ (+and)/ [(who or that is) deeply loved/ <by their(→his or her) parents, a child, or a friend>]].
  • 즉/ [한 사람의 인간입니다,/ [아마 다하고 있는/ [최선을/ 그들이(→그 사람이) 할 수 있는]]/ (+그리고)/ [사랑받는/ <그들의(→그 사람의) 부모들, 아이나 친구에 의해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Every person”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Every personwho makes/ us/ miserable]”에서 “who”는 선행사, “Every person”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우리를 비참하게 만드는 모든 사람”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두 개의 분사구가 병렬 연결된 구조 – 의미상, 형태상 and 추가 필요
  • [a human being,/ [(who or that is) most likely doing[the best/ (that) they(→he or she) can]],/ (+and)/ [(who or that is) deeply loved/ <by their(→his or her) parents, a child, or a friend>]]”은 “[(who or that is) most likely doing[the best/ (that) they(→he or she) can]]”와 “[(who or that is) deeply loved/ <by their(→his or her) parents, a child, or a friend>]”를 병렬 연결한 구조로 의미상, 형태상and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a human being,/ [(who or that is) most likely doing[the best/ (that) they(→he or she) can]]“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a human being“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o or that i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그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고 있는 한 사람의 인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a human being,/ [(who or that is) deeply loved/ <by their(→his or her) parents, a child, or a friend>]“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a human being“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o or that i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그 사람의 부모들, 아이, 친구에 의해서 사랑받는 한 사람의 인간“의 의미를 전달.
  • 의미상 대명사의 변경 필요성
  • 현대 영어에서 성 중립적 표현으로 수일치 없이 they나 their로 표현하는 것도 사실이나 공적인 문서에서는 보답 어법적 fact에 근거하여 작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시 말해서, dash(—) 이하의 내용은 ”Every person“을 보충 설명하는 내용으로, ”a human being“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the best/ (that) they(→he or she) can]“와 ”<by their(→his or her) parents, a child, or a friend>“에서 they“와 ”their“는 의미상 각각 ”he or she“와 ”his or her“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문장 8의 핵심 내용
  • 우리를 불행하게 만든 사람도 우리와 같은 인간이라는 내용.
  • 어휘의 적절성 검토 (d)
  • is (d) like us“에서 ”(d) like“는 이후에 진술되는 내용으로 보아, 문맥상 적절합니다. (a) ~(d)까지 적절하지 않은 어휘가 없으므로,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우리를 불행하게 만드는 사람도 우리와 같은 사람이니 이해하라“고도 생각할 수는 있습니다. 다만, 문장 7에서 사용되었던 ”love” 보다는 understand”라는 직접적인 어휘를 사용하는 편이 주제나 제목의 일관성 측면에서 더 나았을 것입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 후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9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문장 9

And how many times have we unknowingly stepped in front of someone in line? Cut someone off in traffic? Splashed someone in a pool? Or made a negative statement about something we’ve read?

주요 단어 정리

  • how many times: 얼마나 여러 번, 몇 번이나
  • unknowingly: 무심코 (동의어: unintentionally / 반의어: deliberately)
  • negative statement: 부정적인 말 (동의어: criticism, disapproval / 반의어: prai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how many times/ have we unknowingly stepped/ in front of someone/ in line?/
  • 그리고/ 몇 번이나/ 우리가 무심코 끼어든 적 있나요/ 누군가의 앞에/ 줄에서?
  • (How many times/ have we unknowingly) Cut someone off/ in traffic?/
  • 누군가를 가로막은 적이 있나요/ 운행 중에?
  • (How many times/ have we unknowingly) Splashed/ someone/ in a pool?/
  • 물을 튀긴 적이 있나요/ 누군가에게/ 수영장에서?
  • Or/ (how many times/ have we unknowingly) made/ a negative statement/ [about something/ (that) we’ve read]?/
  • 혹은/ 만든(쓴) 적이 있나요/ 부정적인 진술을(말을)/ [무언가에 대해서/ 우리가 읽은적 있는]?

어법 설명

  • 현재완료[have(has) + pp] 시제
  • "something/ (that) we’ve read"와 “’ve read”에서 사용된 어법, 이후 문장에서는, “(how many times/ have we unknowingly)"가 생략된 구조로, 과거에 시작된 일이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냄.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의 생략
  • “something/ (that) we’ve read”에서 생략된 ”(that)”은 선행사, “something”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우리가 읽은 적 있는 무언가”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에 부정 대명사(~thing, ~one, ~bpdy)를 포함하는 경우로 which는 사용하지 못합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목적격 관계 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문장 9의 핵심 내용
  • 우리도 남을 불행하게 한 적이 많다는 내용.

문장 10

It helps to (e) deny that a piece of us resides in every person we meet.

주요 단어 정리

  • help to 부정사: ~하는 것을 도와주다
  • deny: 부정하다, 부인하다 (동의어: reject, refuse / 반의어: accept, admit)
  • piece: 일부, 부분, 조각
  • reside: 존재하다, 거주하다 (동의어: dwell, exis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helps/ [to (e) deny(→acknowledge, accept, or recognize)/ [that <a piece/ of us>/ resides/ [in every person/ (who(m) or that) we meet]]].
  • 그것이 도와줍니다/ [부인하는(→인정하는) 것을/ [<일부가/ 우리의>/ 존재한다는 것을/ [모든 사람에게/ 우리가 만나는]]].

어법 설명

  • help + (to) 부정사
  • helps[to (e) deny(→acknowledge, accept, or recognize)/~]”에서 사용된 어법. “help”는 3형식 문형에서 목적어로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 부정사)”을 목적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 부정사)”은 “~하는 것”으로 명사처럼 해석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o (e) deny(→acknowledge, accept, or recognize)[that~]]"에서 "that"은 to 부정사, "to (e) deny(→acknowledge, accept, or recogniz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어휘 적절성 검토 (e)
  • 문장 8에서 이미 “모든 사람이 우리와 비슷하다”고 진술하고 있으므로 "deny(부인하다)"는 맥락상 적절하지 않으며. "인정하다(acknowledge)“나 ”받아들이다(accept)" 또는 "인식하다(recognize)"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41번 – 윗글의 제목 추론

  • 핵심 단서
  • 문장 1~2: 가장 긴 여정이 머리와 마음 사이를 연결하는 것임을 진술.
  • 문장 3~5: 머리 속에 자리한 부정적인 감정(조급함, 판단, 좌절, 분노)을 줄이고, 마음으로의 여정을 떠남으로써 내면적 변화가 일어난다는 내용.
  • 문장 6~7: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불행(머리 속 감정)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제안.
  • 문장 8~10: 우리를 불행하게 만드는 사람들도 결국 우리와 같은 인간이며, 그들 안에 우리 자신과 같은 일부가 존재한다는 깨달음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
  • 선택지 검토
  • ① Why It Is So Difficult to Forgive Others
  • 용서의 어려움을 중점적으로 다룬 내용이 아님.
  • ② Even Acts of Kindness Can Hurt Somebody
  • 친절함이 상처를 줄 수 있다는 내용과 무관.
  • ③ Time Is the Best Healer for a Broken Heart
  • 시간이 상처를 치유한다는 내용과 무관.
  • ④ Celebrate the Happy Moments in Your Everyday Life
  • 행복한 순간을 기념하라는 내용이 아님.
  • ⑤ Understand Others to Save Yourself from Unhappiness
  • 타인을 이해하는 것이 자신의 불행을 극복하는 방법임을 전달.
  • 글의 주제와 가장 부합.
  • 정답 제시
  • ⑤번이 가장 적절합니다

42번 – 밑줄 친 단어 중 문맥상 부적절한 것

  • 어휘 적절성 판단
  • (a) misery
  • 문장 2에서 불행과 고통을 줄이는 것이 주제와 연결되므로 문맥상 적절.
  • (b) unhappy
  • 문장 4에서 "머릿속에 오래 머물면 불행하게 된다"는 진술과 부합하므로 적절.
  • (c) inside
  • 문장 5에서 머리에서 마음으로의 이동이 내면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설명하므로 적절.
  • (d) like
  • 문장 8에서 "우리를 불행하게 하는 사람도 우리와 같은 인간"임을 설명하므로 적절.
  • (e) deny
  • 문장 10에서 "모든 사람에게 우리 자신과 같은 일부가 존재한다"는 내용을 부정하는 것은 글의 논지와 맞지 않음.
  • "acknowledge(인정하다)"로 변경해야 적절.
  • 정답 제시
  • ⑤번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이해와 사랑이 만드는 행복의 여정

2022년 3월 고1 모의고사 41번과 42번 지문은 "이해와 사랑"이라는 메시지를 통해 독자들에게 감동을 줍니다. 머리에서 마음으로의 여정은 단순한 물리적 거리가 아닌, 내면적 성찰과 성장을 의미합니다.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고, 자신과 타인의 유사점을 인정함으로써 우리는 조급함과 분노를 극복하고 더 큰 행복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영어 독해력뿐 아니라 삶의 지혜를 제공하며, 학습자들에게 깊은 통찰력을 심어줍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여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하는데 항상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