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웃음(Laughter)”은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니라,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에서는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웃음 빈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연구한 실험을 소개하며, 웃음이 단순히 "재미있다"는 감정 표현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 형성의 수단임을 시사합니다.

본 글에서는 연구의 핵심 내용을 분석하고, 빈칸 추론 문제의 논리적 해결 방법을 도출하며, 지문의 논리적 흐름을 심층적으로 탐구해 보겠습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문장 7부터 설명을 시작합니다.

문장별 분석 내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및 어법 설명은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의 이해를 돕는데, 큰 힘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In one example of the important role of laughter in social contexts, Devereux and Ginsburg examined frequency of laughter in matched pairs of strangers or friends who watched a humorous video together compared to those who watched it alone. The time individuals spent laughing was nearly twice as frequent in pairs as when alone. Frequency of laughing was only slightly shorter for friends than strangers. According to Devereux and Ginsburg, laughing with strangers served to create a social bond that made each person in the pair feel comfortable. This explanation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in their stranger condition, when one person laughed, the other was likely to laugh as well. Interestingly, the three social conditions (alone, paired with a stranger, or paired with a friend) did not differ in their ratings of funniness of the video or of feelings of happiness or anxiousness.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ir frequency of laughter was not because we find things funnier when we are with others but instead we ________________________. [3점]

① have similar tastes in comedy and humor
② are using laughter to connect with others
③ are reluctant to reveal our innermost feelings
④ focus on the content rather than the situation
⑤ feel more comfortable around others than alone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7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ir frequency of laughter was not because we find things funnier when we are with others but instead we ________________________.

🔹 주요 단어 정리

  • finding: 연구 결과, 발견 (동의어: result, conclusion)
  • imply: 암시하다, 시사하다 (동의어: suggest, indicate)
  • frequency: 빈도 (동의어: occurrence, rate)
  • not because A but because B: A때문이 아니라 B때문
  • funnier: 더 재미있는 (funny의 비교급)
  • instead: 대신에 (동의어: rather, alternativel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finding implies/
  • 이 연구 결과는 암시합니다/
  • [that [their <frequency/ of laughter>]/ [was not because we find/ <things/ funnier>]/ [when we are/ with others]],/ [but instead/ (because) we ________________]].
  • [[그들의 <빈도가/ 웃음의(웃음의 빈도가)>]/ [우리가 발견하기 때문이 아니라/ <것들을/ 더 재미있는(더 재미있는 것들을)>/ [우리가 있을 때/ 다른 사람들과]],/ [대신에/ 우리가 ________________하기 때문이었다는 것을]].

🔹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mplies[that~]"에서 "that"은 동사, "implies"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that 절”의 주어는 “frequency”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was”.
  • not because A but because B
  • [was not because we find/~],/ [but instead/ (because) we~]”에서 사용된 어법. “A때문이 아니라 B 때문”의 의미를 전달.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we arewith others]”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1
  • 연구 결과는 "우리가 다른 사람과 있을 때 사물이 더 재미있게 느껴져서 웃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암시함. 즉, 웃음 빈도의 차이는 "단순히 웃긴 정도(funniness perception)" 때문이 아님. 그렇다면 "우리가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웃는 이유"가 빈칸의 핵심 내용이어야 함. 보기를 보면 “② are using laughter to connect with others(우리는 웃음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연결된다)”가 가장 적절함. 하지만 한 문장만 보고 바로 답을 선택하기보다는, 문장 6을 분석하며 더 확실한 근거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6

Interestingly, the three social conditions (alone, paired with a stranger, or paired with a friend) did not differ in their ratings of funniness of the video or of feelings of happiness or anxiousness.

🔹 주요 단어 정리

  • interestingly: 흥미롭게도 (동의어: surprisingly, notably)
  • social: 사회적
  • condition: 조건, 상황 (동의어: situation, circumstance)
  • alone: 혼자서
  • pair: 짝을 짓다
  • be paired with~: ~와 짝지어지다
  • differ: 다르다, 차이가 나다 (동의어: vary, contrast / 반의어: be similar, resemble)
  • rating: 평가, 점수 (동의어: score, assessment)
  • funniness: 웃긴 정도
  • happiness: 행복
  • anxiousness: 불안함 (동의어: nervousness, uneasiness / 반의어: calmness, tranquility)
  • feeling of happiness or anxiousness: 행복감이나 불안감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terestingly,/ [the three social conditions/ (<(+being) alone>,/ <(+being) paired/ with a stranger>,/ or/ <(+being) paired/ with a friend>)]/ did not differ/ [in their ratings/ <of funniness/ of the video>/ or/ <of feelings of happiness or anxiousness>].
  • 흥미롭게도,/ [세 가지 사회적 조건들은/ (<혼자있는 것>,/ <짝지어져 있는 것/ 낯선 사람과 함께>,/ 또는/ <짝지어져 있는 것같은/ 친구와 함께>)]/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들의 평가에서/ <웃긴 정도에 대한/ 비디오의>/ 또는/ <행복감이나 불안감에 대한>].

🔹 어법 설명

  • 부사 "interestingly"
  • 문장 전체를 수식하며, 연구 결과의 흥미로운 점을 강조.
  • "did not differ in" (동사 + 전치사 구조)
  • "differ in ~"은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다"라는 의미로 쓰이며, 여기서는 부정형("did not differ in~")으로 사용됨.
  • 병렬 구조 "of A or of B"
  • "<of funniness of the video> or <of feelings of happiness or anxiousness>"에서 "or"를 이용해 두 개의 평가 항목을 병렬 연결.
  • 명사인 주어의 보충
  • [the three social conditions/ (<(+being) alone>,/ <(+beingpairedwith a stranger>,/ or/ <(+beingpairedwith a friend>)]”에서 “괄호()“ 안의 내용은 명사인 주어 ”the three social conditions(세 가지 사회적 조건들)“을 보충하며 동명사의 형태가 적절합니다. 따라서, ”being“ 추가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2
  • 사회적 조건(혼자 있는 것, 낯선 사람과 함께 짝지어져 있는 것, 친구와 함께 짝지어져 있는 것)에 따라 "비디오의 웃긴 정도"나 "행복감 또는 불안감"에 대한 평가가 다르지 않았다. 즉, 사람들이 웃음을 더 많이 보였던 이유가 "비디오가 더 재미있었기 때문은 아니다"라는 것이 연구의 결론. 그러므로 빈칸에 들어갈 내용은 "사람들이 함께 있을 때 더 많이 웃는 이유"가 되어야 하며, 그렇게 봐도, "② are using laughter to connect with others(우리는 웃음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연결된다)"가 가장 적절함. ✅ 한 문장만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5

This explanation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in their stranger condition, when one person laughed, the other was likely to laugh as well.

🔹 주요 단어 정리

  • explanation: 설명 (동의어: clarification, reasoning)
  • be supported by~: ~에 의해 뒷받침되다
  • stranger condition: 낯선 사람(과 함께 있는) 조건
  • b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높다
  • as well: 또한, 게다가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explanation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in their stranger condition,/ [when one person laughed],/ the other was likely to laugh/ as well]].
  • 이 설명은 뒷받침됩니다/ [사실에 의해,/ [그들의 낯선 사람 조건에서,/ [한 사람이 웃었을 때],/ 다른 사람이 웃을 가능성이 높았다는/ 또한]].

🔹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is supported”에서 사용된 어법. "뒷받침 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삽입 원칙에 따른 comma(,) 삽입 필요
  • "the fact/ [that,in their stranger condition,/ [when one person laughed],/ the other was likely to laugh/ as well]"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the fact“를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다만, “동격절의 접속사 that”과 “that 절의 주어(the other)” 사이에 “in their stranger condition”와 “[when one person laughed]”가 삽입된 구조로 “접속사 that” 뒤에 comma(,)를 삽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one person laughe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3
  • 낯선 사람과 함께 있을 때 한 사람이 웃으면, 다른 사람도 따라 웃는 경향이 있었다. 문장 5의 내용 역시 "② are using laughter to connect with others(우리는 웃음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연결된다)"의 선택이 적절하다는 것을 뒷받침합니다. 아울러, 문장 6의 "This finding implies that"에서 "this finding"이 정확히 문장 5의 "This explanation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를 가리킵니다. 즉, 문장 6의 빈칸이 문장 5에서 언급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됩니다. 한 문장만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4

According to Devereux and Ginsburg, laughing with strangers served to create a social bond that made each person in the pair feel comfortable.

🔹 주요 단어 정리

  • according to~: ~에 따르면
  • serve to 부정사: ~하는 역할을 하다 (동의어: function as, contribute to)
  • social bond: 사회적 유대
  • comfortable: 편안한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ccording to Devereux and Ginsburg>,/
  • <Devereux와 Ginsburg에 따르면>,/
  • <laughing/ with strangers>/ served to create/ [a social bond/ that [made/ <each person/ in the pair>/ feel comfortable]].
  • <웃는 것은/ 낯선 사람들과 함께>/ 형성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사회적 유대를/ [만들었던/ <각각의 사람을/ 그 짝 안에 있는(짝지어진)>/ 편안하게 느끼도록]].

🔹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social bond/ that [made/ <each person/ in the pair>/ feel comfortable]]”에서 “that”은 선행사, “a social bond”를 수식하여, “짝지어진 각각의 사람을 편안하게 느끼도록 만들었던 사회적 유대”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문형 "사역동사(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made/ <each person/ in the pair>/ feel comfortable]”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2형식 감각 동사[look / sound / smell / taste / feel] + 형용사
  • feel comfortable”에서 사용된 어법.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지만, 반드시 주어를 보충하는 형용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4
  • 낯선 사람과 함께 웃는 것이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역할을 했으며, 사람들을 편안하게 만들었다. 명시적으로 웃음이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역할을 했다고 진술하고 있으므로, 실전에서는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 후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로 이동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문장 1

In one example of the important role of laughter in social contexts, Devereux and Ginsburg examined frequency of laughter in matched pairs of strangers or friends who watched a humorous video together compared to those who watched it alone.

🔹 주요 단어 정리

  • example: 예시, 사례 (동의어: instance, illustration)
  • role: 역할 (동의어: function, purpose)
  • laughter: 웃음
  • social context: 사회적 맥락
  • examine: 조사하다, 연구하다 (동의어: analyze, study)
  • frequency: 빈도, 발생 횟수 (동의어: occurrence, rate)
  • matched pairs: 짝지어진 쌍
  • stranger: 낯선 사람 (동의어: unfamiliar person)
  • humorous: 유머러스한, 재미있는 (동의어: funny, amusing)
  • compare to~: ~에 비하여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one example/ <of the important role/ of laughter>/ in social contexts],/
  • [한 가지 예에서/ <중요한 역할의/ 웃음의>/ 사회적 맥락(들)에서의],/
  • <Devereux and Ginsburg>/ examined/ [<frequency/ of laughter>/ [in matched pairs/ of [<strangers or friends>/ who watched/ a humorous video/ together]]]/ [compared to those/ who watched/ it/ alone].
  • <Devereux와 Ginsburg는>/ 조사했습니다/ [<빈도를/ 웃음의(웃음의 빈도를)>/ [짝지어진 쌍에게서/ [<낯선 사람들이나 친구들의>/ 봤던/ 유머러스한 영상을/ 함께]]]/ [사람들에 비하여/ 봤던/ 그것을/ 혼자서].

🔹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strangers or friends>/ who watched/ a humorous video/ together]”와 “those/ who watched/ it/ alone”에서 “who”는 각각의 선행사, “<strangers or friends>”와 “thos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각각 “유머러스한 영상을 함께 봤던 낯선 사람들이나 친구들”“그것을 혼자서 봤던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1의 핵심 내용
  • Devereux와 Ginsburg는 사람들이 혼자 있을 때와 짝을 지어 있을 때 웃음 빈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연구했다.

📌 문장 2

The time individuals spent laughing was nearly twice as frequent in pairs as when alone.

🔹 주요 단어 정리

  • time spent ~ing: ~하면서 소비된 시간
  • frequent: 빈번한
  • twice as A as B: B보다 두 배 만큼 그만큼 A한/A하게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time/ (which or that) individuals spent/ laughing]/ was nearly twice as frequent/ in pairs/ [as when alone].
  • [시간은/ 개인들이 소비했던/ 웃으면서]/ 거의 두 배정도 그만큼 빈번했습니다/ 짝을 이룬 경우에/ [혼자일 때보다].

🔹 어법 설명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time(which or that) individuals spentlaughing]”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time”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개인들이 웃으면서 사용했던 시간”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배수 as +형용사/부사 + as + 비교 대상"
  • "was nearly twice as frequent/ in pairs/ [as when alone]"에서 사용된 어법. “비교대상 보다 ~배만큼 그 만큼 ~한/하게”로 해석하며, "혼자 있을 때보다 두 배만큼 그만큼 더 빈번했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사람들은 혼자 있을 때보다 짝을 지어 있을 때 두 배 더 자주 웃었다.

📌 문장 3

Frequency of laughing was only slightly shorter for friends than strangers.

🔹 주요 단어 정리

  • slightly: 약간, 조금 (동의어: marginally, a little)
  • shorter: 더 짧은 (short의 비교급)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requency/ of laughing>/ was only slightly shorter/ for friends/ than strangers.
  • <빈도는/ 웃음의(웃음의 빈도는)>/ 고작 약간 더 짧았습니다/ 친구들에게서/ 낯선 사람들보다.

🔹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Frequency”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was”.
  • "A is ~er than B" 비교급 표현
  • "shorter/ for friends/ than strangers"에서 비교 대상이 명확함.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친구들끼리 있을 때보다는 낯선 사람과 있을 때 웃음 빈도가 약간 더 길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분석

  • 연구에서는 혼자일 때보다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웃음 빈도가 두 배 증가하는 현상을 관찰함.
  • 하지만, 비디오의 재미(funniness)나 행복감, 불안감(happiness or anxiousness)에 대한 평가에는 차이가 없었음.
  • 따라서, 사람들이 함께 있을 때 웃는 이유는 단순히 비디오가 더 웃겨서가 아님.
  • 연구진은 웃음이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고 결론지음.

🔎 빈칸 추론 과정

  • 문장 6의 "This finding implies that (~ 이것은 암시한다)"**라는 표현이 등장하는데, 여기서 "This finding"**은 문장 5에서 설명된 연구 결과를 가리킴.
  • 문장 5에서는 "한 사람이 웃으면 다른 사람도 웃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
  • 문장 4에서는 "낯선 사람과 함께 웃으면 사회적 유대(social bond)가 형성된자고 직접 지시.
  • 이를 종합하면, 사람들이 함께 있을 때 웃는 이유는 타인과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관계를 강화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라는 결론이 도출됨.
  • 보기를 분석하면, "② are using laughter to connect with others(우리는 웃음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연결된다)"가 연구 결론과 가장 부합함.

✅ 정답 제시

  • 따라서, “② are using laughter to connect with others”가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생태학의 핵심은 객관성과 공감이다.”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웃음이 단순한 감정적 반응이 아니라, 사회적 연결을 강화하는 중요한 도구임을 시사합니다.

사람들은 혼자 있을 때보다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더 많이 웃으며, 특히 낯선 사람과 있을 때 웃음이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이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빈칸 추론 문제의 정답은 "우리는 웃음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연결된다(② are using laughter to connect with others)"가 가장 적절합니다.

이처럼 빈칸 추론 문제에서는 해당 문장이 전체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분석을 통해 빈칸 추론 문제의 해결 전략을 학습하고, 논리적인 독해 능력을 키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고2 영어 모의고사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해결 전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니, 꾸준한 연습과 분석을 통해 독해 실력을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