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사회적 비교와 인간 심리: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문제는 인간이 사회적 비교를 통해 느끼는 심리적 영향을 다루고 있습니다. "사회적 비교"라는 익숙한 주제를 바탕으로, 심리학적 개념인 악성 시기심(malignant envy)과 양성 시기심(benign envy)을 흥미롭게 설명합니다.
그러나, 이 글은 단순한 심리적 설명에 그치지 않고, 영어 어법 문제를 포함하고 있어, 수험생들이 어법과 논리적 사고를 동시에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동명사와 동사의 수일치(④ risk), 대명사(① ones), 관계대명사(⑤ which), 분사구문 등의 출제 빈도가 높은 문법 요소가 다루어져 있어 실전 대비에 매우 유용합니다.
어법의 적절성 판단의 문제 유형은 지시 대상의 수의 일치를 묻는 대명사 문제를 제외하고 어법의 적절성 여부가 판단되는 문장만 확인하여 시간을 검토에 필요한 줄이라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의고사, 수능에 자주 출제되는 어법 유형의 문제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이고 본 해설 내용도 그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어법의 적절성 판단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독자가 지문을 이해하는데, 분명하고 확실한 도움을 드릴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Despite abundant warnings that we shouldn’t measure ourselves against others, most of us still do. We’re not only meaningseeking creatures but social ① ones as well, constantly making interpersonal comparisons to evaluate ourselves, improve our standing, and enhance our selfesteem. But the problem with social comparison is that it often backfires. When comparing ourselves to someone who’s doing better than we are, we often feel ② inadequate for not doing as well. This sometimes leads to what psychologists call malignant envy, the desire for someone ③ to meet with misfortune (“I wish she didn’t have what she has”). Also, comparing ourselves with someone who’s doing worse than we are ④ risk scorn, the feeling that others are something undeserving of our beneficence (“She’s beneath my notice”). Then again, comparing ourselves to others can also lead to benign envy, the longing to reproduce someone else’s accomplishments without wishing them ill (“I wish I had what she has”), ⑤ which has been shown in some circumstances to inspire and motivate us to increase our efforts in spite of a recent failure.
* backfire: 역효과를 내다 ** scorn: 경멸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Despite abundant warnings that we shouldn’t measure ourselves against others, most of us still do.
주요 단어 정리
- despite~: ~에도 불구하고 (동의어: in spite of / 반의어: because of)
- abundant: 많은, 풍부한 (동의어: plentiful, ample / 반의어: scarce, insufficient)
- measure oneself against~: ~와 자신을 비교하다
- still: 여전히, 그래도 (동의어: nevertheless, even so / 반의어: no longe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Despite abundant warnings/ [that we shouldn’t measure/ ourselves/ against others]],/
- [많은 경고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비교하지 말아야 한다는/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 <most/ of us>/ still do.
- <대부분은/ 우리의(우리 대부분은)>/ 여전히 그렇게 한다.
어법 설명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abundant warnings/ [that~]"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abundant warnings“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대동사 do
- “do”는 “measure/ ourselves/ against others”를 대신하는 동사로, “are”나 조동사로 대체할 수 없습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지 말라는 많은 경고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전히 그렇게 한다."
문장 2
We’re not only meaningseeking creatures but social ① ones as well, constantly making interpersonal comparisons to evaluate ourselves, improve our standing, and enhance our selfesteem.
주요 단어 정리
- not on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
- meaning-seeking: 의미를 추구하는
- creature: 존재, 생물, 피조물
- as well: 또한, 게다가
- interpersonal comparison: 대인관계에서의 비교
- social: 사회적인 (동의어: communal, interpersonal / 반의어: isolated)
- ones: 앞에서 언급한 명사(이 경우 creatures)를 대신하는 대명사
- evaluate: 평가하다 (동의어: assess, judge / 반의어: ignore, overlook)
- improve: 향상[개선]시키다
- standing: 지위, 위치 (동의어: status, rank / 반의어: insignificance)
- enhance: 향상시키다, 높이다 (동의어: improve, boost / 반의어: diminish, degrade)
- self-esteem: 자존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re not only meaningseeking creatures/ but social ① ones/ as well,/
- 우리는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존재이기도 합니다/ 또한,/
- [constantly making/ interpersonal comparisons/ [<to evaluate/ ourselves>,/ <(to) improve/ our standing>,/ and/ <(to) enhance/ our selfesteem>]].
- [끊임없이 만들면서(하면서)/ 대인 관계에서의 비교를/ [<평가하기 위해서/ 우리들 자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우리의 지위를>,/ 그리고/ <높이기 위해서/ 우리의 자존감을>]].
어법 설명
- 부정 대명사 ”one“ & 어법적 적절성 판단 (a)
- 앞 문장에서 사용된 명사 중 불특정한 대상을 지시할 때 사용. 이 문장에서는 ”ones“은, ”creatures(존재들)“을 대신하여 사용됨. 따라서,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분사구문
- “[constantly making/~]”은 “[while we constantly mak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we”가 생략되고 동사 “make”가 “mak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병렬 구조
- "[<to evaluate/ ourselves>,/ <(to) improve/ our standing>,/ and/ <(to) enhance/ our selfesteem>]”에서 사용된 용법. 그러면서 to 부정사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우리는 단지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가 아니라, 사회적 비교를 통해 자신을 평가하고 자존감을 높이려는 사회적 존재이다."
문장 3
But the problem with social comparison is that it often backfires.
주요 단어 정리
- problem with~: ~이 가진 문제
- social comparison: 사회적 비교
- backfire: 역효과를 내다 (동의어: rebound, boomerang / 반의어: succeed, achiev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the problem/ with social comparison>/ is [that it often backfires].
- 그러나/ <문제는/ 사회적 비교가 가진>/ [그것이 종종 역효과를 낸다는 것]입니다.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problem”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s [tha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사회적 비교는 종종 역효과를 낸다."
문장 4
When comparing ourselves to someone who’s doing better than we are, we often feel ② inadequate for not doing as well.
주요 단어 정리
- compare oneself to~: ~와 자신을 비교하다
- inadequate: 부족한, 불충분한 (동의어: insufficient, lacking / 반의어: adequate, sufficie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comparing/ ourselves/ [to someone/ who’s doing better]/ [than we are]],/
- [비교할 때 / 우리 자신을/ [누군가와/ 더 잘하고 있는]/ [우리가 하는 것보다]],/
- we often feel ② inadequate/ <for not doing/ as well>.
- 우리는 종종 부족하다고 느낀다/ <하지 못하는 것 때문에/ 그만큼 잘>.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재귀 대명사 “ourselves”
- “[When comparing/~]”은 “[when we compare/ ~]”의 종속절에서 주어 “we”가 생략되고 동사 “compare”가 “compar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종속절의 주어와 동사의 목적어가 같은 경우로, ourselves를 사용해야 합니다.
- 2형식 감각 동사 + 형용사 & 어법적 적절성 판단 (b)
- “feel ② inadequate”에서 사용된 어법. 2형식 감각동사 “look/sound/smell/taste/feel+형용사”의 원칙입니다. 주어를 보충하는 형용사로 어법상 적절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someone/ who’s doing better”에서 “who”는 선행사, “someon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더 잘 하고 있는 누군가”의 의미를 전달.
- 비교의 부사절 “than + 주어 + 동사” & 대동사 “are”
- “[than we are (doing)]”에서 사용된 어법. “~하는 것보다”의 의미를 전달. “are”는 대동사로 “are (doing)”의 생략 형태로 “do”나 조동사가 올 수 없습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우리는 자신을 더 잘하는 사람과 비교할 때, 잘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부족함을 느낀다."
문장 5
This sometimes leads to what psychologists call malignant envy, the desire for someone ③ to meet with misfortune (“I wish she didn’t have what she has”).
주요 단어 정리
- lead to~: ~로 이어지다
- malignant envy: 악성 시기심
- desire: 바라는 것, 욕구, 열망 (동의어: craving, longing / 반의어: aversion, disinterest)
- misfortune: 불운, 불행 (동의어: adversity, hardship / 반의어: fortune, luck)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sometimes leads/ [to what psychologists call/ [[malignant envy],/ [the desire/ <for someone>/ ③ <to meet/ with misfortune>]]]
- 이것은 때때로 이어집니다/ [심리학자들이 부르는 것으로/ [[악성 시기심이라고],/ [바라는 것인/ <누군가가>/ <만나기를/ 불행을>]]].
어법 설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psychologists call/ [[malignant envy],/~]]”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심리학자들이 악성 시기심이라고 부르는 것“의 의미.
- 동격 관계
- "[malignant envy]"와 "[the desire/~]"는 동격 관계입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어법적 적절성 판단 (c)
- “the desire/ <for someone>/ ③ <to meet/ with misfortun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desire”를 수식. 다만, 표준 해석으로 “누군가가 불행을 만나는 욕구”에서 약간 벗어나서 “누군가가 ~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의역합니다. ”for someone“은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따라서, ”③ to meet“는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사회적 비교는 때때로 심리학자들이 '악성 시기심'이라고 부르는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
문장 6
Also, comparing ourselves with someone who’s doing worse than we are ④ risk scorn, the feeling that others are something undeserving of our beneficence (“She’s beneath my notice”).
주요 단어 정리
- risk~: (동사) ~의 위험을 감수하다
- scorn: 경멸, 멸시 (동의어: disdain, contempt / 반의어: respect, admiration)
- undeserving of~: ~의 자격이 없는
- beneficence: 선행, 자선
- beneath one's notice: 관심 밖에 있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so,/ [comparing/ ourselves/ [with someone/ who’s doing worse]/ [than we are]]/
- 또한,/ [비교하는 것은/ 우리 자신을/ [누군가와/ 우리보다 못하고 있는]/ [우리가 하고 있는 것보다]].
- ④ risk(→risks)/ [[scorn],/ [the feeling/ [that others are <something(→people)/ undeserving/ of our beneficence>/ (“She’s beneath my notice”)]]].
- 감수합니다/ [[경멸의 위험을]/ [느낌인/ [다른 사람들이 <어떤 것이라는(→사람들이라는)/ 자격이 없는/ 우리의 선행에 대한>/ (그녀는 나의 관심 밖에 있어라는)]]].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어법적 적절성 판단 (d)
- 이 문장의 주어는 동명사인 ”comparing”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risks“가 와야 하나 복수 형태인, ”risk“이므로 어법상 적절하지 않습니다.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마지막 문장까지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someone/ who’s doing worse”에서 “who”는 선행사, “someon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더 못 하고 있는 누군가”의 의미를 전달.
- 비교의 부사절 “than + 주어 + 동사” & 대동사 “are”
- “[than we are (doing)]”에서 사용된 어법. “~하는 것보다”의 의미를 전달. “are”는 대동사로 “are (doing)”의 생략 형태로 “do”나 조동사로 대체할 수 없습니다.
- 동격 관계
- "[scorn]"와 "[the feeling/~]"는 동격 관계입니다.
- 의미상 보어의 어휘 변경 필요성
- "that others are <something(→people)/ undeserving/ of our beneficence>"에서 "that 절"의 주어는 "others(다른 사람들)"로 보어인 "something(무언가)"는 "people(사람들)"로 변경해야 문맥상, 어법상 적절합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우리보다 못한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면, 종종 경멸의 태도를 갖게 될 위험이 있다."
문장 7
Then again, comparing ourselves to others can also lead to benign envy, the longing to reproduce someone else’s accomplishments without wishing them ill (“I wish I had what she has”), ⑤ which has been shown in some circumstances to inspire and motivate us to increase our efforts in spite of a recent failure.
주요 단어 정리
- then: 그러면
- benign envy: 양성 시기심
- longing: 열망, 갈망
- reproduce: 재현하다, 재생산하다
- accomplishment: 성취 (동의어: achievement, attainment / 반의어: failure, setback)
- wish A ill: A에게 나쁜 일이 생기기를 소망하다
- be shown: 입증되다, 보여지다
- circumstance: 상황 (동의어: situation)
- inspire: 영감을 주다. 고무하다
- motivate: 동기를 부여하다
- increase: 증가시키다, 늘리다
- effort: 노력
- in spite of~: ~에도 불구하고 (동의어: despite)
- recent failure: 최근의 실패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n/ again,/ <comparing/ ourselves/ to others>/ can also lead/
- 그러면/ 다시,/ <비교하는 것은/ 우리들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이어질 수 있습니다/
- to [benign envy],/ [the longing/ <to reproduce/ someone else’s accomplishments>/ <without wishing/ them/ ill>/ (“I wish/ I had/ what she has”)]/
- [양성 시기심]으로,/ [열망인/ <재현하려는/ 다른 사람의 성취들을>/ <소망하는 것 없이(소망하지 않고)/ 그들에게/ 나쁜 일이 생기기를>/ (나는 소망해/ 내가 갖기를/ 그녀가 가지고 있는 것을)].
- ,⑤ which has been shown/ in some circumstances/ [to inspire and motivate/ us/ <to increase/ our efforts>]/ in spite of a recent failure.
- 그리고 그것이 증명되어 왔습니다/ 일부 상황에서/ [고무하고 동기를 부여하도록/ 우리에게/ <증가시키도록/ 우리의 노력을>]/ 최근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comparing/ ourselves/ to others>“와 ”<without wishing/ them/ ill>“에서 사용된 어법. 각각 주어 역할 및 전치사 ”without“의 목적어 역할로, ”다른 사람들과 우리들 자신을 비교하는 것“과 ”그들에게 나쁜 일이 생기기를 소망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동격 관계
- ”[benign envy]“와 ”[the longing/~]“는 동격 관계입니다.
- I wish+가정법
- ”I wish/ I had/~“에서 사용된 어법. ”I had“는 가정법 과거로, 현재 사실의 반대, 현재이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을 표현하며, 현재 시제로 해석.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she has”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녀가 가지고 있는 것“의 의미.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the longing/ <to reproduce/ someone else’s accomplishments>”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longing”를 수식.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어법적 적절성 판단 (e)
- “,⑤ which has been shown/~”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일부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and it)”로 해석합니다. 이 때, “that”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inspire and motivate/~]”에서 사용된 용법.
- 5형식 문형 "inspire/motivat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inspire and motivate/ us/ <to increase/ our efforts>“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inspire”와 “motivate”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문장 7의 핵심 내용
- "양성 시기심은 다른 사람의 성취를 재현하려는 동기를 주며, 실패를 딛고 노력을 증가시키게 할 수 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인간은 사회적 비교를 통해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때로 동기부여가 되거나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어법상 적절성 검토
- ① ones
- 문장에서 "not only meaning-seeking creatures but social ones"에서 "ones"는 앞서 언급된 "creatures"를 대신하는 복수 대명사로 적절합니다.
- ② inadequate
- "we often feel ② inadequate"에서 "inadequate"는 감각 동사 "feel" 뒤에 오는 보어로 사용되며,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③ to meet
- "the desire for someone ③ to meet with misfortune"에서 "to meet"는 "desire"를 수식하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으로 사용되며,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④ risk
- "comparing ourselves with someone who’s doing worse than we are ④ risk scorn"에서 "risk"는 동명사 "comparing"을 주어로 하고 있으므로 단수형 동사가 와야 합니다.
- "risk"는 "risks"로 수정되어야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⑤ which
- "⑤ which has been shown in some circumstances"에서 "which"는 앞 문장을 받는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정답 제시
- 어법상 틀린 부분은 ④ risk → risks로 수정해야 합니다.
결론
"사회적 비교의 심리학과 영어 어법 문제의 교차점"
이번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문제는 사회적 비교가 인간 심리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탐구하는 흥미로운 글이자, 수능 영어 어법 문제의 핵심을 학습할 수 있는 지문입니다.
특히, 문장 6에서 "risk → risks"로 수정해야 하는 어법 오류를 통해,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를 포함해, 대명사, 관계대명사, 분사구문 등 주요 어법 요소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실전 대비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단순히 어법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독자가 영어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깊이 이해하며, 수능 문제 풀이에 필요한 논리적 사고력과 분석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수험생 여러분, 사회적 비교를 넘어 자신만의 성취를 이루는 여정을 응원합니다! 😊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고리 역할을 하는 청크(chunk)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200%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