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패러다임에 대한 맹신이 과학 발전을 저해할 수 있을까?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문제는 토머스 쿤(Thomas Kuhn)의 과학철학을 다루며, 정상 과학(normal science)이 패러다임을 의심 없이 따르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이 지문에서 과학자들은 실험 결과가 기존 패러다임과 맞지 않더라도, 패러다임 자체가 틀렸다고 보기보다는 실험 기법의 오류를 먼저 의심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문맥상 부적절한 단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답을 도출하는 과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의미의 단위 및 문법적 연결) 분석과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 및 구조적 차이를 바탕으로 한 의미 해석,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100%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What exactly does normal science involve? According to Thomas Kuhn it is primarily a matter of puzzle­solving. However successful a paradigm is, it will always ① encounter certain problems — phenomena which it cannot easily accommodate, or mismatches between the theory’s predictions and the experimental facts. The job of the normal scientist is to try to ② eliminate these minor puzzles while making as few changes as possible to the paradigm. So normal science is a ③ conservative activity — its practitioners are not trying to make any earth­shattering discoveries, but rather just to develop and extend the existing paradigm. In Kuhn’s words, ‘normal science does not aim at novelties of fact or theory, and when successful finds none’. Above all, Kuhn stressed that normal scientists are not trying to test the paradigm. On the contrary, they accept the paradigm ④ unquestioningly, and conduct their research within the limits it sets. If a normal scientist gets an experimental result which ⑤ corresponds with the paradigm, they will usually assume that their experimental technique is faulty, not that the paradigm is wrong.

* practitioner: (어떤 일을) 실행하는 사람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at exactly does normal science involve?

주요 단어 정리

  • involve: 포함하다, 수반하다 (동의어: include, entail / 반의어: exclude, omit)
  • normal science: 정상적인 과학 (과학 철학에서 패러다임 내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활동)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t exactly/ does normal science involve?
  • 정확히 무엇을/ 정상적인 과학은 포함합니까?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정상적인 과학이 정확하게 무엇을 포함하는가에 대한 질문 

문장 2

According to Thomas Kuhn it is primarily a matter of puzzle­solving.

주요 단어 정리

  • according to~: ~에 따르면
  • primarily: 주로 (동의어: mainly, chiefly / 반의어: secondarily)
  • matter: 문제, 일
  • puzzle-solving: 문제 해결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ccording to Thomas Kuhn,/ it is primarily <a matter/ of puzzle-solving>.
  • 토머스 쿤에 따르면,/ 그것은(정상적인 과학이 정확하게 포함하는 것은) 주로 <일(것)입니다/ 문제 해결에 관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정상적인 과학이 정확하게 포함하는 것은 문제 해결에 관한 일(것).

문장 3

However successful a paradigm is, it will always ① encounter certain problems — phenomena which it cannot easily accommodate, or mismatches between the theory’s predictions and the experimental facts.

주요 단어 정리

  • paradigm: 패러다임, 이론적 틀
  • encounter: 마주치다 (동의어: face, confront / 반의어: avoid, evade)
  • certain: 특정한, 어떤, 확실한
  • phenomenon: (복수형: phenomena): 현상 (동의어: event, occurrence)
  • accommodate: 수용하다, 맞추다 (동의어: adapt, adjust / 반의어: reject, resist)
  • mismatch: 불일치 (동의어: discrepancy, inconsistency / 반의어: match, alignment)
  • between A and B: A와 B 사이의
  • theory: 이론
  • prediction: 예측
  • experimental fact: 실험적 사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successful/ a paradigm is],/
  • [아무리 성공적일지라도/ 패러다임이],/
  • it will always encounter/
  • 그것(패러다임)은 항상 마주칩니다/
  • [[certain problems]/—/ [phenomena/ which it cannot easily accommodate],/ or/ [mismatches/ <between the theory’s predictions and the experimental facts>]].
  • [[특정한 문제들을]/ 다시 말해/ [현상들을/ 그것(패러다임)이 쉽게 수용할 수 없는],/ 또는/ [불일치들을/ <이론의 예측과 실험적 사실 사이의>]].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however + 형용사/부사 + 주어 + 동사”
  • [However successfula paradigm is]”에서 사용된 어법. “아무리 ~일지라도”의 의미를 전달.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 [phenomena/ which it cannot easily accommodate]”에서 ”which”은 선행사, “phenomena”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것(패러다임)이 수용할 수 없는 현상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phenomena/~]”와 “[mismatches/~]”를 or로 병렬 연결한 구조.
  • 어휘의 적절성 검토 ①
  • “① encounter”는 패러다임이 문제에 "직면하다"는 의미로 문맥에 적절함.

문장 4

The job of the normal scientist is to try to ② eliminate these minor puzzles while making as few changes as possible to the paradigm.

주요 단어 정리

  • try: 노력하다
  • minor puzzle: 사소한 문제
  • eliminate: 제거하다 (동의어: remove, eradicate / 반의어: retain, preserve)
  • minor: 사소한 (동의어: trivial, insignificant / 반의어: major, significant)
  • as few ~ as possible: 가능한 한 적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job/ of the normal scientist>/ is to try/ <to eliminate/ these minor puzzles>/
  • <일은/ 정상 과학자의>/ 노력하는 것입니다/ <제거하기 위해서/ 이러한 사소한 문제들을>/
  • [while making/ <as few changes/ as possible>/ to the paradigm].
  • [만들면서/ <그만큼 적은 변화들을/ 가능한 한/ 패러다임에].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job”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is to try“.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이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is to try/ <to eliminate/ these minor puzzles>”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is to try”를 수식.
  • 분사구문
  • [while making/~]”은 “[while it makes/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he job)”가 생략되고 동사 “makes”가 “mak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어휘의 적절성 검토 ②
  • “② eliminate”는 "사소한 문제를 제거하다"라는 맥락에 적합함.

문장 5

So normal science is a ③ conservative activity — its practitioners are not trying to make any earth-shattering discoveries, but rather just to develop and extend the existing paradigm.

주요 단어 정리

  • normal science: 정상적인 과학
  • conservative: 보수적인 (동의어: traditional, cautious / 반의어: progressive, radical)
  • activity: 활동
  • practitioner: 실행자, 실천자 (동의어: professional, expert)
  • not A but A: A가 아니라 B
  • earth-shattering: 세계를 놀라게 할 만한
  • discovery: 발견
  • develop: 발전시키다
  • extend: 확장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 normal science is a ③ conservative activity/
  • 그래서/ 정상 과학은 보수적인 활동입니다/
  • —/ its practitioners [are not trying/ <to make/ any earth-shattering discoveries>],/ [but (are trying)/ rather/ just/ <to develop and extend/ the existing paradigm>].
  • 다시 말해/ 그것의(정상적인 과학의) 실행자들은 [노력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만들기 위해서/ 어떠한 세계를 놀라게 할 발견들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단지/ <발전시키고 확장하기 위해서/ 기존 패러다임을>].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are not trying/~]”와 “[but (are trying)/~]”를 “not A but B”로 병렬 연결한 구조. 다만, not의 위치를 to 부정사에 위치하는 것이 더 단순하고 명확하게 같은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ake/ any earth-shattering discoveries>”와 “<to develop and extend/ the existing paradigm>”에서 사용된 용법.
  • 어휘의 적절성 검토 ③
  • “③ conservative“는 "보수적인 활동"이라는 문맥에 적절함.

문장 6

On the contrary, they accept the paradigm ④ unquestioningly, and conduct their research within the limits it sets.

주요 단어 정리

  • on the contrary: 그와는 반대로
  • accept: 받아들이다
  • unquestioningly: 의심 없이 (동의어: uncritically, blindly / 반의어: skeptically, critically)
  • conduct: 수행하다
  • research: 연구
  • limit: 한계
  • set: 설정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 the contrary,/ they [accept/ the paradigm/ ④ unquestioningly],/ and/ [conduct/ their research/ [within the limits/ (which or that) it sets]].
  • 그와는 반대로,/ 그들은 [받아들입니다/ 패러다임을/ 의심 없이],/ 그리고/ [수행합니다/ 그들의 연구를/ [그 한계들 내에서/ 그것이(패러다임이) 설정하는]].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on the contrary"
  • 문장 내에서 "그와는 반대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accept/~]”와 “[conduct/~]”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limits/ (which or that) it sets”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limit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것이(패러다임이) 설정한 한계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어휘의 적절성 검토 ④
  • “④ unquestioningly”는 "의심 없이 받아들인다"는 문맥에 적합함. ①~④까지의 어휘가 적절하므로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7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문장 7

If a normal scientist gets an experimental result which ⑤ corresponds with the paradigm, they will usually assume that their experimental technique is faulty, not that the paradigm is wrong.

주요 단어 정리

  • experimental result: 실험 결과
  • correspond with~: ~와 일치하다 (동의어: match, agree with / 반의어: contradict, diverge)
  • assume: 가정하다, 추정하다
  • experimental technique: 실험 기법
  • faulty: 잘못된, 결함이 있는 (동의어: defective, flawed / 반의어: perfect, flawl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a normal scientist gets/ [an experimental result/ whichcorresponds(→does not correspond)/ with the paradigm]],/
  • [만약 정상 과학자가 얻는다면/ [실험 결과를/ 일치하는/ 패러다임과]],/
  • they will usually assume/ [that their experimental technique is faulty],/ not [that the paradigm is wrong].
  • 그들은 보통 가정할 것이다/ [그들의 실험 기법이 잘못되었다고],/ [패러다임이 틀렸다고가] 아니라.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a normal scientist gets/~]”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 [an experimental result/ which ⑤ corresponds(→does not correspond)with the paradigm]”에서 “which"는 선행사, “an experimental result”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그 패러다임과 일치하지 않은 실험 결과”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assume[that~],/ not [that~]"에서 "that"은 동사, "assum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어휘의 적절성 검토 ⑤
  • 문장 6까지 과학자들이 태도가 기존의 패러다임을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것이므로 “⑤ corresponds”는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반대의 의미인, “does not correspond”가 적절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토머스 쿤에 따르면, 정상 과학의 특징은 패러다임을 유지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과학자들은 패러다임 자체를 의심하지 않으며, 실험 결과가 패러다임과 맞지 않을 경우 실험 기법의 오류를 먼저 고려합니다.

문맥상 부적절한 표현 분석

  • 🔍 ① encounter (적절)
  • "패러다임은 항상 특정한 문제를 마주한다(encounter certain problems)"
  • 패러다임이 현실에서 문제에 직면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문맥상 적절함.
  • 🔍 ② eliminate (적절)
  • "정상 과학자의 역할은 가능한 한 적은 변화를 가하면서 사소한 문제를 제거하는 것이다"
  • 정상 과학이 패러다임을 유지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을 반영하므로 적절함.
  • 🔍 ③ conservative (적절)
  • "정상 과학은 보수적인 활동이다"
  • 과학자들이 기존 패러다임을 유지하며, 획기적인 발견을 추구하기보다는 기존 이론을 확장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적절함.
  • 🔍 ④ unquestioningly (적절)
  • "과학자들은 패러다임을 의심 없이 받아들인다"
  • 정상 과학의 특징은 기존 이론을 의심 없이 따르는 것이므로 적절함.
  • ❌ ⑤ corresponds with → does not correspond with (부적절)
  • 원문: "정상 과학자가 패러다임과 일치하는 실험 결과를 얻으면, 실험 기법이 틀렸다고 가정한다." (❌ 오류)
  • 수정: "정상 과학자가 패러다임과 일치하지 않는 실험 결과를 얻으면, 실험 기법이 틀렸다고 가정한다."

정답 제시

  • 과학자들이 패러다임을 의심 없이 따른다는 핵심 논리에 맞추려면, 실험 결과가 패러다임과 불일치해야만 과학자들이 실험 기법을 의심하는 태도를 보인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합니다.
  • ✅ 정답: ⑤ corresponds with → does not correspond with

결론

패러다임을 유지하는 정상적인 과학의 한계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은 과학자들이 패러다임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여주며, 실험 결과가 패러다임과 맞지 않아도 패러다임 자체를 의심하기보다 실험 기법을 먼저 의심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corresponds with(일치하다)"라는 표현은 이 논리와 충돌하며, "does not correspond with(일치하지 않다)"로 수정해야 정상 과학의 특징을 올바르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시험 전략 팁

문맥상 부적절한 어휘 문제는 단순한 뜻풀이가 아닌, 지문이 전달하는 핵심 논리와 일치하는지 검토해야 합니다.

지문의 논리를 흐트러뜨리는 표현을 찾고, 그 표현을 반대 의미로 바꿨을 때 지문과 더 잘 맞는지 검토하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이처럼 어휘 문제는 단순한 의미 암기가 아니라, 문맥 속에서 논리적 연결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독자 여러분도 이러한 분석 방식을 통해 영어 문제를 더욱 논리적으로 접근할 수 있길 바랍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및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그리고 문제 해결 방법을 위한 tip과 지문의 오류를 포함한 상세한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이 전달하는 메시지와 논리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