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기억력 향상, 단순한 암기 기술로 충분할까?"
현대 사회에서 기억력 향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주제입니다. 우리는 흔히 "기억력 트릭(memory tricks)"을 사용하면 기억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단순한 요령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문제는 기억력과 사고(thinking)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진정한 기억력 향상은 뇌의 모든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그러나 이 지문은 논리적 전개에서 몇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첫째, 문장 간 연결이 매끄럽지 않음 – "기억하는 방법"과 "사고하는 방법"을 다루다가, 갑자기 "정신적 작용(mental plays)"과 "인지적 신경 발화(cognitive neural firings)" 개념이 등장하여 논리의 흐름이 어색합니다.
둘째, 용어 사용의 일관성 부족 – 뇌 기능을 설명할 때 "기억(memory)"과 "사고(thinking)"를 구분하다가, 후반부에서는 이들을 포괄하는 개념을 명확히 정리하지 않은 채 "뇌의 모든 기능(all functions of the brain)"을 언급합니다.
이러한 논리적 문제를 인식하면서 지문의 핵심 내용을 문장별로 분석하고, 빈칸 추론 문제의 정답을 도출하는 과정까지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이 지문은 빈칸이 지문의 맨 마지막에 위치하므로 “아래에서 위로” 독해해 올라가면서 단서를 찾으시면 됩니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지문 자체의 오류로 억지로 시간은 줄일 수 있으나 그 오류를 확인하기 위해 지문 전체를 읽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문장으로 볼 수는 없습니다.
위에 설명드린 Tip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기에 빈칸을 포함한 문장 5의 해설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지문을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2.
When you’re driving a car, your memory of how to operate the vehicle comes from one set of brain cells; the memory of how to navigate the streets to get to your destination springs from another set of neurons; the memory of driving rules and following street signs originates from another family of brain cells; and the thoughts and feelings you have about the driving experience itself, including any close calls with other cars, come from yet another group of cells. You do not have conscious awareness of all these separate mental plays and cognitive neural firings, yet they somehow work together in beautiful harmony to synthesize your overall experience. In fact, we don’t even know the real difference between how we remember and how we think. But, we do know they are strongly intertwined. That is why truly improving memory can never simply be about using memory tricks, although they can be helpful in strengthening certain components of memory. Here’s the bottom line: To improve and preserve memory at the cognitive level, you have to ______________.
* close call: 위기일발 ** intertwine: 뒤얽히게 하다
③ concentrate on one thing at a time ④ work on all functions of your brain
⑤ share what you learn with other people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5
Here’s the bottom line: To improve and preserve memory at the cognitive level, you have to ______________.
🔹 주요 단어 정리
- bottom line: 핵심, 요점 (동의어: main point, essence / 반의어: detail, minor point)
- improve: 향상시키다 (동의어: enhance, boost / 반의어: deteriorate, decline)
- preserve: 유지하다, 보존하다 (동의어: maintain, protect / 반의어: lose, neglect)
- cognitive: 인지의, 정신적 과정과 관련된 (동의어: mental, intellectual / 반의어: physical, emotional)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ere’s the bottom line/
- 여기 핵심이 있습니다/
- :/ <To improve and preserve/ memory/ at the cognitive level>,/
- 즉/ <향상시키고 유지하기 위해서/ 기억력을/ 인지적 수준에서>,/
- you have to ______________.
- 당신은 ______________해야 합니다.
🔹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improve and preserve/ memory/ at the cognitive level>”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전체를 수식.
- 문장 5의 핵심 내용
- 기억력을 인지적 수준에서 향상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것. 해야할 것이 빈칸의 내용.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찾기 위해 앞 문장(문장 4)을 분석 후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4
That is why truly improving memory can never simply be about using memory tricks, although they can be helpful in strengthening certain components of memory.
🔹 주요 단어 정리
- improve: 향상시키다 (동의어: enhance, boost / 반의어: deteriorate, decline)
- memory trick: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요령
- strengthen: 강화하다 (동의어: reinforce, fortify / 반의어: weaken, diminish)
- component: 구성 요소 (동의어: element, part / 반의어: whole, entiret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at is [(the reason)/ why <truly improving/ memory>/ can never simply be/ <about using/ memory tricks>],/
- 그것이 [(그 이유)입니다/ 왜 <진정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기억력을>/ 결코 단순히 될 수 없는지의/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것이/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요령들만을>],/
- [although they can be helpful/ [in strengthening/ <certain components/ of memory>]].
- [비록 그것들이 도움이 될 수 있을지라도/ [강화하는 것에서/ <특정한 구성 요소들을/ 기억의>]]/.
🔹 어법 설명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선행사의 생략
- "[(the reason)/ why <truly improving/ memory>/ can never simply be/ <about using/ memory tricks>]"에서 “why”는 생략된 선행사, “(the reason)”을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기억력을 진정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요령들만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것이 결코 될 수 없는 이유”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truly improving/ memory>“와 "strengthening/ <certain components/ of memory>"에서 사용된 어법. 각각 관계부사 절의 주어 및 전치사 ”in“의 목적어 역할. ”기억력을 진정으로 향상시키는 것“과 "기억력의 특정한 구성 요소들을 강화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양보의 부사절 “although[ though / even if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although they can be helpful/~]”에서 사용된 어법.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1
-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단순한 기억력 요령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아직 찾고 있는 내용인 “기억력을 인지적 수준에서 향상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것”이 나오지 않았으므로, 문장 3을 분석 후 독해를 이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3
In fact, we don’t even know the real difference between how we remember and how we think. But, we do know they are strongly intertwined.
🔹 주요 단어 정리
- real difference: 실질적인 차이
- remember: 기억하다
- intertwine: 밀접하게 연결되다, 얽히다 (동의어: connect, link / 반의어: separate, detach)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fact,/ we don’t even know/ [the real difference / [between [how we remember] and [how we think]]].
- 사실,/ 우리는 심지어 알지 못합니다/ [실질적인 차이를/ [[어떻게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지(우리가 기억하는 방법)]와 [어떻게 우리가 생각해야 하는지(우리가 사고하는 방법)] 사이의]]].
- But,/ we do know/ [(that) they are strongly intertwined].
- 하지만,/ 우리는 정말로 압니다/ [그것들이(기억하는 방법과 사고하는 방법이) 강하게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 어법 설명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we remember]”와 "[how we think]"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강조의 조동사 do
- "do know"에서 사용된 어법. 여가서 "do"는 "really(정말로)"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do know/ [(tha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구, "do know"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수동태[be + pp]
- "are strongly intertwined"에서 사용된 어법. "강하게 밀접하게 연결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2
- 기억과 사고의 차이는 명확하지 않지만, 두 개념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문장 4와 문장 3의 진술로부터 “기억하는 방법과 사고하는 방법”을 포괄하는 방법이 진술되어야 합니다. 보기를 확인하면, “④ work on all functions of your brain(당신 두뇌의 모든 기능(들)에 공을 들이는 것)”이 가장 가깝습니다. 여기서 기능들의 일부가 기억하는 방법과 사고하는 방법인지는 문장 2를 독해하며 확인하도록 합니다.
문장 2
You do not have conscious awareness of all these separate mental plays and cognitive neural firings, yet they somehow work together in beautiful harmony to synthesize your overall experience.
🔹 주요 단어 정리
- conscious awareness: 의식적인 인식 (동의어: mindfulness, realization / 반의어: unconsciousness)
- separate: 분리된, 개별적인 (동의어: distinct, independent / 반의어: connected, unified)
- mental play: 정신적 작용
- cognitive neural firing: 인지적 신경 발화 (뇌에서 신호를 주고받는 과정)
- somehow: 어떻게든
- work together: 함께 작용하다
- in beautiful harmony: 아름다룬 조화 속에서(아주 조화롭게)
- synthesize: 종합하다, 합성하다 (동의어: integrate, combine / 반의어: separate, divide)
- overall: 전반적인
- experience: 경험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do not have/ [conscious awareness/ <of all these separate mental plays and cognitive neural firings>],/
- 당신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의식적인 인식을(의식적으로 인식하지 못합니다)/ <모든 이러한 개별적인 정신적 작용들과 인지적 신경 발화들의>],/
- yet/ they somehow work/ together/ in beautiful harmony/ <to synthesize/ your overall experience>.
- 그러나/ 그것들은 어떻게든 작용합니다/ 함께/ 아름다운 조화 속에서(아주 조화롭게)/ <종합해 내기 위해서/ 당신의 전반적인 경험을>.
🔹 어법 설명
- 대조 접속사 "yet"
- 앞 문장의 "인식하지 못한다"는 의미와 뒤 문장의 "그러나 조화를 이룬다"는 내용을 연결.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work/ together/ in beautiful harmony/ <to synthesize/ your overall experience>”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work”을 수식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우리는 개별적인 뇌 활동을 의식하지 못하지만, 이들은 조화를 이루며 우리의 경험을 만들어낸다. 문장 2의 내용과 문장 3의 내용의 직접적 연결이 모호합니다. 왜냐하면, 개별적인 정신적 작용들과 인지적 신경 발화가 “기억하는 방법”과 “사고하는 방법”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문장 1로 이동하여 이에 대한 단서를 찾아보도록 합니다.
문장 1
When you’re driving a car, your memory of how to operate the vehicle comes from one set of brain cells; the memory of how to navigate the streets to get to your destination springs from another set of neurons; the memory of driving rules and following street signs originates from another family of brain cells; and the thoughts and feelings you have about the driving experience itself, including any close calls with other cars, come from yet another group of cells.
🔹 주요 단어 정리
- operate: 조작하다, 작동시키다 (동의어: control, handle / 반의어: malfunction, mismanage)
- navigate: (길을) 찾다, 항해하다 (동의어: steer, direct / 반의어: get lost)
- destination: 목적지 (동의어: goal, target / 반의어: starting point)
- spring from~: ~에서 나오다, 비롯되다 (동의어: originate from, stem from)
- originate from~: ~에서 유래하다 (동의어: come from, derive from)
- another: 또 하나의, 다시 한 번
- close call: 위기일발 (동의어: narrow escape, near miss)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you’re driving/ a car],/
- [당신이 운전하고 있을 때/ 자동차를],/
- [your memory/ [of how to operate/ the vehicle]]/ comes/ <from one set/ of brain cells>/
- [당신의 기억은/ [어떻게 조작해야 하는지(조작하는 방법)에 대한/ 차량을]]/ 나옵니다/ <한 세트로부터/ 뇌세포들의>/
- ;(→,)/ [the memory/ [of how to navigate/ the streets/ <to get/ to your destination>]]/ springs/ <from another set/ of neurons>/
- 다시 말해(→(그리고))/ [기억은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찾는 방법)에 대한/ 길(들)을/ <도착하기 위해서/ 당신의 목적지에>]]/ 나옵니다/ <또 다른 세트로부터/ 신경 세포들의>/
- ;(→,)/ [the memory/ [of <driving rules> and <following/ street signs>]]/ originates/ <from another family/ of brain cells>/
- 다시 말해(→(그리고))/ [기억은/ [<운전 규칙>과 <따르는 것에 대한/ 도로 표지판들을>]]/ 유래합니다(나옵니다)/ <또 다른 종류로부터/ 뇌세포들의>/
- and/ [the thoughts and feelings/ (which or that) you have/ [about <the driving experience/ itself>/ <including any close calls/ with other cars>]]/ come/ <from, yet, another group/ of cells>.
- 그리고 [사고들과 느낌들은/ 당신이 가지고 있는/ [<운전 경험/ 자체>에 대한/ <어떠한 윅 일발을 포함하여/ 다른 차들과의>]]/ 나옵니다/ <그러나, 또 다른 집단으로부터/ (뇌) 세포들의>.
🔹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you’re driving/~]”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세 곳
- 이 문장의 주어는 ”[your memory/~]”, “[the memory/ [of how to navigate/~]]”, 및 “[the memory/ [of <driving rules>~]]”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각각 ”comes“, ”springs“, 및 ”originates“.
- 병렬 구조 – 네 개의 문장이 병렬로 연결 - “;“을 ”,“로 변경 필요
- ”[your memory/~]/ comes/ <from~>”, “[the memory/ [of how to navigate/~]]/ springs/ <from~>”, “[the memory/ [of <driving rules>~]]/ originates/ <from~>” 및 “[the thoughts and feelings/~]/ come/ <from~>”은 4개의 문장이 병렬 연결된 구조로 semicolon(;)은 comma(,)로 변경되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semicolon(;)은 연결사가 아닌 부연 설명이나 보충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how to operate“와 ”how to navigat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how you should operate“와 ”how you should navigate“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어떻게 조작해야 하는지(조작하는 방법)“과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찾는 방법)“의 의미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get/ to your destination>”에서 사용된 용법.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following/ street signs>“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의 목적어 역할. ”도로 표지판(들)을 따르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thoughts and feelings/ (which or that) you have/ [about~]]”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thoughts and feeling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에 대해서 당신이 가지고 있는 사고(들)와 느낌(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운전하는 동안 우리는 다양한 기억을 사용하며, 각 기억은 서로 다른 뇌세포 집단에서 나온다. 결국, 여러 가지 경험에 대한 다양한 기억이 서로 다른 뇌세포 집단에서 나오기 때문에 뇌의 모든 기능에 공을 들여야 한다“는 내용에는 부합하지만, 문장 1에서 언급된 다양한 기억이 문장 3에서 ”기억하는 방법“과 ”사고하는 방법“으로 내용의 축소를 한 부분은 여전히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입니다. 아울러, 문장 2에서 사용한 표현, ”all these separate mental plays and cognitive neural firings“역시 논리의 전개상 기억과 ”mental plays(정신적 작용)“ 및 ”cognitive neural firings“(인지적 신경 발화)”에 대한 관계성이 먼저 언급되고, 문장 2에서 사용된 표현이 일관되게 끝까지 유지되었다면, 지문의 논리적 전개에서 현재 지문보다 더 객관적으로 타당한 내용이 되었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각 문장의 연결이 매끄럽지 못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정리
- 기억은 다양한 뇌 영역에서 형성되며, 이 모든 기능이 협력하여 작동한다.
- 기억과 사고는 밀접하게 연결(intertwined) 되어 있으며, 단순한 기억력 요령(memory tricks)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 따라서, 기억력을 향상하고 유지하려면 뇌의 모든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 빈칸 추론 과정
- 1. 빈칸이 포함된 문장(문장 5) 분석:
- “기억력을 인지적 수준에서 향상시키고 보존하려면 ____________.”
- "진정한 기억력 향상은 단순한 기억력 요령만으로는 불가능하다"(문장 4)라는 논리를 이어가는 내용이 필요함.
- 2. 문장 1~3에서 연결된 주요 개념:
- 기억은 여러 뇌 영역에서 생성되며,
- 기억과 사고는 밀접하게 연결(intertwined) 되어 있음.
- 3. 결론:
- 기억력을 개선하려면 단순한 기억력 기술을 넘어, 뇌의 모든 기능을 종합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 즉, "뇌의 모든 기능을 훈련해야 한다"라는 의미를 담은 보기 ④가 정답!
📌 선택지 분석
- ① keep your body and mind healthy → 건강 유지가 중요하지만, 지문의 핵심 주제와 직접적 연결 부족 ❌
- ② calm your mind in stressful times → 스트레스 관리와 관련 있지만, 기억력 향상과의 직접적인 연결 부족 ❌
- ③ concentrate on one thing at a time → 집중력과 관련 있지만, 기억력 전체 기능 향상과 다소 거리 있음 ❌
- ④ work on all functions of your brain → 기억력이 여러 뇌 기능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강화해야 한다는 논리와 일치 ✅
- ⑤ share what you learn with other people → 학습법과 관련 있지만, 기억력 향상과 직접적인 연결 부족 ❌
✅ 정답 제시
- 따라서, “④ work on all functions of your brain (뇌의 모든 기능에 공을 들여야 한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기억력을 향상하려면 뇌의 모든 기능을 강화하라"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기억력과 사고(thinking)의 관계, 그리고 기억이 다양한 뇌 영역에서 협력하여 형성됨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논리적 전개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 문장 간 연결 부족 – "기억"과 "사고"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정신적 작용"과 "인지적 신경 발화"가 갑자기 등장하여 논리 흐름이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 일관되지 않은 개념 사용 – "기억력 향상"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뇌의 기능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은 채 결론에서 "뇌의 모든 기능을 훈련해야 한다"는 다소 포괄적인 결론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논리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지문의 핵심 메시지는 명확합니다.
결론적으로, 기억력을 향상하고 유지하려면 단순한 기억력 요령(memory tricks)이 아니라, 뇌의 모든 기능을 종합적으로 강화해야 합니다.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정답은 "④ work on all functions of your brain(뇌의 모든 기능에 공을 들여야 한다)"가 됩니다.
이 글을 통해 빈칸 추론 문제 해결 방법과 논리적 접근법을 익혀, 모의고사 및 수능 문제 풀이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