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논리적 문제점으로 가득한 모의고사 지문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겉보기에 흥미로운 주제를 다룹니다. "산업 발전과 환경사이의 관계"라는 중대한 이슈를 제시하고 있지만, 글의 구조와 논리적 전개는 독자를 실망시키기에 충분합니다.
지문은 처음에는 환경 문제를 논의할 것처럼 출발하지만, 산업혁명 찬양과 도시화의 긍정적 측면을 설명하는 데 지나치게 많은 지면을 할애합니다. 더 나아가, 마지막 부분에서 갑자기 "산업 폐기물이 환경을 망쳤다"는 결론으로 급전개하며, 글 전반의 논리적 연결성을 완전히 상실합니다.
이 글은 주제 전개가 산만하고, 문단 간 연결이 느슨하며, 독자의 사고를 흐트러뜨리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글을 분석하며 주제를 올바르게 파악하고, 논리적 허점을 간파하는 연습을 통해 독해력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습니다.
글의 제목 찾기, 주제, 요지,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이나 명제를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realization of human domination over the environment began in the late 1700s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Advances in manufacturing transformed societies and economies while producing significant impacts on the environment. American society became structured on multiple industries’ capitalistic goals as the development of the steam engine led to the mechanized production of goods in mass quantities. Rural agricultural communities with economies based on handmade goods and agriculture were abandoned for life in urban cities with large factories based on an economy of industrialized manufacturing. Innovations in the production of textiles, iron, and steel provided increased profits to private companies. Simultaneously, those industries exerted authority over the environment and began dumping hazardous byproducts in public lands and waterways.
② Urbanization: A Road to a Better Life
③ Industrial Development Hurt the Environment
④ Technology: A Key to Sustainable Development
⑤ The Driving Force of Capitalism Was Not Greed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realization of human domination over the environment began in the late 1700s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주요 단어 정리
- realization: 인식, 깨달음 (동의어: recognition, awareness / 반의어: ignorance)
- domination: 지배, 통제 (동의어: control, supremacy / 반의어: subordination)
- environment: 환경 (동의어: surroundings, ecosystem / 반의어: none)
- industrial revolution: 산업혁명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realization/ of human domination>/ over the environment]/
- [<인식이/ 인간의 지배의>/ 환경에 대한]/
- began/ in the late 1700s/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 시작되었습니다/ 1700년대 후반에/ 산업 혁명과 함께.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산업 혁명과 함께 인간의 환경 지배라는 인식이 시작되었다."
문장 2
Advances in manufacturing transformed societies and economies while producing significant impacts on the environment.
주요 단어 정리
- advances: 발전, 진보 (동의어: progress, development / 반의어: regression, setback)
- manufacturing: 제조업 (동의어: production, fabrication / 반의어: none)
- transform: 변형[변화]시키다 (동의어: change, revolutionize / 반의어: preserve)
- impact: 영향 (동의어: effect, influence / 반의어: none)
- significant: 상당한, 중대한 (동의어: important, substantial / 반의어: minor, insignifica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dvances/ in manufacturing>/ transformed/ <societies and economies>/
- <발전들이/ 제조업에서의>/ 변화시켰습니다/ <사회들과 경제들을>/
- [while producing/ significant impacts/ on the environment].
- [만들어 내면서/ 중대한 영향을/ 환경에].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while producing/~]”은 “[while they produced/ ~]”의 종속절에서 주어 “they(=Advances/ in manufacturing)”가 생략되고 동사 “produced”가 “produc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만들어 내면서”의 의미를 전달. 분사구문에서 접속사는 생략할 수도 있고 생략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제조업의 발전이 사회와 경제를 변화시키며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지문은 주제 측면에서의 논리적 전개가 엉망입니다. 여기서 답을 추론하면 됩니다. 환경에 대한 영향을 언급하는 보기는 "③ Industrial Development Hurt the Environment"뿐입니다.
문장 3
American society became structured on multiple industries’ capitalistic goals as the development of the steam engine led to the mechanized production of goods in mass quantities.
주요 단어 정리
- structure: 구조화하다, 조직하다, 구성하다 (동의어: organize, arrange / 반의어: disorganize)
- capitalistic goals: 자본주의적 목표
- development: 발전, 개발
- steam engine: 증기 기관
- lead to~: ~로 이어지다
- mechanized: 기계화된 (동의어: automated, industrialized / 반의어: manual)
- quantity: 양
- in mass quantities: 대량으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merican society became structured/ on multiple industries’ capitalistic goals/
- 미국 사회는 구조화되었습니다/ 여러 산업의 자본주의적 목표들 위에서/
- [as <the development/ of the steam engine>/ led/ [<to the mechanized production/ of goods>/ in mass quantities]].
- [<발전이/ 증기 기관의>/ 이어짐에 따라서/ [<기계화된 생산으로/ 상품의>/ 대량으로]].
어법 설명
- 수동 구문[become[get] + pp]
- “became structured”에서 사용된 어법. "구조화되었다"의 의미로 수동 구문.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the development/ of the steam engine>/ le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증기 기관의 발전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미국 사회는 산업의 자본주의적 목표를 중심으로 구조화되었다." 문장 3과 "산업 발전의 환경 파괴"와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습니다. 주제와 연관성이 있으려면 대량생산으로 인한 폐수의 증가와 이로 인한 환경 오염이 언급되었어야 합니다.
문장 4
Rural agricultural communities with economies based on handmade goods and agriculture were abandoned for life in urban cities with large factories based on an economy of industrialized manufacturing.
주요 단어 정리
- rural: 시골의 (동의어: countryside, rustic / 반의어: urban, metropolitan)
- abandon: 버리다 (동의어: leave, desert / 반의어: retain, preserve)
- urban: 도시의 (동의어: metropolitan, city-based / 반의어: rural)
- industrialized: 산업화된 (동의어: mechanized, developed / 반의어: underdevelop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ural agricultural communities/ [with economies/ (which or that were) based/ on <handmade goods and agriculture>]]/ were abandoned/
- [시골 농업 공동체들은/ [경제를 가진/ 기반을 두었던/ <수공예품들과 농업에>]]/ 버려졌습니다/
- [for life/ [in urban cities/ [with large factories/ (which or that were) based/ <on an economy/ of industrialized manufacturing>]]].
- [삶을 위해/ [도시들에서의/ [큰 공장들을 가진/ 기반을 두었던/ <경제에/ 산업화된 제조업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수동태[be + pp]
- 이 문장의 주어는 ”Rural agricultural communitie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were abandoned“. 그러면서 ”버려졌다“의 의미로 수동태.
- “~된(~했던)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economies/ (which or that were) based/ on <handmade goods and agriculture>“와 ”large factories/ (which or that were) based/ <on an economy/ of industrialized manufacturing>“에서 사용된 어법. 각각의 선행사, ”economies“와 ”large factorie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e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각각 ”수공예품들과 농업에 기반을 두었던 경제들“과 ”산업화된 제조업의 경제에 기반을 두었던 큰 공장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수공업과 농업 기반의 시골 공동체는 도시의 산업화된 제조업 경제로 대체되었다." 문장 4 역시 이 글의 주제와 관련이 없습니다. 관련성을 가지려면, 도시 지역의 인구증가로 인한 오폐수의 증가가 있었고 그로 인해 감이 오염되었다는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
문장 5
Innovations in the production of textiles, iron, and steel provided increased profits to private companies.
주요 단어 정리
- innovation: 혁신 (동의어: invention, improvement / 반의어: stagnation)
- textile: 직물, 섬유
- iron: 철
- steel: 강철
- profit: 이익 (동의어: earnings, revenue / 반의어: loss)
- private company: 사기업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novations/ [in the production/ <of textiles, iron, and steel>]]/ provided/ increased profits/ to private companies.
- [혁신들이/ [생산에서의/ <직물, 철, 및 강철 생산의>]]/ 제공했습니다/ 증가된 이익들을/ 사기업들에게.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직물, 철, 강철 생산의 혁신이 민간 기업에 더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이 문장 역시 주제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연관성이 있으려면,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퍠기물 처리비용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로비 등이 언급되었어야 합니다.
문장 6
Simultaneously, those industries exerted authority over the environment and began dumping hazardous by-products in public lands and waterways.
주요 단어 정리
- simultaneously: 동시에 (동의어: at the same time, concurrently / 반의어: separately)
- exert: 행사하다 (동의어: apply, wield / 반의어: relinquish)
- authority: 권위, (여기서는) 지배(→domination)
- hazardous: 위험한 (동의어: dangerous, toxic / 반의어: safe, harmless)
- by-product: 부산물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imultaneously,/ those industries [exerted/ <authority(→domination) / over the environment>]/ and/ [began dumping/ hazardous by-products/ [in public <lands and waterways>]].
- 동시에,/ 이러한 산업들은 [행사했습니다/ <권위를(→지배력을)/ 환경에 대한>]/ 그리고/ [버리기 시작했습니다/ 위험한 부산물들을/ [공공의 <토지들과 수로들>에]].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exerted/~]”와 “began dumping/~]”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격에 맞지 않은 어휘의 변경 필요성
- “authority”는 “권위, 권한, 재가, 인가”의 의미로, 본분에서는 “지배(domination)”나 “영향력(influence)” 정도의 의미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이는 마치 "철수의 사랑"을 "철수의 애정행각"으로 표현한 꼴입니다. 문맥으로는 이해하나 본질적으로 격에 맞는 어휘를 사용하자는 취지의 지적입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이들 산업은 환경을 지배하고 위험한 부산물을 공공 토지와 수로에 버리기 시작했다." 문장 6만 보더라도 어떻게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어 문제 출제를 위한 지문 구성으로 밖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문장 1에서 언급한 환경에 대한 인간의 지배에 대한 인식을 설명하려고 했으나 전체적인 지문 내 포함된 문장 간의 연결이 전체적인 글의 주제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주제 전개가 산만하고, 문단 간 논리적 연결이 약하며, 독자의 사고를 흐트러뜨리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환경 문제를 논하겠다더니, 중간에 뜬금없이 산업 혁명을 찬양하다가 마지막에 '산업 폐기물이 환경을 망쳤다'는 결론으로 전환하는 글은 독자를 기만하는 수준입니다. 어쨌든 마지막 문장 2와 문장 6을 근거로 정답은 “③ Industrial Development Hurt the Environment(산업의 발전이 환경에 상처를 입힌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산업 발전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근거 문장
- 문장 1
- "The realization of human domination over the environment began in the late 1700s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 → 환경에 대한 인간의 지배가 산업혁명을 통해 시작되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문제의 출발점을 제시.
- 문장 2
- Advances in manufacturing transformed societies and economies while producing significant impacts on the environment.
- → 환경에 대한 긍정적 측면인지 부정적 측면인지 직접 언급은 없으나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만들어낸 사실이 언급되어 있음.
- 문장 6
- "Simultaneously, those industries exerted authority over the environment and began dumping hazardous by-products in public lands and waterways."
- → 산업 발전이 환경에 미친 직접적인 부정적 영향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며 지문의 핵심 주장과 연결.
선택지 분석
- ① Strategies for Industrial Innovations
- 지문이 산업 발전의 구체적 전략이나 혁신 방안을 설명하지 않으므로 부적절.
- ② Urbanization: A Road to a Better Life
- 도시화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긴 하지만, "도시화가 더 나은 삶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은 지문의 요지와 동떨어짐.
- ④ Technology: A Key to Sustainable Development
- 지속 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언급하지 않으므로 오답.
- ⑤ The Driving Force of Capitalism Was Not Greed
- 자본주의의 동력이나 탐욕에 관한 논의는 지문에 포함되지 않음.
정답 제시
- 따라서, “③ Industrial Development Hurt the Environment”이 가장 적절합니다.
- → 산업 발전이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지문의 핵심 주장과 정확히 부합.
결론
논리적 연결을 상실한 지문과 그 교훈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이 지문은 환경 문제와 산업 발전의 관계라는 중요한 주제를 다루고 있음에도, 논리적 전개가 산만하고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특히 산업 발전의 긍정적 효과를 설명하다가 마지막에 "환경을 파괴했다"는 결론으로 급전환하는 방식은, 독자를 설득하기보다는 혼란스럽게 만듭니다.
그러나 이러한 지문을 분석하며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분명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파악하고, 이를 뒷받침하거나 약화시키는 문장을 구분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주어진 내용이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질문의 초점을 파악하고 주제에 맞는 답을 선택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정답은 ③ Industrial Development Hurt the Environment이며, 이 지문은 주제 전개와 논리적 연결성을 명확히 하는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줍니다.
독자 여러분도 이 글을 통해 문제를 분석하는 방법과 함께 비판적으로 글을 읽는 힘을 키워보시길 바랍니다. 😊
특히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