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의 의미와 사고방식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영어 독해 21번 지문은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를 다룹니다.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은 새로운 정보를 기존 관점 내에서 재해석하는 사고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그러나 지문에서 이 표현은 따옴표 없이 사용되어 명사화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이 표현이 특정한 사고방식을 설명하는 고유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동화 과정으로 오해될 여지를 남깁니다. 이 글에서는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의 핵심 의미를 분석하고, 지문 내 표현상의 오류와 이를 어떻게 수정해야 하는지 살펴봅니다.
함축적 의미를 추론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tip은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는 문장을 먼저 읽고 그 문장의 전후 관계에서 먼저 단서를 찾아야 합니다. 이번 문제는 밑줄 친 부분이 첫 문장에 있어 “위에서 아래로” 독해하면서 정답을 찾기 위한 clue를 찾는 것이 시간을 줄이는 방법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문장 1의 해설부터 보시고 이후의 과정을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함축적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1. 밑줄 친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이 다음 글에서 의미 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Studies by Vosniado and Brewer illustrate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 in the context of young children’s thinking about the earth. They worked with children who believed that the earth is flat (because this fit their experiences) and attempted to help them understand that, in fact, it is spherical. When told it is round, children often pictured the earth as a pancake rather than as a sphere. If they were then told that it is round like a sphere, they interpreted the new information about a spherical earth within their flatearth view by picturing a pancakelike flat surface inside or on top of a sphere, with humans standing on top of the pancake. The model of the earth that they had developed — and that helped them explain how they could stand or walk upon its surface — did not fit the model of a spherical earth. Like the story Fish is Fish, where a fish imagines everything on land to be fishlike, everything the children heard was incorporated into their preexisting views.
② novel views are always favored over existing ones
③ all one’s claims are evaluated based on others’ opinions
④ new information is interpreted within one’s own views
⑤ new theories are established through experiments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Studies by Vosniado and Brewer illustrate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 in the context of young children’s thinking about the earth.
주요 단어 정리
- illustrate: 설명하다, 예증하다 (동의어: explain, demonstrate / 반의어: confuse, obscure)
- assimilation: 동화, 흡수 (동의어: absorption, integration / 반의어: rejection, separation)
- context: 맥락, 상황 (동의어: circumstance, background / 반의어: isolation, detachment)
- thinking: 사고 방식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tudies/ <by Vosniado and Brewer>]/ illustrate/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 [in the context/ <of young children’s thinking/ about the earth>]].
- [연구들은/ <Vosniado와 Brewer에 의한>]/ 보여줍니다/ [‘Fish is Fish 방식의’ 동화 과정을/ [맥락에서/ <어린아이들의 사고방식의/ 지구에 대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Studie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illustrate“.
- 문장+명사의 수식 구조 – 문장의 명사화 필요
-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의 표현에서 ‘Fish is Fish-style'는 명사인 ”assimilation“를 수식하는 형태로 앞뒤로 ‘’를 추가하여 명사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함축적 의미 추론 1
- Vosniado와 Brewer는 어린아이들의 사고방식을 분석하면서 Fish is Fish 방식의 동화라는 개념을 제시합니다.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 의 함축적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the context/ <of young children’s thinking/ about the earth>“의 의미를 먼저 찾아야 하며, 이 문장만으로는 추론할 수 없으므로, 문장 2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2
They worked with children who believed that the earth is flat (because this fit their experiences) and attempted to help them understand that, in fact, it is spherical.
주요 단어 정리
- believe: 믿다, 생각하다 (동의어: think, accept / 반의어: doubt, disbelieve)
- flat: 평평한
- fit: 맞다, 들어맞다 (동의어: suit, match / 반의어: mismatch, clash)
- experience: 경험
- attempt: 시도하다, 노력하다
- spherical: 구형의, 둥근 (동의어: round, globular / 반의어: flat, angula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worked/ [with children/ who believed/ [that the earth is flat/ (because this fit/ their experiences)]]]/ and/ [attempted/ [to help/ them/ [understand/ [that,/ in fact,/ it is spherical]]]].
- 그들은 [연구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믿었던/ [지구가 평평하다고/ (왜냐하면 이것이 맞았기 때문에/ 그들의 경험과)]]]/ 그리고/ [시도했습니다/ [도와주기 위해서/ 그들을/ [이해하도록/ [사실,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worked/ [with children/ who believed/ [that the earth is flat/ (because this fit/ their experiences)]]]”와 “[attempted/ [to help/ them/ [understand/ [that,/ in fact,/ it is spherical]]]]”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children/ who believed/ [that the earth is flat/ (because this fit/ their experiences)]”에서 “who”는 선행사, “children”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이것이(지구가 평평하다는 것이) 그들의 경험들에 맞았기 때문에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었던 아이들”의 의미를 전달.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this fit/~)”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attempted/ [to help/~]”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attempted”를 수식.
- 5형식 문형 "사역동사(help)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to 부정사)"
- “help/ them/ [understand/~]”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believed/ [that the earth is flat~]"와 "[understand/ [that,/ in fact,/ it is spherical]]"에서 "that"은 각각 동사 "believed"와 동사원형, "understan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각각 "~라고"와 ”~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함축적 의미 추론 2
- 연구자들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는 아이들에게 실제로는 둥글다는 사실을 이해시키려고 했습니다.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 이 부분의 함축적 의미를 찾기 위한 ”the context/ <of young children’s thinking/ about the earth>“의 의미을 아직 추론할 수 없으므로 문장 3으로 이동하여 분석 및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3
When told it is round, children often pictured the earth as a pancake rather than as a sphere.
주요 단어 정리
- be told: 듣다
- picture: 상상하다, 묘사하다 (동의어: imagine, visualize / 반의어: ignore, overlook)
- pancake: 팬케이크 (여기서는 평평한 모양의 비유로 사용)
- rather than~: ~라기 보다는, 대신에 (동의어: instead of / 반의어: as well a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old/ [(that) it is round]],/
- [들었을 때/ [그것이(지구가) 둥글다고]],/
- children often pictured/ the earth/ as a pancake/ rather than as a sphere.
- 아이들은 종종 묘사했습니다/ 지구를/ 팬케이크로써/ 구로써라기보다는.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When told/~]”은 “[When they were told/ ~]”의 종속절에서 주어 “they(=Children)”가 생략되고 동사 “were”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이 생략
- "told/ [(that) it is round]"에서 생략된 "(that)"은 과거분사, "tol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비교 표현 rather than
- 두 가지 대상을 비교하며 아이들의 인식을 강조합니다. “as a pancake”와 “as a sphere”의 두 가지 대상을 비교합니다.
- 핵심 내용 & 함축적 의미 추론 3
- 아이들은 지구가 둥글다는 말을 듣고, 구형보다는 팬케이크처럼 평평한 모양으로 상상했습니다. 즉, 이 문장의 내용은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지구에 대한 정보(지구는 평평하다)는 개념에 “둥근(round)“의 개념을 합성하여 ”pancake(둥글지만 평평한 모양)“으로 이해했다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찾으려는 ”the context/ <of young children’s thinking/ about the earth>“의 의미는 ”현재 가진 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재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고,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은 그 방식의 은유적 표현으로 추론할 수 있습니다. 보기를 확인하면, 이러한 의미를 반영할 수 있는 보기는 ”④ new information is interpreted within one’s own views(새로운 정보가 자기 자신의 관점(들) 내에서 재해석된다)“가 가장 부합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로 이동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4
If they were then told that it is round like a sphere, they interpreted the new information about a spherical earth within their flatearth view by picturing a pancakelike flat surface inside or on top of a sphere, with humans standing on top of the pancake.
주요 단어 정리
- interpret: 해석하다 (동의어: understand, construe / 반의어: misunderstand, confuse)
- information: 정보
- spherical: 구형의
- flat-earth: 평평한 지구라는
- view: 견해, 관점
- pancake-like: 팬케이크 같은 (flat의 비유적 의미로 사용)
- surface: 표면 (동의어: exterior, face / 반의어: interior, core)
- on top of~: ~의 위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they were then told/ [that it is round/ like a sphere]],/
- [그들이 그런 다음 들었다면(들었을 때)/ [지구가 둥글다고/ 구처럼]],/
- they interpreted/ <the new information/ about a spherical earth>/ within their flat-earth view/
- 그들은 해석했습니다/ <새로운 정보를/ 구형 지구에 관한>/ 그들의 평평한 지구의 견해(관점) 내에서/
- [by picturing/ [a pancake-like flat surface/ <inside or on top of/ a sphere>],/ [with humans/ (who or that are) standing/ <on top/ of the pancake>]].
- [묘사함으로써/ [팬케이크 같은 평평한 표면을/ <내부나 위에/ 구의>],/ [사람들과 함께/ 서 있는/ <위에/ 그 팬케이크의>]].
어법 설명
- 조건의[시간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수동태
- “[If they were then told/~]”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할 때/~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were told”는 “들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picturing/~]“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묘사하는 것에 의해서(묘사함으로써)“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humans/ (who or that are) standing/ <on top/ of the pancake>“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human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o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팬케이크 위에 서 있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핵심 내용 & 함축적 의미 추론의 확정
- 아이들은 지구가 둥글다는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평평한 지구관에 맞춰 팬케이크 같은 표면이 구형의 내부나 구형 위에 있다고 해석했습니다. 이미 문장 3에서 추론한 내용이 문장 4에서 그대로 진술되어 있습니다. 만약 문장 3에서 답을 선택하지 못한 사람도 여기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문장 5
The model of the earth that they had developed — and that helped them explain how they could stand or walk upon its surface — did not fit the model of a spherical earth.
주요 단어 정리
- develop: 개발하다, 발전시키다 (동의어: create, formulate / 반의어: abandon, destroy) 여기서는) 묘사하다(picture; 본문에 사용된), 생각해내다(come up with)
- explain: 설명하다
- fit: 들어맞다, 적합하다 (동의어: match, align / 반의어: conflict, clash)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model/ of the earth>/ [that they had developed]/ — and/ [that helped/ them/ [explain/ [how they could stand or walk/ upon its surface]]]]/ — did not fit/ <the model/ of a spherical earth>.
- [<그 모델은/ 지구의>/ [그들이 개발해 왔던]/ — 그리고/ [도와주었던/ 그들을/ [설명하도록/ [어떻게 그들이 서 있을 수 있고 걸을 수 있었는지를/ 그것의 표면 위에서]]]]/ — 맞지 않았습니다/ <그 모델과/ 구형 지구의>.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관계절을 and로 연결
- “[<The model/ of the earth>/ [that they had developed]/ — and/ [that helped/ them/ [explain/ [how they could stand or walk/ upon its surface]]]]”는 두 개의 관계절 “[that they had developed]-목적격 관계절”와 “[that helped/ them/ [explain/ [how they could stand or walk/ upon its surface]]]-주격 관계절”이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관계사 내지 동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아무 역할도 하지 못하는 문장 부호 dash(—)
- 위의 병렬구조로 인해 문장 부호 dash(—)는 아무 역할도 하지 못합니다. 오히려 문장을 복잡하게만 하고 있으므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과거완료[had + pp] 시제
- "that they had developed"에서 사용된 어법. 대과거부터 과거까지 발전된 모델임을 나타냅니다.
- 5형식 문형 "사역동사(help)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helped/ them/ [explain/~]”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they could stand or walk/ upon its surfac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목적격 보어인 동사원형 explain의 목저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아이들이 발전시킨 지구 모델은 구형 지구의 모델과 부합하지 않았습니다.
문장 6
Like the story Fish is Fish, where a fish imagines everything on land to be fishlike, everything the children heard was incorporated into their preexisting views.
주요 단어 정리
- imagine: 상상하다
- land: 육지, 땅
- fish-like: 물고기 같은, 물고기와 비슷한
- incorporate: 통합하다, 포함하다 (동의어: integrate, merge / 반의어: separate, exclude)
- preexisting: 기존의, 이전부터 존재하는 (동의어: existing, prior / 반의어: new, emerging)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Like the story/ [‘Fish is Fish’,/ where a fish imagines/ <everything/ on land>/ to be fish-like]],/
- [이야기처럼/ [‘Fish is Fish’라는,/ 한 물고기가 상상하는/ <모든 것을/ 육지 위의>/ 물고기 같을 것이라고(물고기와 비슷하다고)]],/
- [everything/ (that) the children heard]/ was incorporated/ into their preexisting views.
- [모든 것은/ 그 아이들이 들었던]/ 통합되었습니다/ 그들의 기존 관점(들)으로.
어법 설명
- 동격 구조 – 문장의 명사화 필요
- ”[Like the story/ [‘Fish is Fish’,/~]]“에서 ”the story“와 ”Fish is Fish“는 의미상 동격입니다. 따라서, ”Fish is Fish“는 앞뒤로 ‘’를 추가하여 명사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Like the story/ [‘Fish is Fish’,/ where a fish imagines/ <everything/ on land>/ to be fish-like]]"에서 “where”는 선행사, “‘Fish is Fish’”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한 물고기가 육지 위의 모든 것이 물고기 같을 것이라고 상상하는 ‘Fish is Fish’”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의 생략
- “[everything/ (that) the children heard]”에서 생략된 ”(that)”은 선행사, “everything”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 아이들이 들었던 모든 것”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에 부정 대명사(~thing, ~one, ~bpdy)를 포함하는 경우로 which는 사용하지 못합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목적격 관계 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수동태[be + pp]
- “was incorporated”에서 사용된 어법. "통합되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6의 핵심 내용
- Fish is Fish 이야기처럼, 아이들은 들은 모든 정보를 기존의 관점에 맞춰 해석했습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새로운 정보는 기존의 사고방식에 맞추어 재해석되며, 이는 기존 관점이 정보 수용과 해석의 틀을 결정한다.”
선택지 분석
- ① established knowledge is questioned and criticized
- 해석: 기존 지식이 의문시되고 비판받는다.
- 분석: 지문에서 아이들은 기존 사고방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지 비판하거나 의문을 제기하지 않습니다.
- 오답 근거: 아이들의 사고는 기존 지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며, 기존 지식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 ② novel views are always favored over existing ones
- 해석: 새로운 관점이 항상 기존 관점보다 선호된다.
- 분석: 지문에서는 새로운 정보(지구가 둥글다는 사실)가 기존 관점(지구가 평평하다는 믿음)에 의해 왜곡되거나 흡수됩니다.
- 오답 근거: 새로운 관점이 선호되기보다는 기존 관점에 맞추어 재해석됩니다.
- ③ all one’s claims are evaluated based on others’ opinions
- 해석: 자신의 모든 주장이 타인의 의견에 따라 평가된다.
- 분석: 지문에서 타인의 의견은 언급되지 않으며, 아이들은 자신의 경험과 관점에 기반하여 사고합니다.
- 오답 근거: 아이들의 사고는 오로지 자기 경험과 기존 관점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 ④ new information is interpreted within one’s own views
- 해석: 새로운 정보가 자기 자신의 관점 내에서 해석된다.
- 분석: 지문의 핵심 메시지와 일치합니다. 아이들은 지구가 둥글다는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평평한 지구관에 맞추어 해석하여 **"팬케이크처럼 평평한 표면이 구형의 위에 있는 지구"**라는 모델을 상상합니다.
- 정답 근거: 새로운 정보가 기존 관점에 흡수되는 과정이 바로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의 핵심입니다.
- ⑤ new theories are established through experiments
- 해석: 새로운 이론이 실험을 통해 확립된다.
- 분석: 지문은 새로운 이론의 확립이 아닌, 기존 관점 내에서의 새로운 정보 해석을 다룹니다. 실험이나 이론 확립과는 무관합니다.
- 오답 근거: 지문은 실험과 이론 확립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④ new information is interpreted within one’s own views”가 가장 적절합니다.
해설 요약
- 지문은 아이들이 기존의 평평한 지구관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재해석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은 새로운 정보를 기존 관점 내에서 받아들이는 방식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 이 과정은 정답인 ④번 "새로운 정보가 자기 자신의 관점 내에서 해석된다"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결론
기존 관점이 사고방식을 결정한다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에서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은 새로운 정보를 기존 관점에 맞춰 재해석하는 사고 과정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지문에서 이 표현을 따옴표 없이 사용한 것은 고유 개념임을 명확히 전달하지 못한 오류로 볼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려면 'Fish is Fish-style assimilation'을 명사화하여 독자에게 이 표현이 단순한 설명이 아닌 특정 개념임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이러한 수정은 학습자가 개념의 핵심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및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팁까지도 포함하는 상세한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드렸기를 기대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