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과학적 설명의 한계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다룹니다. 철학자들은 과학이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다는 논리적 이유를 제시하며, 특히 "근본적인 법칙과 원리(fundamental laws and principles)"는 다른 현상을 설명할 수 있지만, 정작 그것들 자체는 설명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도 다른 현상을 설명했지만, 그 법칙 자체의 기원에 대해서는 답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과학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최소한 일부 법칙들은 설명되지 않은 채로 남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이 글에서는 지문의 핵심 논리를 분석하고, 빈칸 추론 문제의 정답을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효과적으로 기를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위에 설명드린 Tip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기에 빈칸을 포함한 문장 11의 해설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참고하여 해설에 기술된 바대로 순차적으로 지문을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3.

According to many philosophers, there is a purely logical reason why science will never be able to explain everything. For in order to explain something, whatever it is, we need to invoke something else. But what explains the second thing? To illustrate, recall that Newton explained a diverse range of phenomena using his law of gravity. But what explains the law of gravity itself? If someone asks why all bodies exert a gravitational attraction on each other, what should we tell them? Newton had no answer to this question. In Newtonian science the law of gravity was a fundamental principle: it explained other things, but could not itself be explained. The moral generalizes. However much the science of the future can explain, the explanations it gives will have to make use of certain fundamental laws and principles. Since nothing can explain itself, it follows that at least some of these laws and principles _____________________. [3점]

* invoke: 언급하다

① govern human’s relationship with nature
② are based on objective observations
③ will themselves remain unexplained
④ will be compared with other theories
⑤ are difficult to use to explain phenomena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1

Since nothing can explain itself, it follows that at least some of these laws and principles _____________________.

🔹 주요 단어 정리

  • since~: ~때문에, ~이므로 (동의어: because, as / 반의어: despite, although)
  • nothing: 아무것도 ~아니다
  • explain itself: 스스로를 설명하다
  • follow that: ~라는 결론이 도출되다 (동의어: result in, lead to / 반의어: contradict)
  • at least: 적어도, 최소한 (동의어: minimum, no less than / 반의어: at most)
  • law: 법칙
  • principle: 원리, 법칙 (동의어: rule, tenet / 반의어: anomaly, exception)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ince nothing can explain/ itself],/
  • [어떤 것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스스로를],/
  • it follows/ [that/ at least/ [some/ <of these laws and principles>]/ ________________].
  • 그것이 뒤따릅니다(그 결과 도출됩니다)/ [적어도/ [일부가/ <이러한 법칙들과 원리들의>]/ ________________하는 것이].

🔹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since + 주어 + 동사”
  • [Since nothing can explain/~]”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 전달.
  • 재귀 대명사 “itself“
  • ”문장의 주어 =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의 관계인 경우. 목적어(동사구 can explain의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함.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it follows[that/~]”에서 ”it“는 가주어, ”that 절”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It(가주어)’와 “that 절(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hat 절”을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it follows that 절": "그 결과 ~라는 결론이 도출된다"라는 관용적 의미로도 해석되며, 앞의 논리를 자연스럽게 이어가는 역할을 합니다.
  • 빈칸 추론 1
  • “어떤 것도 그 자체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의 인관관계로 볼 때, “적어도 이것들의 일부가” 가지는 제한성의 의미가 와야합니다. 보기를 확인하면, “③ will themselves remain unexplained(그것들 자체가 설명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을 것입니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빈칸 문장만을 해석하여 그 인과관계만으로 답을 선택하기가 부담스럽다면, 몇 문장만 더 “아래에서 위로” 분석 후 독해하면서 확인하도록 합니다.

📌 문장 10

However much the science of the future can explain, the explanations it gives will have to make use of certain fundamental laws and principles.

🔹 주요 단어 정리

  • however much~: 아무리 많이 ~할지라도 (동의어: no matter how much)
  • explain: 설명하다 (앞서 등장한 단어)
  • explanation: 설명
  • have to+동사원형: ~해아만 하다
  • make use of~: ~을 활용하다, 이용하다 (동의어: utilize, employ / 반의어: ignore, neglect)
  • certain: 특정한
  • fundamental: 근본적인 (앞서 등장한 단어)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much/ <the science/ of the future>/ can explain],/
  • [아무리 많이/ <과학이/ 미래의>/ 설명할 수 있을지라도],/
  • [the explanations/ (which or that) it gives]/ will have to make use of/ <certain fundamental laws and principles>.
  • [설명들은/ 그것이 제공하는]/ 활용해야만 할 겁니다/ <특정한 근본 법칙과 원리들을>.

🔹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however + 형용사/부사 + 주어 + 동사”
  • [However much/ <the scienceof the future>/ can explain]”에서 사용된 어법. “아무리 ~일[할]지라도”의 의미를 전달.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explanations(which or that) it gives]”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explanation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것이 주는 설명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문장 10의 핵심 내용 & 빈칸의 추론 2
  • 미래의 과학이 아무리 많은 것을 설명할지라도, 여전히 몇 가지 기본 원리와 법칙을 활용해야만 한다. 문장 10의 내용에 이어 내재적 한계 때문에 특정한 기본적인 법칙들과 원리들을 이용해야 한다는 내용이 선택한 정답이 맞다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문장 9로 이동하여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9

The moral generalizes.

🔹 주요 단어 정리

  • moral: 교훈, 도덕적 의미 (동의어: lesson, principle / 반의어: irrelevance, immorality)
  • generalize: 일반화하다[되다] (동의어: apply broadly, universalize / 반의어: specify, particulariz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moral generalizes./
  • 그 교훈은 일반화됩니다.

🔹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9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3
  • 교훈은 일반적으로 적용된다는 의미로 그 교훈이 무언지를 파악하려면 문장 8을 독해해야 합니다.

📌 문장 8

In Newtonian science the law of gravity was a fundamental principle: it explained other things, but could not itself be explained.

🔹 주요 단어 정리

  • fundamental: 근본적인, 기초적인 (동의어: basic, essential / 반의어: secondary, trivial)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Newtonian science/
  • 뉴턴의 과학에서/
  • <the law/ of gravity>/ was a fundamental principle/
  • <법칙은/ 중력의(만유인력의 법칙은)>/ 근본적인 원리였습니다/
  • :/ it explained/ other things,/
  • 즉/ 그것은 설명했습니다/ 다른 것들을,/
  • but/ could not itself be explained./
  • 하지만/ 그것 자체는 설명될 수 없었다.

🔹 어법 설명

  • 수동태[조동사 + be + pp]
  • "could not itself be explained"에서 사용된 어법. "그 자체는 설명될 수 없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8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4
  • 뉴턴 과학에서 만유인력의 법칙은 근본적인 원리였으며, 다른 현상을 설명했지만 정작 자신은 설명되지 않았다. 문장 8의 내용으로부터, 문장 9의 “The moral“은 문장 8의 내용 ”The fundamental principles explain other things and can’t themselves be explained(근본적인 원리들은 다른 것들을 설명하고 그것들 자체는 설명될 수 없다)“는 내용입니다. 또, 문장 10의 ”certain fundamental laws and principles“가 의미하는 바”The fundamental principles“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문장 11의 ”[Since nothing can explainitself]“는 Since nothing can be explained/ for those fundamental peinciples(이러한 기본적인 원리들에 대해서는 어떤 것도 설명될 수 없기 때문에)“로 변경되어야 문맥상 적절합니다. 따라서,문장 8까지의 독해로부터 ③번이 올바른 정답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전에서는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문장 1

According to many philosophers, there is a purely logical reason why science will never be able to explain everything.

🔹 주요 단어 정리

  • according to ~: ~에 따르면
  • purely: 순전히, 전적으로 (동의어: entirely, completely / 반의어: partially, incompletely)
  • logical: 논리적인 (동의어: rational, reasoned / 반의어: illogical, irrational)
  • reason: 이유 (동의어: cause, justification / 반의어: result, outcome)
  • explain: 설명하다 (동의어: clarify, elucidate / 반의어: confuse, obscur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ccording to many philosophers,/
  • 많은 수의 철학자들에 따르면,/
  • there is/ [a purely logical reason/ why science will never be able to explain/ everything].
  • 존재합니다/ [순전히 논리적인 이유가/ 왜 과학이 결코 설명할 수 없는지의/ 모든 것을].

🔹 어법 설명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a purely logical reason/ why science will never be able to explain/ everything]"에서 “why”는 선행사, “a purely logical reason”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과학이 결코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을 것이라는 순전히 논리적인 이유”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과학이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는 이유가 순전히 논리적인 이유 때문이라고 철학자들은 주장한다. 이미 답을 찾았기에 “fundamental principles“에 대해선 설명할 수 없다는 내재적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기에 내용의 이해가 쉽습니다.

📌 문장 2

For in order to explain something, whatever it is, we need to invoke something else.

🔹 주요 단어 정리

  • in order to 부정사: ~하기 위해서
  • whatever it is: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 need to 부정사: ~해야 한다
  • invoke: (이유, 예시 등을) 들다, 언급하다 (동의어: cite, refer to / 반의어: ignore, neglec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in order to explain/ something>,/ [whatever it is],/ we need to invoke/ something else]./
  • [왜냐하면,/ <설명하기 위해서/ 무언가를>,/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우리가 언급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무언가를].

🔹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for + 주어 + 동사” & 삽입의 원칙상 comma(,) 추가 필요
  • [For,/ <in order to explain/ something>,/ [whatever it is],/ we need to invoke/~]”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다만, “<in order to explain/ something>”과 “[whatever it is]가 삽입된 구조로, For“ 뒤에 comma(,)를 삽입하여 분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in order to explain/ something>”에서 사용된 용법.
  • 복합 관계 부사절 "whatever it is“
  •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라는 의미로, 앞의 "something"을 수식.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무언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른 무언가를 언급해야 한다. 역시 ”fundamental principles“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 문장 3

But what explains the second thing?

🔹 주요 단어 정리

  • second: 두 번째의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what explains/ the second thing?/
  • 그러나/ 무엇이 설명하나요/ 그 두 번째 것은?

🔹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그 두 번째 것(무언가; 근본적인 원리)은 무엇이 설명하는가?

📌 문장 4

To illustrate, recall that Newton explained a diverse range of phenomena using his law of gravity.

🔹 주요 단어 정리

  • illustrate: 설명하다, 예시를 들다 (동의어: exemplify, demonstrate / 반의어: obscure, confuse)
  • recall: 기억(상기)하다, 떠올리다 (동의어: remember, recollect / 반의어: forget, overlook)
  • diverse: 다양한 (동의어: varied, multiple / 반의어: uniform, homogeneous)
  • a diverse range of~: 다양한 범위의~
  • phenomenon (복수형: phenomena): 현상 (동의어: occurrence, event)
  • law of gravity: 만유인력의 법칙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illustrate>,/
  • <예를 들기 위해서(예를 들면)>,/
  • recall/ [that Newton explained/ a diverse range of phenomena/ [using/ <his law/ of gravity>]]./
  • 상기하세요/ [뉴턴이 설명했다는 것을/ 다양한 범위의 현상들을/ [사용하면서/ <그의 법칙을/ 중력의(만유인력의)>]]./

🔹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illustrate>”에서 사용된 용법.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recall/~”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recall[that~]"에서 "that"은 동사, "recall"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분사구문
  • [using/~]”은 “[while he use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he(=Newton)”가 생략되고 동사 “used”가 “u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뉴턴은 만유인력의 법칙을 사용해 다양한 현상을 설명했다. 여기서, 만유인력의 법칙 역시 “fundamental principle“에 해당합니다.

📌 문장 5

But what explains the law of gravity itself?

🔹 주요 단어 정리

  • itself: 그 자체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what explains/ [<the law/ of gravity>/ itself]?
  • 그러나/ 무엇이 설명하나요/ [<그 법칙/ 만유인력의>/ 그 자체는]?

🔹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그러나 만유인력의 법칙 자체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역시 “a fundamental principle“는 설명할 수 없다는 내재적 한계를 확인하는 의문문입니다.

📌 문장 6

If someone asks why all bodies exert a gravitational attraction on each other, what should we tell them?

🔹 주요 단어 정리

  • exert: (힘을) 가하다 (동의어: apply, exercise / 반의어: withdraw, refrain)
  • gravitational attraction: 중력적 인력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someone asks/ [why all bodies exert/ a gravitational attraction/ on each other]],/
  • [만약 누군가 질문한다면/ [왜 모든 물체가 가하는지/ 중력을/ 서로에게]],/
  • what/ should we tell/ them?
  • 무엇을/ 우리가 말해야 하나요/ 그들에게?

🔹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someone asks/~]”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y all bodies exert/~]”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asks의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왜 모든 물체가 서로 인력을 가하는지 묻는다면, 우리는 무엇이라고 대답해야 할까?

📌 문장 7

Newton had no answer to this question.

🔹 주요 단어 정리

  • answer: 답변, 해답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ewton had no/ <answer/ to this question>./
  • 뉴턴은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대답을/ 이 질문에 대한>.

🔹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뉴턴조차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하지 못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과학은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으며, 특정한 기본 원리와 법칙들은 다른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만, 그들 자체는 설명되지 않는다.
  •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도 다른 현상을 설명했지만, 정작 법칙 자체는 설명되지 못했다.
  • 이와 같은 한계는 과학 전반에 적용되는 논리적 특성이며, 미래의 과학도 기본 원리를 필요로 할 것이다.

🔹 빈칸 추론

  • 빈칸에 들어갈 내용:
  • "최소한 몇몇 기본 법칙과 원리들은 설명되지 않은 채로 남을 것이다."

📌 선택지 분석

  • ① govern human’s relationship with nature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지배한다) → 본문의 논리와 무관. ❌
  • ② are based on objective observations (객관적 관찰에 기반한다) → 본문에서는 법칙들의 설명 가능 여부가 핵심이지, 관찰의 기반 여부가 핵심이 아님. ❌
  • ③ will themselves remain unexplained (그들 자체는 설명되지 않은 채로 남을 것이다) → "기본 원리는 다른 것을 설명하지만, 정작 그 자체는 설명되지 않는다"는 본문의 핵심 논리와 일치. ✅
  • ④ will be compared with other theories (다른 이론과 비교될 것이다) → 본문에서는 비교가 아닌 "설명 가능 여부"가 핵심. ❌
  • ⑤ are difficult to use to explain phenomena (현상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 기본 원리는 다른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고 했으므로, 문맥과 어긋남. ❌

📌 정답제시

  • 따라서, "③ will themselves remain unexplained"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과학적 설명의 본질과 한계를 논리적으로 탐구합니다. 과학은 반드시 다른 개념을 참조하여 설명을 구성해야 하며, 모든 것을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처럼, 과학적 법칙들은 다른 현상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지만, 정작 그들 자체는 설명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논리는 빈칸 추론 문제의 정답이 "③ will themselves remain unexplained(그들 자체는 설명되지 않은 채로 남을 것이다)"임을 뒷받침합니다.

과학적 탐구가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은 과학 철학뿐만 아니라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본 분석을 통해 빈칸 추론 문제를 해결하는 논리적 접근 방식을 익히고, 수능 및 모의고사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또한 본 분석 내용을 통해 독자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과학적 개념의 논리적 전개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